한때는 겁없는 스노보드 선수 였다가, 이제는 스노보드 브랜드 오너이자 설계자.......

동시에 화석이 되어버린 개츠비 입니다.


스노보드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가 카빙이죠.

카빙을 제대로 할 줄 안다 = 중급 이상의 실력자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10년째 유행하는 햄머헤드는 본디 1990년도 말에 보드크로스 시합을 위해 탄생한 유러피안

하이브리드 데크입니다. 지금 서양에서는 햄머헤드라는 통칭 보다는 Soft Boot Carver 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속도전을 위한 알파인데크가 아닌 프리스타일과 햄머헤드 데크의 범주내에서

유행하는 카빙 스타일을 대전제 2개에서 몇가지로 세분화를 하자면,


1. 전향각 카빙 (바인딩 각도가 30/12도 이상의 전향)

 - 알파인 기반의 유로피안 익스트림 카빙.

 = 쏘면서 내려찍는 카빙. 데크 노우즈에 락커가 짧음(5센치 내외)


 - 일본 JSBA 스타일

 = 스피드와 엣지 그립을 부드럽게 컨트롤 하면서 말아타는 카빙. 데크 노우즈에 락커가 김(12센치 내외)


2. CASI 스타일의 카빙 (바인딩 각도가 앞발 12~27도, 뒷발이 -9~+6도)

- 파크,파이프, 그트, 파우더에서도 효율적으로 다양한 슈레딩을 할 수 있는 카빙.

- 슬라이딩 턴, 돌핀턴 등등.



대전제 1번 같은 경우는 척추각 자체의 앵귤레이션이 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카빙이고,

속력을 중시한 스노보딩의 아름다움을 카빙에서 구현하는 스타일의 카빙 이라 생각합니다.

- 햄머헤드나 세미 햄머헤드.


대전제 2번 같은 경우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다재다능한, 그리고 효율성을 강조한 카빙의

방법 입니다. 앵귤레이션은 척추각 보다는 무릅의 앵귤레이션이 더 깊습니다.

- 디렉셔널 정캠버 트윈데크, W캠버 데크.


1번에서도 숏턴, 미들턴 커리큘럼이 다 있습니다.

2번에서도 롱턴, 딮카빙 커리큘럼이 다 있습니다.



좀더 궁극적인 결론으로 정의를 해 보자면.....


대전제 1번 같은 경우는 익스트림한 카빙을 더 멋지게 구현하려는 인간의 행위 예술이고,

대전제 2번은 몸과 엣지의 발란스를 더 효율적으로 컨트롤 하며 결국 고난이도의

점프나 기물, 그리고 절벽의 파우더 같은 환경을 더 멋지게 공략하기 위한 것이죠.


고수들이 행하면 1번의 아름다움도 멋지고 2번도 아름다움도 멋집니다.

그리고, 필름에서 담아낸 것도 멋지지만 무엇보다....그렇게 타는 스노보더 스스로가 정말 즐거운 것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시즌이 흐를 수록 고수들은 대전제 1번과 대전제 2번의 스타일과 경계가 허물어 지고 있고

더 다양한 스타일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말 멋진 일이죠.


1993년에 나온 미국 Standard Film의 TB3 라는 비디오와 2007년에 개봉한 스노보드 영화

The First Decent 에 보면 언급 하는 부분 두가지가 있습니다.

- 스노보딩은 수많은 스노보더들이 판떼기를 눈위에서 타는 것인데 각자의 다른 즐거운 언어들이 있다.

- 스노보딩은 Progress 그 자체이다. 기술,장비,기물, 그리고 라이더들 모두가 발전하고 있다. 


스타일이 어찌되었던, 나는 스노보딩을 정말 익스트림하고 신나게 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이 상황을 즐긴다는 것이 가장 멋진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더 다양한 것을 즐기는 스노보더가

더 멋진 승리자 이구요.


마지막으로 보드코리아 라이딩 팀의 영상링크를 세우고 갑니다.

전향각라이더들, 카빙 트릭커, 그리고 CASI 스타일의 KSIA 레벨3 데몬스트레이터 들의 향연 입니다.


http://www.hungryboarder.com/index.php?_filter=search&mid=Movie_data&search_keyword=%EB%8B%A4%EB%A7%88&search_target=nick_name&document_srl=46168975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706
» 카빙 스타일의 다양화와 효용성 [49] GATSBY 2020-03-31 20 6305
1295 감아타기란.? [24] 동동스 2020-03-28 1 5166
1294 시즌 1년차? 10년차? [66] 조선인KJ 2020-03-15 27 5425
1293 라이딩 중에 호흡 어떻게 하세요? [50] 미친스키 2020-03-02 7 3881
1292 도둑보딩에 대하여 [25] 울트라슈퍼최 2020-02-28 4 9461
1291 일반 vs 스텝온 vs 스텝인 바인딩 [23] SeeGMa 2020-02-27   8529
1290 해머(테크니컬) 중급-상급 라인업(댓글시 수정) [24] 시크석 2020-02-01 1 5250
1289 스키장의 전반적인 쇠퇴는 유행이 지났기 때문입니다. file [36] 보린 2020-01-20 28 11365
1288 그라운드 트릭 입문 시기, 파크 입문 시기 [17] 무인이 2020-01-20   2631
1287 알파인보드vs프리보드 [43] 아픈녀석 2019-12-30   6540
1286 여러분 남에의하여 보드가 상처가 살짝생기면 어떻게하세요? [44] 쏘레비 2019-12-24 2 5448
1285 베어스타운 향후 ... [30] joono 2019-12-24 11 4168
1284 전향각으로 타려면.. [13] 박살각개 2019-12-22   5760
1283 이게옳은지 모르겠네요 [8] 두성격 2019-12-20   2724
1282 트릭 입문 보드추천 [19] 굿럭스 2019-12-15   2404
1281 보드잘타는 남자 여자는 쎄보인다? [20] 굿땡요 2019-12-14 2 5117
1280 익스트림파크..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24] 벌집 2019-12-13 2 2171
1279 전향 입문자에게 적합한 데크란...??? [11] picoblue 2019-11-26 6 6075
1278 투표] 개장빵 or 이번주 주말 당신이 갈곳은? [26] 송개리 2019-11-14   2040
1277 피클이 입맛에 안맞아요 [34] 피브리조 2019-09-16 3 3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