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마지막으로 스키장에 갔다 왔습니다.
급경사 슬로프에 전에 봤던 보더분이 여전히 슬라이딩턴으로 내려 오고 있더군요.
전에 한번 만났을때
자기가 원하는 슬로프에 되던 안되던
스탠스 앤 발란스와 피봇 그리고 엣징에 신경을 쓰고 등등 에 빠따띠.....
이번에 뵈었을때도 제가 시범을 보이면서 카빙이 가능한 슬로프로 만들라고 했는데
헝글 칼럼에 슬라이딩턴 익히면 카빙이 쉽다 라는 글을 읽었고 댓글이 모두 동조하는 댓글 이라고 하네요.
슬라이딩턴은 상체를 과하게 돌림으로써 만들어지는 드리프트입니다.
턴이 이루어질때 어느쪽이 더 강하면서 섬세한지를 생각해보세요.
솔직히 남의 자세가 어쪼ㅓ니 뭐니 웃깁니다. 원리만 알면 나머지는 자기 몸이 알아서 맞춰줍니다.
카빙턴을 할 수 있는 슬로프에서 슬라이딩턴 익히기
슬라이딩턴이 가능한 슬로프에서 카빙턴 익히기
어느쪽이 더 후자를 쉽게 익힐 수 있을까요?
너무 과도하게 슬라이딩 턴만 하는 모습이 전 이건 아닌데 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일본 보더들의 카빙턴을 보면 구력이 대단한 듯 합니다.
모든 에지체인지가 골반밑에서 이루어지네요. 데크를 넘김에 단숨에 그리고 강하게 에지를 박을때
중심이 이미 하체에 있습니다.
이건 구력에서 나오는 내공이죠. 아마 대부분의 보더들이 저렇게 탄다면 에지체인지후 강하게 엣징이 안되어서
턴이 터져버릴거라고 생각합니다.
에르큘 보더...
강한 보더 라는 프랑스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강조한 말입니다.
다니엘 프랑크를 휘면서 급경사에서 카빙턴으로 내려오던 선생님들.
특히 카빙 내공을 연마하는 분들은 미디엄 라디우스 턴 (미들턴)에 신경써 주세요.
로테이션보단 데크를 휘어서 라디우스를 줄여주는데 신경쓰세요. 로테이션 너무 많이 주면
턴에서 스키딩 납니다. 강한 스티어링으로 생기는 카빙시의 스키딩은 나중에 배워도 됩니다.
스윙앤 글라이드도 나중에 익혀도 됩니다. 관광보다는 강하게 크시길..
그리고 추천해주는 어느 분 의 영상을 봤습니다.
저보다 나이는 어리지만 정말 잘 타는 대단한 보더더군요.
그 분은 훗날 진정 라이딩 이라는 쪽에선 전설이 될 만한 보더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제 생각, 억측 일지도,에 그 분은 스노보드 보다는 스케이트 보드를 먼저 접한 분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