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와 스키가 해를 거듭해 갈 수록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많은 대회들도 생겨나고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중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스포츠로 자리 잡아가면서

 

취미로만 즐기는게 아니라 전문 직종의 성향도 점점 커져가고 있습니다.

 

뭐 대략적으로 그들을 프로라 칭하겠습니다.

 

여기서 제 머릿속에 혼동이 좀 생겼습니다.

 

'프로' 함은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일을 전문으로 하거나 그런 지식이나 기술을 가진 사람. 또는 직업 선수. ‘전문가’, ‘직업’으로 순화."

이렇습니다.

 

일반적인 실 생활속의 프로는 통상적인 사용 범위는 '전문 지식인' 보다는 '직업 선수' 로 많이 쓰이죠.

 

 권대원 프로, 이대로 프로, 박광수 프로 등등....전문 직업선수들 같은 경우야 사전적의미대로 프로다 라는건

알겠습니다.

 

하지만 프로라고 칭해지고 있는 보더들 가운데 이게 전문직업인이 아닌 사람들도 많은것 같습니다. 잘은 모르지만서도...

또 샾이나 브랜드회사로등으로 부터 스폰을 좀 받는다고 해서 프로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구요.아니라고 하는사람도 있구요.

스폰을 받지만 아마추어대회에 밖에 못나가는 사람들도 있을테고....

프로대회는 참가 기준이 무엇인가요?  아마대회에서 몇차례 입상을 한사람들에 한해서만 참가자격을 얻나요?

프로대회 나가야 프로다! 라고 해야할까요?

 

뭐 이래저래....정확히 아는게 없다보니 '프로보더'에 대한 정의가 잘 서질 않네요;;;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 글을 적어봅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704
816 하이원 마운틴콘도 시즌방 일인당 100 만원씩 한다면.. [6] Mixup 2011-06-16   5069
815 광고게시판에 대한 견해 [2] 살색곰 2011-05-02   3053
814 대형 실내 스키장이 생긴다면? [31] i솔연청풍i 2011-04-06   8927
813 버튼바인딩 .... file [27] 동이™ 2011-03-24   8368
812 일본산데크에관해서... [16] depeche너른... 2011-03-18   8590
811 고수분들께 질문드립니다. (그린데이즈님/Ricky님 라이딩 관련) [10] 김성민_996786 2011-03-18   7187
810 통합 리프트권에 대한 초보 보더의 짧은 생각~~^^ [19] 혼이담긴보더 2011-03-14   6143
809 뒤 에서 와서 충돌 하였다면 .........(초급,중급,상급 슬로프 상관없이) [19] 최훈태 2011-03-11   6385
808 카빙시 프레스를 어떻게 주나요?(앵글레이션, 아님 다운) [17] 장땡_1018957 2011-03-09   8095
807 정말로 황당한 보더네요~ 보더들도 기본 예의는 지켜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12] georgee 2011-03-09   7417
806 '영어로 길을 잃다.' 이대로 좋은가? [10] 새파랑 2011-03-04   6433
805 충돌 후 보상관련 [6] 호잇~^-^ 2011-02-25   4725
804 여러분의 선택이 궁금합니다. [64] 봉추봉 2011-02-21   7087
803 로테이션때의 느낌. [15] self 2011-02-19   5884
802 프리와 알파인 [16] Rider_moon 2011-02-15 1 6461
801 정말 위험한 동영상 하나..생각좀 해봅시다. [31] 쿨러닝! 2011-02-15 1 8562
» 프로보더의 정의? [15] 맨땅에서트릭 2011-02-09   6346
799 스노우보드 탈때 제일 처음 배우는것!? [30] eS必 2011-02-07   8651
798 헝그리보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1] 프농달 2011-02-06   4969
797 선간지 후실력? ^^ [82] 분노의쓰리 2011-02-05   11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