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아래에 붓아웃은 허상이라는 글에서 공감되는 점은 아마도 붓아웃 걱정을 할 필요 없는 초급자들이 붓아웃 걱정에 시간과 때때로 금전적 투자로 손해를 보는 일에 대한 우려일 것이다.
그러나 전향각이 이미 카빙을 매우 높은 각도로(엣지의 각도) 수행하고 있고, 덕으로 세팅한 라이더가 그와 비슷한 각도로 카빙을 하고자 하는 고민이나 필요를 느끼면서 수행을 할때 데크의 스팩(특히 허리)이 발목을 잡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아래의 글쓰신분이 붓아웃을 너무 쉽게 접근하시는 것 같아, 궁금하여 여쭈어본다면, 본인은 일반데크로 동전줍기 라이딩을 잘 하고 계신가 하는 것이다.(기존의 스탠다드 라이딩을 하면서 붓아웃 걱정을 한다면 이건 논외이다. 안 세우면 그만이기 때문에, 그러나 급사 카빙라이딩 시에 심심치 않게 힐컵붓아웃으로 미끄러지는 덕 라이더들이 있다. 이들은 엣지각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힐에서 더 세우고, 힐컵이 나가는 경우가 종종있다. 붓아웃개념이 없다면 이들은 그냥 눈벽이 터졌다. 프레스가 약하다 등의 진단을 내리는데, 이러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동일한 라이더(나 포함)와이드 데크와 일반 데크로 덕크니컬 수행시에 엣지각을 세울 수 있는 한도의 차이가 너무나 크다. 일반데크로 수행시에는 엣지각 컨트롤을 어느정도 하고 있지만 중경사 이상만 가도 붓아웃을 염려해야한다. 왜냐하면 중상급경사에서는 속도가 있고 엣지각을 어느정도 확보해야 라이딩이 가능한데 이때 라이딩하기도 바쁜데 붓아웃까지 염려하면서 라이딩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
본인은 FC-W 160을 타고있고 부츠도 2보아 외피가 상대적으로 작은 부츠를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종종 덕크니컬에 미세한 붓아웃, 설면터치를 느낀다. 상대적으로 엣지각 컨트롤이 용이한 토쪽으로 바인딩을 밀어서 힐컵 붓아웃을 피하고 토쪽을 엣지 컨트롤 하는걸로 해결하고 있지만,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입장에서 아래의 글은 너무 붓아웃을 쉽게 생각하는 느낌이 들어 글을 쓴다.
카빙시에 엣지를 안들고 고속으로 내려쏘는 라이딩을 한다면 이런 고민들은 다 무의미하다. 그러나 업힐을 하지 않더라도 횡으로 컨트롤하는 라이딩을 하기 위해서는 엣지각이 필요하고 이것을 통해 일정한 속도로 급사 덕카빙이 가능하다고 본인은 생각한다. 덕으로 지르고 가는(내려가는, 즉 엣지각을 적당히 세워 속도가 빠른) 카빙이 아닌 옆으로 찢어진 게이트도 탈 수 있는 컨트롤 카빙을 하는 라이더라면 꼭 해결해야 하는것이 붓아웃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쓸데없는 붓아웃 걱정으로 손해가 날 수 있지만, 때때로 붓아웃이 원인인 넘어짐을 전혀 다른 원인으로 생각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를 자주본다. 붓아웃이나는 세팅이라면 라이딩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아무것도 못한다.
글을 너무 편한 문체로 썻습니다.(불편하신분들에게는 죄송합니다.) 다른분의 주장을 공격하는 것은 아니고 제 생각을 한번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경험한 일반데크 붓아웃 한계각도(여기서 더 세우면 날아간다)(또한 엣지각도 확보가 안되니 속도제어가 안되, 중경사가 한계이다.)(물론 저각으로 세워 지르고 가면 되긴한데, 카빙이 깡다구 대결은 아니기에.....)
https://youtube.com/shorts/BoE5UgDLChs?si=Ujg-NIcSu9DLEdC-
와이드 데크의 덕카빙(붓아웃 걱정없이 편안한 라이딩, 그러나 급사에서 카빙시에는 붓아웃이 난다. 본인은 급사는 전향각으로 세팅을 한다.)
https://youtu.be/kc2tA4HFGUg?si=zV_RSP7d9QShRJr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