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분이 이런말을 하셨더군요
도대체 게임중독이 도박 중독과 비슷하다는 발상은 어디서 나온 것인지 라고 말씀하셨는데
=================================================
제개인적인 의견이 아니고 기존에 이에 관한 논문도 나왔고
도박중독자의 뇌MRI사진과 게임중독자의 뇌MRI사진. 정상인의 뇌 MRI사진을 비교하였을때
정산인과 차이가 나타났으며 도박중독자와 게임중독자의 뇌변형이 유사하게 나타나며 비슷한 문제행동이 나타난다고 검증된 논문도 있었고~ 현재 이에 대한 주장도 설득력을 얻는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 스타크레프트의 무분별한 서버다운은 저도 문제라고 봅니다.
이건 블라자드 측과 협의하여 보완책을 만들어야 할문제지 그냥 서버 다운시키고 보자는 옳바른 해결책이아니죠..
그리고 현재 게임이용 시간에 제약이 없다는건 큰문제 입니다.
게임중독성을 따질때 사용되는 척도중 가장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이용시간으로 압니다.
물론 ~ 개인이 조절할수 있는수준이라면 문제 없습니다
그에대한 규제를 바라는것도 아닙니다
다만 미성년자의 경우 그에대한 절제력도 떨어질뿐아니라
주위에 보셔도 아실수 있듯이 게임이 우선인 사람들만 보아도 왜 이런 주장이 나오시는지 알것같습니다.
여성부의 뻘짓꺼리는 문제지만 뭔가 현실적인 게임중독에 대한 예방책이 필요 한건 사실입니다..
성인마져도 게임중독에 빠지고 극복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데
비성인이 그런절제력을 가질수 없다는게 문제란거죠
게임중독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회비용상실은 게임산업이 기여하는 경제적측면보다 더 크지 않을까란 생각이 드는군요..
게임의 긍정적측면도 있겠지만 부정적 측면도 존재하는거고 이에 대해서 현실적으로 한번은 생각해보실문제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