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헝그리보더의 늙고 병든 개츠비 입니다.
저는 스노보드를 미국 유학중에 배웠다가 IMF로 귀국 하였지만.
그 동안에 미국에서 2시즌이나 시즌권 끊어서 정말 열심히
스노보드를 탔었습니다.
시즌권 가격.
우리나라에 귀국하여.
98/99 시즌부터 시즌권을 구입하여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그때 구 웰리힐리파크인 성우 리조트 시즌권을 구매하였는데,
시즌권 가격이 18만원, 시즌방 가격은 16만원 정도 였습니다.
장비가격.
IMF 시절이었는데 보드샵들은 대 호황이었죠.
캐나다의 O모 브랜드 스노보드 (피텍스 4000 그라파이트 베이스에 카본 스트립, 포플러에 이형 우드코어)
가 소비자가 160만원, 특별 할인가 140만원 이었습니다.
아마 그때 당시에 햄머헤드가 인기였다면 어지간한 일본 브랜드들은 당시 데크 가격만
350만원 정도에 판매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S사의 자매 브랜드인 B모 보드복 위아래 한벌에 150만원 정도 하였습니다.
당시에는 학동이 아닌 청담, 압구정에 보드 샵들이 많았는데,
...근본없는 중국제 짝퉁 스노보드를 버튼 프로들도 애써 돈주고 사서 쓰는 장비라고,
코카콜라 북극곰이 그려진 스노보드를 110만원에 팔던 시절이었습니다.
제가 정말 빡쳤던 것은, 저에게 눈탱이 사기치던 직원이 이제는 모샵의 사장님이 되었는데,
저도 모 브랜드 오너가 된 입장에서 그것을 물어보니 그때 저에게 눈탱이 친 사실을 기억 못한다는 것입니다.
각설하고,
1998년 당시 최저시급이 1485원이었고, 현재는 8720원임을 감안 한다면,
시즌권 가격은 매우 저렴한 수준 입니다. 일단 해외는 몇백 만원 단위부터 시작합니다.
장비 가격 또한, 예전 눈탱이 사기 치던 시절에 비해 샵들의 마진율은 저렴해 진것은
사실 입니다. 생산지가 점점 변화되고 있으니까요.
현재 가장 안타까운 것은 스노보드 리조트들이 파크나 파이프를 점점 줄여가서 입니다.
리조트 들에게 시즌권 가격을 더 올리라고는 이야기 하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파크, 파이프 사용비, 정비비용들이 감안된 시즌권은 따로 판매하는 것이
스노보드의 다양성을 보전하는데 판매자와 사용자들 모두 수긍하는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두서없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