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2006년에 처음 작성하여 2009년에 다시 한번 게시를 하였고,
초보자 강습은 물론 WSF LEVEL1 인스트럭터 시험중 '티칭' 테스트의 교육과정에 맞게 정리하고 나열하였습니다.
09/10 시즌을 맞이 하여, 더욱 실력이 향상된 보더들을 강습...............하는용이 아닌, 언제나 초보자를
강습시키는데 그 중점을 둔 강습순서입니다.

이글을 몇년째 써먹고 있는데, 초보자들을 강습하지엔 좋은 방법이고, 적당하게 적용하고 강사가 데몬스트레이션만
정확히 보여줄수 있다면 어디서든 욕먹지 않는 강사가 될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물론 시즌이 넘어가면서 더욱 고급 기술에 대한 추가를 해야 하는것이 아니냐 라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시즌이 넘어가도 계속 초보자는 생기고 있다고 판단하여 초보자에게 도움을 줄수 있는 능력있는 강사가 되시라고 올리는것이니
참고해주세요.

강습을 많이 해보시고 그런 분들이라면 자기만의 노하우가 있겠지만, 제대로 강습을 받아보지 않았거나 강습순서를 잘 모르시는분이라면
본 게시물을 참고 하시면 도움이 되실껍니다.

쓸때 없는 소리가 길었군요.

시작합니다.


step by step

시작 ---------
//이것은 WSF 교재에 나온 내용으로써 일반 친구들 강습에게는 필요없는 부분이겠죠. 다만 준비운동은 어떤 종류를 하든
어느정도 해주어야 합니다. 추운겨울밖에서 이루어지는 운동이다보니 잔부상이 심한 운동입니다//

자기소개<강사,강습생>
워밍업<기본,심화>
   기본-간단한 게임을 통해 추운날 운동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심화-각 관절 풀기 등 스트레칭을 중점으로 워밍하시면 됩니다.

  

강습 장소 ; 슬로프 하단 한가한 곳
장비설명(보드,옷,부츠확인,바인딩확인,보호대확인등), 슬로프에서의 장비 취급방법등
스텐스결정(아직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확인이 안된사람들을 위해)
        :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주로 축구할때 쓰는 발을 뒤로 놓거나, 몰래 뒤에서 살짝 밀어봤을때 앞에 나가는
         발을 앞으로 정해주면 됩니다.
         //스텐스가 결정이 안되어 있는 사람을 미리 파악하여 몸풀때 뒤에서 살짝 밀거나 하면 정확합니다.//
         //가끔은 발야구는 오른발로 차고 달리기는 오른발이 앞에 있고 등등 복잡하게 엮여 있는 분들도 있습니다.
          경험상 공을 찰때 쓰는 발을 뒤로 해주는게 맞는경우가 많았는데, 어짜피 사이드 슬립하면서 보고있으면 어느정도 구분이 가능합니다//
         다만, 바인딩 세팅이 반대로 되어 있는경우가 있을수 있는데, 대부분 처음 세팅은 오른손잡이면 레귤러로 연습시키면 되고요
          사이드슬립하면서 반대로 되어 있으면 그때 세팅을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개인장비가 아닌 렌탈장비라면 몸을 보드에 맞추어야 한다는 ㅠㅠ;


한발연습--------  
한발묶고 스케이팅(뒷발을 토우쪽 힐쪽 모두 보여주고 편한것을 사용하라고 알려주면 좋습니다)
한발묶고 8자 그리기(8자를 그리려면 뒷발이 토우쪽 힐쪽 모두 사용하게 되는데 어느게 편한지 확실히 느낄수 있죠)
스트레이트러닝-용어를 잘 이해못하시는 분이 계시던데, 한쪽바인딩을 묶고 리프트를 내릴때를 연상하시면 됩니다.
          약간의 경사가 있다가 평지가 되는곳에서 폴라인을 향해 자연스럽게 스케이팅하다가 정지하는것
          (이때부터 후경자세가 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분들을 지금 잡아주지 않으면 몸에 익혀져서 계속 후경자세로 타게 됩니다
          미리미리 잡아주세요)
       // 주의점은 베이스로 가서 자연스럽게 멈추는 장소를 택하는겁니다. 폴라인에 직선이 되게 진행해야합니다 //
등행법(한발을 묶고 경사를 올라가는것)

두발연습 --------
넘어지는 방법 ; 손바닥을 사용하지 않고 엉덩이나 무릎을 이용하여 넘어지는 자세를 알려줘야 합니다.
  손목을 사용하면 대부분 경미한 부상 혹은 중상까지 입게 됩니다.

기본자세(양 무릎을 살짝 접고 균형은 50:50으로 잡고 손 자세는 기본적으로 노즈테일을 향하면 좋고,
   시선은 고개를 돌려 진행방향으로 어깨와 턱 사이에 주먹 하나 정도 거리,어깨가 너무 오픈되지않게 주의)

보드적응하기(두발을 묶은채로 살짝살짝 뛰면서 묶여있는 느낌이 어떤가 적응, 살짝살짝뛰면서 제자리돌기도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이트러닝-두발이 묶여 있는채로 스트레이트 러닝을 하게 되면 혼자서는 잘 멈출수 없기 때문에, 사람이 없는 곳에서 경사가 금방 끝나고
평지가 나오는 곳에서 해야합니다. 스키장에 적당한 자리가 없다면 차라리 안하는게 낫습니다. 아니면 잡아주면서 하던가요..

사이드 슬립 -------
일반적으로 힐엣지쪽이 쉽고 토엣지쪽이 어렵기 때문에 토엣지를 먼저 가르쳐 주고 힐을 하면 실력이
금방금방 늘어서 강습생도 좋아합니다.(다만 사람마다 반대인 경우도 있습니다)
제경우 토엣지를 줄때는 양 무릎을 발앞꿈치쪽으로 눌러서 엣지를 주고 엣지를 풀때는 살짝 일어나라고 가르쳐줍니다. 힐엣지는 엉덩이를
뒷꿈치쪽으로 내린다는 느낌으로 하라고 합니다.(다만 엉덩이가 빠져나오지 않게 주의를 줘야 합니다)
  ; 당연하지만 강사는 토엣지할때는 윗쪽에서 힐엣지할때는 아래쪽에서 손을 잡아줍니다
이때 시선은 힐엣지쪽을 할때는 슬로프 아래쪽을, 토엣지쪽을 할 때는 정상쪽을 멀리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토엣지 , 힐엣지 모두 발꿈치를 바라보게 되면 당연히 허리가 구부려져서 새우등자세가 됩니다.

트래버싱,펜듈럼(낙엽)------
이제부터는 시선에 중요함이 절실히 느껴지게 됩니다.
가는 방향의 먼쪽을 바라봐주면서 가르쳐주는것이 중요합니다.
강사가 한발로 타는것이 익숙하다면 별로 어렵지 않게 빠른 속도로 진도를 나갈수 있습니다.
시선을 진행방향으로 바라보고 엣지를 준 상태에서 진행방향쪽으로 힘을 줘서 출발하게 하고 50:50을 유지시켜주는것이 기본자세에 도움이 됩니다만,
진행방향으로 잘 못가는 경우 앞발에 힘을 더주라고 하면 편하게 갈수 있습니다. 정지할때는 진행방향에서 약간 위쪽을 바라보면 정지할수 있습니다.
//이때 후경자세가 나오게 됩니다. 철저하게 잡아주세요 ^^; //


하프턴,갈란데-------
턴을 하기전에 폴라인에서의 속도감을 이겨내고 컨트롤할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됩니다.
폴라인일때 후경이 되는것을 여기서 확실하게 잡아줘야 합니다.
폴라인일때는 베이스로 가고 살짝 슬라이딩 되었을때 엣지를 사용하는 것도 느끼게 해줘야 합니다.
역시 시선이 중요하죠, 가는방향 폴라인 다시 가는 방향으로 시선을 정확하게 알려줘야 쉽게 배웁니다.
  -- 하프턴은 일반적으로 턴이 아니라 계단식으로 토우-베이스-토우 이런식으로 진행합니다
     힐-베이스-힐 이런식이죠.
  ;초보자는 처음에 폴라인에서 어느정도 각일때 베이스를 사용하고 어느정도 각일때 엣지를 써야 하는지 타이밍을 모릅니다
   그래서 너무 폴라인에 있을때 엣지를 쓰게되면 빨라지면서 엣지를 빼지고 못하고 넘어집니다.
   구령으로 '엣지','베이스','엣지' 이런식으로 타이밍을 알려주세요.


턴 --------
하프턴을 정확하게 익히고 기초에서 시선 처리를 확실히 느꼈다면 매우 쉽게 턴을 완성할수 있습니다.
시선처리의 포인트를 알려주고 토우/베이스/힐 전환의 타이밍만 알게 된다면 간단합니다.
;이 부분에서도 구령으로 토우/베이스/힐 전환 타이밍을 알려주면 금방 합니다.
강사가 시선을 유도해주거나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시선처리를 느끼게 해줍니다
자꾸 후경자세가 되거나 폴라인에서 엣지를 사용을 못하거나 자세가 불안하면 하프턴을 더 연습합니다.
  

연결턴 ------
턴을 연결해서 하면 됩니다 ^^;
(사족을 달자면 WSF 시험때 이부분에 티칭테스트를 하게 되면 사실 할께 없어서 당황스럽습니다 ^^; , 당황하지 마시고 턴을 두번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


여기서 말하는 턴은 당연히 슬라이딩턴입니다.
웬만한 남자분들은 어설프게나마 한타임(오전이나 오후 혹은 야간) 정도면 슬라이딩 턴은 어느정도 익히게 됩니다.
문제는 빨리 배운 남자분들의 경우 자세가 흐트러졌어도 대충 턴을 하면서 내려가면 본인이 잘타는걸로 알고 상급자등 여러 코스를 다니게 되는데,
그러면 정확한 자세가 아닌게 더 엉망이 됩니다.
재빨리 폰카로 동영상이라도 하나 찍어주시면........ 잘 연습 하실껍니다.

----------------------------------------------------------------------------------------------------------------------------------------
지난 수년간 유료강습, 교양수업 강습, 친구들강습, 동호회강습등 여러 강습의 노하우와 WSF 검정에서의 교육과정을 대략적으로 정리하여 글을 쓰고
아주 쪼금이지만 0910때는 살을 좀더 찌웠네요 ^^;
학생이었을때는 보드도 많이 타고 연습도 많이해서 정확한 데몬을 위해 노력했지만, 이제는 회사에 다니고 마음대로 보드를 못타다보니 실력은 점점
떨어지고, 몸은 마음처럼 안 움직이네요.
올해는 시간이 허락한하면 어케 ricky님께도 좀 강습 좀 받고 그러려구요 ^^;


토요일/일요일 첫 라이딩을 했습니다. 지금 다리가 후달려서 죽겠네요..

여러분들도 0910시즌 다치지 마시고 즐겁게 타시길 바랍니다.

----------------------------------------------------------------------------------------------------------------------------------------

PS: 예전 글 링크를 첨부합니다.
덧글로 여러분들이 좋은 의견들 주셨습니다. 그것도 글에 첨부를 해서 정리를 했어야 하는데 점심시간에 정리하기에는 벅찬일이네요.
전 글도 한번씩 읽으시어 덧글의 소중한 정보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09년 1월 게시글
http://www.hungryboarder.com/zboard/zboard.php?id=othercolum&page=1&sn1=&divpage=1&sn=on&ss=on&sc=off&keyword=고타나&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063

06년 3월 게시글
http://www.hungryboarder.com/zboard/zboard.php?id=othercolum&page=1&sn1=&divpage=1&sn=on&ss=on&sc=off&keyword=고타나&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246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05
2272 의학,부상,사고 초보가 보는 충돌 사고 예방 방법 [10] 가루군 2009-12-13 34 5434
2271 장비 관련 해외에서 '라이딩'용이라고 하는 보드의 속... [30] 카릴 2009-12-13 46 8133
2270 기타 누구나 쉽게 youtube 동영상을 저장하는 방법 [13] (ᵔᴥᵔ)NEØLØGIC 2009-12-11 62 8205
2269 기술(테크닉) 사진으로 보는 그랩(이전 게시물 사진이 존... file [3] 슭훗 2009-12-10 68 7322
2268 기술(테크닉) 그랩을쉽게 하는 방법~~~! (부제 정확한 팝) [24] volcomsnow 2009-12-09 63 10337
2267 장비 튜닝 부츠때문에 복숭아뼈안쪽이 아프신가요? [18] fgfgfg 2009-12-09 78 7790
2266 기술(테크닉) 초보를 강습하기전에 고려해야할 사항 [27] ┓푸른바다┏ 2009-12-08 49 9958
» 초보를 위한 강좌 누군가에게 강습을 해줘야 한다. 어떻게 할까? [17] 고타나 2009-12-07 68 9876
2264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입문 경험담과 얇팍한 노하우.. [19] 늦뚱이보더 2009-12-05 50 8791
2263 의학,부상,사고 일상생활 배상책임 보험... [16] 곰돌군 2009-12-04 44 14698
2262 해외원정 원정 초보자를 위한 일본원정 가이드 [24] 제푸 2009-12-03 72 9891
2261 장비 관련 플로우바인딩 세팅하기 [28] 따랑해 2009-12-02 65 18117
2260 장비 튜닝 마음에 드는 스티커로 스톰패드 DIY하기 [18] 이대표 2009-12-02 46 8380
2259 초보를 위한 강좌 모든 보더 준수사항 [51] 사쿠라몬토야 2009-12-01 32 8047
2258 의학,부상,사고 0910 스키 관련 보험 정리 (ver.09120101) file [31] ^^ 2009-12-01 35 6397
2257 기타 데크로부터 보드백 보호하기... 보호포대기?? file [15] 스머프반바지 2009-11-30 71 5387
2256 기술(테크닉) 여성보더님들을 위한 슬롭에서의 킥커입문연... file [24] 대니컸어 2009-11-30 38 7130
2255 장비 튜닝 100% 수제 고글 만들기!!!!!!!! [114] 아말피 2009-11-29 63 13390
2254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99
2253 절약법 집에서 만드는 아주 저렴하고 편한 엉덩이 ... file [17] leeho730 2009-11-28 46 8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