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랩잡는법에대해 많은분들이 궁금해 하시는것 같아서 적어봅니다~



일단 그랩에 들어가기에 앞서~~~


1. 어프로치 자세는 양발 스탠스각도에 따라서 달라질수 있습니다.

2.베이스라이딩은 충분히 연습해야합니다

3. 바인딩 센터링체크는 반드시 해주세요

4. 복부 근력이 그랩잡는데 많은 도움을 줄수 있습니다.





그랩은 팝에 대한 이해가 정확해야합니다.


그랩은 보드를 잡는 동작입니다.

하지만 허리를 숙여서 보드를 잡는으면 몸의 중심이 흐트러져서 위험한 랜딩으로 이어질수 있습니다.

내가 다리를접고 허리를숙여서 보드를 잡는다는 개념보다 보드가 위로 올라와서 손만 대서 잡는다는 개념으로 이해하셔야합니다.

그렇다면 보드가 올라오는것이 다리를 접어서 보드를 잡는것과 무엇이 다른가~?

팝에의해서 보드를 올려야합니다. 즉 힘으로 보드를 손과 가까이 만드는게 아닌 팝에 의해서 보드가 손에 가깝게 만들어주어야합니다.


그렇다면 정확한 팝이란 무엇인가??

팝에대해서 여러가지 의견들이 많이 있습니다.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는데요

양발로 립을 밀어준다는 개념과

뒷발에 힘이 좀더 실려서 밀어준다는 개념입니다.


둘다 킥커 위에서 립을 밀어서 순간 속도를 내기 위함은 같습니다.

이때 립이 곡선이 심할수록 팝을 행할때 순간 가속도는 더 빠르고 높게 나올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파이프 트렌지션에서의 펌핑개념과 흡사합니다. 즉 그네타는것과 같은 이론이죠~


대신 립의 어느위치에서 밀어내느냐의 타이밍에 따라 조금 다른듯합니다.

즉 보드가 립에 어느위치에 걸려서 팝이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다른데요

일단 팝은 립을 끝까지 탄다는 생각에서 출발해서 립이 끝날때 까지의 길이에 대비해서 너무 빠르지 않게

립에서 수직(땅에서 수직이 아닌..) 으로 밀어낸다는 개념으로 밀어주시면 됩니다. 이때 머리를 약간 위로 들어준다는 느낌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이때 보드가 립에 걸리기전에 마지막으로 다 펴느냐 립이 보드 테일에 걸렸을때 보드를 다 밀어내느냐의 차이입니다만

보드가 립에 걸렸을때 팝이 끝나는게 최고 좋다고 볼수 있으나 타이밍이 어렵기 떄문에

처음엔 보드가 노즈나 보드의 중간에 걸렸을떄 팝이 끝나는게 좋습니다.

물론 보드가 테일에 걸렸을때 팝이 끝나도록 연습하시는게 제일 좋고요~

보드가 테일에 걸렸을때 팝을 주게되면 테일이 팅기면서 알리느낌이 나게 되는데요~

요부분이 사실 팝에서 알리냐 팝이냐의 논란인 부분입니다.

즉 립에서 테일이 걸렸을때 팝이 킥커에서의 알리라고 생각합니다만

분명 슬로프에서의 알리자세와는 많은 차이가 있죠~

알리는 테일탄성이용후 자세를 다시 앞쪽으로 하지만

킥커에서 테일 이용은 립의 경사 그대로 어느정도 위로 솟아 올라갑니다.

하지만 테일탄성이 들어간다는것은 같습니다.



팝 타이밍이 팝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부분중 하나입니다.

너무 빨리치면 삑사리 나는 느낌으로 그냥 발로 립을 위로 힘으로 찼다는 느낌이구요 너무 늦게치면 립에 안걸리고 그냥 그속도로 넘어가는 느낌이 됩니다.


이런 팝의대한 감이 생긴다면 보드는 자기도 모르게 쑤욱 위로 순간 가속을 내면서 보드를 내가 힘을 주지 않아도 끌어올릴수 잇습니다.

약간은 무중력의 느낌이라고 할까요~



스핀시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스핀시에도 보드가 위로 솟지 않거나 보드가 립을 벗어나면서 속도가 많이 감소한다면

많은 슬립으로 인한 속도저하도 있겠지만요.~

그것은 정확한 팝을 주지 않아서일 경우가 많습니다.


즉 이런 정확한 팝을 이해하고 연습하신다면 그이후엔그냥 보드에 손만 대면 보드가 잡힙니다.


보드가 립에서 벗어나서의 동작은 립에 벗어나서 동작을 생각해서 행동하기엔 좀 짧은 시간이거나 생각조차 안나는경우가 많습니다.

이럴땐 킥커를 타시기전에 미리 슬로프에서 앉아서 보드를 잡아보시는 동작으로 이미지트레이닝을 해보시는것도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그런식으로 미리 보드잡는 동작을 익숙하게 만들어서 정확한 팝이 이루어졌을때 반사적으로 보드를 잡게 하는 행동으로 만들어주는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보드가 립을 벗어나서는 내가 잡을 보드의 위치를 확인하고 잡을수 없습니다. 그래서 미리 반사적인 행동을 연습하시는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어프로치시에 상체가 꽂꽂히 세워져 있는것보다 상체도 약간 숙이고 다리도 구부리시면서 어프로치 들어가시는게 좋습니다.

요부분은 스타일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때 그때 다르다고 말씀드리고 싶고요


오늘의 요점은 정확한  팝이 안전하고 쉬운 그랩잡기를 도와준다였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곘네요~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05
2272 의학,부상,사고 초보가 보는 충돌 사고 예방 방법 [10] 가루군 2009-12-13 34 5434
2271 장비 관련 해외에서 '라이딩'용이라고 하는 보드의 속... [30] 카릴 2009-12-13 46 8133
2270 기타 누구나 쉽게 youtube 동영상을 저장하는 방법 [13] (ᵔᴥᵔ)NEØLØGIC 2009-12-11 62 8205
2269 기술(테크닉) 사진으로 보는 그랩(이전 게시물 사진이 존... file [3] 슭훗 2009-12-10 68 7322
» 기술(테크닉) 그랩을쉽게 하는 방법~~~! (부제 정확한 팝) [24] volcomsnow 2009-12-09 63 10337
2267 장비 튜닝 부츠때문에 복숭아뼈안쪽이 아프신가요? [18] fgfgfg 2009-12-09 78 7790
2266 기술(테크닉) 초보를 강습하기전에 고려해야할 사항 [27] ┓푸른바다┏ 2009-12-08 49 9958
2265 초보를 위한 강좌 누군가에게 강습을 해줘야 한다. 어떻게 할까? [17] 고타나 2009-12-07 68 9876
2264 초보를 위한 강좌 보드입문 경험담과 얇팍한 노하우.. [19] 늦뚱이보더 2009-12-05 50 8791
2263 의학,부상,사고 일상생활 배상책임 보험... [16] 곰돌군 2009-12-04 44 14698
2262 해외원정 원정 초보자를 위한 일본원정 가이드 [24] 제푸 2009-12-03 72 9891
2261 장비 관련 플로우바인딩 세팅하기 [28] 따랑해 2009-12-02 65 18117
2260 장비 튜닝 마음에 드는 스티커로 스톰패드 DIY하기 [18] 이대표 2009-12-02 46 8380
2259 초보를 위한 강좌 모든 보더 준수사항 [51] 사쿠라몬토야 2009-12-01 32 8047
2258 의학,부상,사고 0910 스키 관련 보험 정리 (ver.09120101) file [31] ^^ 2009-12-01 35 6397
2257 기타 데크로부터 보드백 보호하기... 보호포대기?? file [15] 스머프반바지 2009-11-30 71 5387
2256 기술(테크닉) 여성보더님들을 위한 슬롭에서의 킥커입문연... file [24] 대니컸어 2009-11-30 38 7130
2255 장비 튜닝 100% 수제 고글 만들기!!!!!!!! [114] 아말피 2009-11-29 63 13390
2254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99
2253 절약법 집에서 만드는 아주 저렴하고 편한 엉덩이 ... file [17] leeho730 2009-11-28 46 8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