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직장 다니면서 이 글 쓰려니 참 많이 피곤하네요. ^^;;
그래도 오늘도 여러분의 댓글에 힘입어 또 써 내려갑니다.
1. 펜듈럼(Pendulum, 낙엽타기)
오늘은 바로 펜듈럼입니다. 이 단어의 뜻은 ‘시계추’ 인데요. 흔히들 낙엽타기라고 말씀들 하시지요. 이것은 우리의 보드가 마치 시계추처럼 좌우로 왔다 갔다 하면서 내려오는 기술입니다. 지난 사이드슬리핑에서는 양발에 중심을 50:50의 균형을 유지하며 내려오셨다면, 이번에는 이 균형을 깨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서 보드의 방향전환과, 속도컨트롤을 어떻게 하느냐가 이 단계에서의 키포인트입니다.
이 동작은 사이드슬리핑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토사이드펜듈럼부터 시작을 하며 완만한 경사의 슬로프에서 연습을 합니다.
처음에 토사이드슬리핑을 하고 내려오시다가, 자신이 이동하고자하는(왼쪽이든 오른쪽이든) 방향으로 부츠의 정강이부분을 꾹~ 누르며 체중을 실어줍니다. 이는 위에서 내 무릎을 보았을 때 진행방향 쪽의 무릎이 더 튀어나와 반대 무릎보다 더 낮은 자세입니다. 자연히 골반과 상체는 그 방향으로 쏠린 상태가 되겠지요?
그리고 상체는 내가 손이 닿을 듯 말듯 한 거리에 먹을 것이 있다 생각하고, 그것을 잡으려는 듯한 상체 자세도 하체를 도와 자세를 취합니다. 당연 시선은 진행방향의 연장선을 보아야 합니다. 멀리서 봐도 ‘아~ 저사람 저쪽으로 되게 가고 싶은가보다~’ 라는 자세가 만들어져야 합니다.
그렇게 자세를 취했을 때 보드는 아주 서서히 움직입니다. 절대 빠르게 움직이지 않고 서서히 움직입니다. 눈을 짓뭉개면서 뽀드득뽀드득~ 하면서 이동을 하실 겁니다. 이 때 절대 엣지는 세우지 마시고, 베이스로 눈을 뭉개면서 간다고 생각하십시오. 이 기술은 절대 속력이 많이 나서는 안 됩니다.
그리고 키포인트는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하체에서부터 변화가 와야 합니다. 제 글을 잘못 이해하셔서 상체만 표현되고 하체는 가만히 있는 분은 없으셔야 합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왼쪽으로 토사이드펜듈럼을 충분히 하고 가셨다면, 방향 전환시 시선은 다시 정면을 보고 다리를 50:50으로 만드시며 토사이드슬리핑을 합니다. 이동하는 동안 보드의 모양이 약간 틀어져 있기 때문에 다시 정렬을 시키고, 반대방향으로의 연습을 합니다. (힐사이드는 반대로)
만약 바로 다음 반대의 동작을 취할 시 초심자분들은 역엣지로 넘어지실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항상 방향전환과 시작과 끝에는 반드시 사이드슬리핑동작을 섞습니다.
펜듈럼에서는 이와 같이 동작을 다 취하였어도 간혹 보드가 이동하지 않고 사이드슬리핑 모양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슬로프가 평평한 절대 경사가 아니기에 폴라인을 잘 읽고 실행을 하셔야 방향전환을 하실 수 있고, 숙달되지 않은 사람이 짧은 거리에서 좌우로 이동하기란 어려울 수도 있으니 크게크게 길게길게 보고 펜듈럼을 하십시오. 단, 이 기술은 느린 속도에서 좌우의 폭이 크기 때문에 뒤에 오는 스키어나 보더들을 주의하시길 바라며 가급적 한적한 곳에서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다음번 글에선 트래버스와 갈란드턴을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아까는 누구나칼럼에서 '펑키'님의 글을 보았습니다. 저보다 일목요연하고, 깔끔하게 정리를 잘 해놓으시고 너무나 좋은 동영상까지 첨부를 하시는 센스까지~ ㅠㅠ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한 명의 선생님을 모델로 두고 보드를 배우는 것도 좋지만, 여러 스타일의 선생님을 찾으시며 보드를 배우는 방법도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좋은 자료이기에 제 칼럼에서 부족한 부분은 '펑키'님의 글에서 해답을 찾으셔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설연휴 기간 일요일부터는 저도 간만에 스키장에서 살 계획입니다.
시간과 장소가 맞으시는 분은 원하시는 분에 한해 원포인트 강습과 자격증 취득에 관한 정보를 드립니다. 혹은 그냥 같이 신나게 라이딩을 즐기실 분들은 쪽지 주세요. 저는 좀 과감하고 스릴있게 타시는 분 좋아요~ ^^;;;;;;;
참, 그리고 장소는 서울인근 양지나 곤지암 정도 될 듯 합니다. 아니면 사람없는 스타힐로 갈수도.. ^^
스키장을 출발하기 전이나 일정이 잡히는대로 '같이가요' 게시판에 올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