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한국에서는 K2스키에 대한 인지도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번에 K2살까 그러는데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아 또 K2코리아랑 K2의 차이점을 아시는분 계시나요?
아무리 프리스타일이라도 리얼센터로 놓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스키 제조사에서도 그렇게 권장하지 않고 있구요.
센터 기준으로 최소 2~3인치 뒤로 옮겨 타시면 라이딩이 훨씬 수월해질 겁니다.
din의 경우 대한민국 남성 평균 신장과 체중을 고려하면
바인딩 제조사인 marker의 din세팅 관련 도표를 참고했을 때 6이나 7에 놓는 것이 맞습니다.
저렇게 din을 맞추면 여러 상황에서 스키가 생각보다 잘풀리는데 그게 맞는 것입니다.
실력이 향상될 수록 스키는 덜풀리게 되므로 안전을 위해서라도 적정 din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K2 스키는 국내에 정식 유통된지 얼마되지 않았습니다.
샘플 수입은 쫌 됐지만 유통이 안됐었구요. K2 스키보다는 보드쪽을 국내에서는 알려졌는데,
묵직한 데크로 많이 생각하고 있는거 같더라구요.
K2 스키 역시 묵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