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십니까?
겐세이짱 이경성입니다.
회사메일이 이상한 관계로 시간이 잠깐 생겨 짧지만 강한(?) 칼럼 한줄 쓰도록 하겠습니다.
초보를 위한 내용이오니 고수분들께서는 더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 주시기 바랍니다.
얼마전 일입니다.
동호회 형님 한분이 자신은 자세를 낮춘다고 낮춰도 엣지가 안먹히고 턴이 슬립이 생긴다고 여쭤봅니다.
그래서 다운을 한번 해보라고 평지에서 데크를 벗은채로 다운을 부탁드렸습니다.
역시나... 엉덩이를 낮추십니다.
그래서 한쪽 벽에 손을 짚고 기울기를 준 상태에서 다운을 요청했습니다.
역시나 엉덩이를 낮추십니다.
그래서 다시 여쭤 보았습니다.
발 뒤꿈치(힐턴기준)에 힘이 눌러지는 느낌이 있나요?
없다고 합니다. 기울기만 줬을때랑 똑같다고 합니다.
다운을 하라고 하니 대부분의 초급 보더들은 엉덩이를 슬로프면에 가깝게 가져다 댑니다.
네... 다운 맞습니다.
하지만 다운의 목적이 데크의 엣지에 press (압력)를 가하는데 목적이 있다는건 잘 모르시나 봅니다.
그래서 벽을 짚고 다운한 상태에서 발 뒤꿈치에 힘이 가해지도록 눌러 보라고 했습니다.
쓰는 근육이 틀려 지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허벅지,종아리)
한방에 해결 되었네요.
(내용 더하기 : 슬립의 해결 방법으로는 턴 진입시 중심을 앞발에, 턴 마무리시 사활강 라인을 잡는것도 중요합니다)
Down 은 무릎 아래로 Press를 전달 하는것이 Down 입니다.
Up은 Down에서 전달된 Press를 빼는것이 Up 입니다.
동작에서는 Up,Down 이 크게 보일지라도 실제 적인 효과로는 데크의 Press를 전달/해제 하는것이 up/down 입니다.
P.S : 순간적으로 Up/Down을 하는것이 아니라 턴 시작 부터 끝날때 까지 Press를 고루게 나누는것이 중요 합니다.
-> 너비스/인터미디어트 기준
- 카빙의 경우 턴 진입 부터 끝날때 까지 강하게 눌러 버티는 것입니다.
- Tip : 턴 마무리시 프레스를 뒷발에 강하게 줬다 순간적으로 up을 할경우 새로운 세계를 보실 겁니다. (중급이상)
[연습 방법]
- 사이드 슬리핑으로 경사면을 빠르게 내려 가다가 정지 하는 연습을 합니다.
: 발목을 순간 세워서 멈추는것은 배제 해야 합니다.
: 밀리면서 멈추는것이 정상입니다만 연습을 통해 밀리는 거리를 줄여 나가보세요
넋두리 :
1) 이번시즌 보드장 8번 밖에 못갔어요. ㅜㅜ
2) WSF 렙2 떨어지면 성우 캠프고 뭐고 없음 ㅡㅡ;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