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골프치는 스노보드 설계자 개츠비 입니다.
8년정도 A뭐 브랜드를 하면서 어느덧 제가 설계하여 선보인 모델이 10개나 되었습니다.
설계는 완성되었으나 발매를 못한 모델도 있구요.
제 기준에 맞추어 설계한 모델들도 있고, 올림픽 선수들을 위해 설계된 모델도 있지요.
비시즌에 주로 스크린 골프를 치는데 좀더 좋은 장비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단골 피팅샵에 가곤 합니다.
거기 사장님이 저보다 어리시지만 보드를 타던 분이셔서 말이 잘 통해요.
거기서 구매한 것이든 제가 이베이에서 구입한 것이든....그 샵에서 꼭 피팅을 합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샤프트를 교체하려 한다면,
제 기존 장비의 스윙 모션과 가상비거리 센서를 보고
샤프트는 중량선택, 플렉스 선택, 몇인치 어디와 어디를 커팅하고, 그립은 몇그램짜리 그립을 장착하고,
헤드 무게를 감안하여 스윙웨이트는 D3~D5 어디로 둬야할지 논의하고......
골프는 14개의 채를 가지고 하는데 하나하나 다 이렇게 피팅합니다.
같은 샤프트와 헤드는 피팅을 통해서 완전 다른 무기가 됩니다. (디렉정캠과 햄머헤드의 난이도 정도로?)
반면 스노보드는????
피팅과 가장 근접한 개념이 커스텀 주문인데......
쉐이프와 플렉스 정도를 딜러를 통해 주문하는 것이었죠.
혹시나 만약에 골프피팅의 개념이 스노보드에도 적용이 된다면????
고객은 설계자와 자신이 타는 최근 영상, 그리고 자신이 흠모하는 라이더의 영상
등등을 보여주면서 상담을 하고, 설계자는 재단사 처럼 고객의 신체 스펙을 점검하여
보드 길이, 플렉스, 쉐이프, 장착될 내장재의 선택과 배열 설정, 캠버죤과 락커존의 배열....
이렇게 설계 상담을 하고 몇일 혹은 몇달 뒤 그 데크를 찾아가는 것이죠.
장점은 자신이 목적하는 바에 최고의 성능치를 보여줄 인생 장비를 만나는 것이고,
단점은 생산성이 엄청 떨어져 가격은 좀더 비쌀 거라는 점과 중고가격에도 메리트가 없다는 점.
(실례로 골프 프로들이 쓰던 장비는 중고시장에 잘 안팔리죠. 너무 무겁고 딱딱하기 때문에)
여름의 절정인데 더위먹었는지 불현듯 이런 엉뚱한 생각을 해봤습니다.
다들 점심 맛나게 드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