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우리가 상급경사를 기가막히게 탈 수 있다면 이런 논의가 여러가지 관점에서 다루어지지도 않을겁니다. 상급경사는 항상 보더들이 정복하기 위해서 연습하는 곳이고, 그렇게 연습을 하다보면 실수도 나올 수 있고 그렇죠. 말아타는것도 스키어들 괴롭힐려고 말아 탄다기보다는 속도를 제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사용하는 것이겠죠. 여기서 스키어들은 짜증이 나는 것이겠죠. 과거 덕스텐스 라이더들은 급사에서 대부분 슬라이딩턴을 하면서 슬로프 구석에서 눈을 차고 다녔죠. 그러다가 카빙이 유행하고 슬로프의 대부분을 사용하면서 카빙라인을 그리기 시작하고, 라인이 다른 스키어는 이 전향각 라이더가 슬로프 전세낸건가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겠죠. 일전에 덕으로 타는 분이 일침을 가하기도 했죠. 뭐하는거냐고.... 그러나 사람들은 그게 하고싶으니 어쩌겠습니까만.....(동전을 줍줍)
결국 상급라인에서 슬로프를 절반이상을 쓰면서 카빙하는 사람들은 한동안은 줄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서로 사고가 안나려면 어떤식으로 타야할지 고민을 해봐야 하지 않을까 하네요. 왜 저런식으로 타느냐라는건 어떤 정석적인 방식이 있고 그것에서 많이 벗어난 방식이라고 비판하는건데 그런게 있지도 않죠. 중요한건 전향각 해머들은 자기들이 사고 날까봐 기다렸다가 탑니다. 이 모든 불만들은 앞에서 느릿느릿 그런데 옆으로는 빠른 그런 카빙을 그리는 전향각 라이더들에 대해서 지나가고 싶어하는 쏘는 덕라이더, 슬턴하는데 조금 속도가 있는 슬턴라이더, 스키어가 있겠죠. 결국 슬로프를 크게쓰는 전향각라이더가 줄지 않는 한 조금 짜증스럽더라도 안전을 위해서 추월은 조심해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추월할때 사고가 날지 않날지는 모르겠지만 전향각라이더들이 전세를 낸것은 아니니 추월하다가 부딛치지는 않았지만 스처지나가도 내잘못은 아니다 라는 방식으로 사고방식을 가진다면 여기에 도덕적인 사고방식이 깔려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덕적 사고 말고 뭐가 우리에게 안전한가를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합니다. 여기에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봐야 사람마다 생각이다르고 일반적인 도덕적 관점이 여기에 적용되지도 않기 때문이죠.
즉 전향각 라이더들은 이제 스키장을 찾는 사람들이 받아들여야 하는 존재로 대중화 된것이 아닌가합니다. 여기에 대해서 무엇이 나의 보드 라이프에 좋은가, 어떤 방식이 안전한 나의 보드라이프를 가능하게 하는가 라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사고를 줄이고 즐겁게 스노우보드를 즐길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덧글들을 보니 여기 덧글 다시는 분들은 누구 박으실분들은 아닌것 같네요 ^^ 이런분들만 있다면 스키장이 안전해 질텐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