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학교였죠 아마?
제가 지금 말하는 초등학교를 졸업했던게..
어느덧 일곱여섯 딸아들 두아이의 아빠가 됐네요.
국민학교(이하 초등학교) 코 찔찔이때
알프스, 용평 내키보다크고 지금 스키보다 더 날씬한
몸매의 스키 속칭 알파인 대회전.
그걸타면서 카빙에서 프리 스키까지
언 조금 모자란 20여년.
그동안
바꾼 스키.부츠만 몇십여개.
헝글 하시는 분들에게 친숙한
살로몬스키부터 헤드,아토믹
익숙하지 않으신 뵐클, 노르디카
수없이 많은 장비를 접해왔습니다.
스키는 보드와는 다르게
같은 브랜드 셋트로 깔맞춤이 안되요.
금전적문제든 아님 신체적 문제로.
스키 렙1 따고 보드로 전향했었죠
처음엔 눈밥먹은게 얼만데 이까짓거했죠.
네.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두발이 자유롭나 묶여있나의 차이는 크더라고요.
그렇게 보드밥 먹은지도 몇년...
연차의 기준은
시즌중 하이원 기준 08주간 8시간 기준으로
밥먹는 시간빼고 7시간.
시즌중 60일은 상주했던거 같네요.
저같은 경우는 가족이 있어
가족있음 콘도 없음 모텔...
한번 들옴 4박5일 풀보딩.
암튼 제가 탔던 기준으로 연차기준이라 생각하는
기준입니다.
각설하고
연차 쌓으면서 스키 보드 타면서
스키에서 보드로 전향하고
나름 국민덱이라 불리는
오피셜 앤썸 두개 타보다
트릭보단 라이딩에 비중을 두었고,
그래서 올시즌 올라덱으로 앤썸계속타고
올해 라이딩덱으로 f2엘리 카본 뽑아 타고있습니다.
프리덱과는 또다른 적응이 필요하더군요...
즐기는 보더로써
저런 논란들을 보면서
과연 논란의 데크를 완벽히 타고 느껴보고
말하는건가 싶네요.
말랑캠으로 급사 써시는분들은 썰고
하드데크로 돌릴뿐은 돌립니다.
저 또한 헝글의 데이터를 받아
보드에 입문했고
지금까지 타면서 제일 가슴에 와닿았던 말은
고수는 렌탈덱도 썰고 다닌다였습니다.
좋은덱이라 추천하는
두가지 덱을 1년이상 티본 입장으로
헝글보고 입문하시는 분들도 많은데
혼선의 여지는 없었으면합니다.
초중급 경사서는 어찌보면
오피셜 손을 들어줄수있으나
급사.테크니컬은 앤썸편 들고 싶네요.
살로몬엔 프로토콜이 있고
Xlt가 있으니까요.
오피셜이 있는데 괜히
중복투자로 오피셜 상위 라인을 만들진않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