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야문제.

조회 수 2480 추천 수 0 2012.01.12 16:42:47
스키, 보더의 시야 문제가 종종 걸리는데요,

제생각엔 스키어나, 프리보더나 시야는 똑같다고 생각 되거든요, 뒤가 안보이는건 매 한가지고 얼마나 살피고 다니냐가 문제 아닐까요??
엮인글 :

뱅뱅™

2012.01.12 22:29:48
*.246.73.5

스키와 보드가 시야가 조금 다르긴합니다 스키는 종 방향이 기본이고 보드는 황방향이 기본이되죠 겹치지 않는 구간에서 사고가 많이 나는 편이죠

예를들면 짧게 끊어서 스키딩턴하는 스키어와 크게 롱카빙 하던 보더가 슬롭 가장자리에서 꽝~

봉초봉초

2012.01.13 14:10:26
*.137.74.152

항상 조심하게 타야조

악플러스

2012.01.13 14:56:34
*.216.29.245

진행방향이 같다면 시야는 거의 동일합니다.

가고자하는 방향을 보는 것은 기초중의 기초입니다

 

시야는 실력과 비례할 뿐입니다

초보때는 스키든 보드든 시야가 정말 좁고

고수가 될수록 여유가 생기면서 시야가 넓어집니다

 

자주 발생하는 숏턴 스키어와 롱턴 보더의 충돌

보더가 슬로프밑에 있었다면 스키어가 당연히도 보더를 먼저 보았어야 합니다.

밑을 보고 진행하는 스키어의 시야에 있으니까요

보더는 먼저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롱턴이든 숏턴이든 슬로프위를 보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보지 못하고 충돌했다면? 스키어가 앞은 신경도 안쓰고 지갈길만 갈정도의 실력밖에 안되는겁니다.

이건 스키가 시야가 넓다는 것이 편견이며, 단지 시야는 실력에 따른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시야를 넓히려면

1. 여유를 갖고 라이딩할것

2. 실력을 쌓을것

3. 빅고글, 밝은고글을 살것

 

스노스노

2012.01.13 16:50:03
*.233.42.207

보호대 하시고 ^^ 요즘에 저는 소리로 ^^ ㅋㅋㅋㅋ

720도전

2012.01.13 18:53:40
*.192.182.16

보드는 힐로 들어갈때 시야가 좀 더 좁아질수 밖에 없죠...

USA고릴라

2012.01.15 03:42:28
*.195.23.43

저는 개인적으로 힐이 더 시야가 넓어지는거 같습니다.


토는 뒤쪽 산쪽을 볼 수 있으니까 넓다고 느끼시는거 같으나...


개인적으로는 힐턴을 할때 더 많은 시야를 확보하게 되는거 같아요...


어깨가 돌아가서 이러나... 

라리라

2012.01.14 16:16:41
*.179.206.242

시야 얘기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특정 논리를 이끌어 내거나 혹은 변명으로 쓰이기 위한 소재일 뿐이죠. 사람의 눈이 뒤로 돌아가지 않는 이상 보드를 타던 스키를 타던 자동차를 운전하던 자전거를 타던 시야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타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안 보이는 시야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느냐의 차이겠죠.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전체 슬로프의 전후 좌우를 수시로 체크하면서 가면 안보이는 부분에 대해서도 뇌로 상상하면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를 운전해 보시면 잘 알죠. 

스팬서

2012.01.15 12:41:22
*.142.195.110

제한적인 시야를 어디에 쓰느냐의 차이겠죠.

스키나 보더 모두 가고자하는 방향의 전방 입니다.

그러나 보더는 토턴때  고개를 더 돌려서 후방도 체크할 수 있어서 스키어보다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원쿤C

2012.01.16 14:21:32
*.223.42.109

스키나 보드나 동일하다 생각합니다. 두타입다 사람들의 어림 동선 파악 및 가고자하는 방향의 전범위적 시야 확보가 중요하겠지요전방 진행이다보니 진행 보다는  스톱위치 가 중요하다 생각 되네요 그물망쪽으로 가서 쉬시길 ~~또한   턴도 일종의 브레이크 인지라   갑작스럽게 각 죽여서 턴하시지 마시길  ㅎㅎㅎ 

 

Typhoon™

2012.01.16 19:32:59
*.246.77.241

스키라고 해서 진행방향을 본다고 생각 하시나요? 

땅바닥 보고 타는 사람들 많습니다 가장 문제되는게 스키어들중 자기턴만

생각하고 플레이트 끝 팁만 보고 탑니다 턴하다 스키가 벌어지는지 안벌어지는지

확인할려고 ㅡㅡ; 리프타 타고 가실때 시선어디보는지 한번확인 해보세요

좀 타는 사람들이 이런짓 하고 다님니다 죽여버리고 싶은 개매너 ㅡㅡ;

샤넬_932619

2012.01.16 21:39:53
*.213.94.112

역시 숏턴으로 보드 탑시다  ㅋ

보덜이

2012.02.05 13:18:06
*.233.42.207

조심조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29
895 데크의스펙과 안정감 [3] SuperSeoL 2012-02-11   3514
894 시즌버스에 대한 문제점특히 지방사람/대전/청주/증평/음성/충주) [9] 뿅마니 2012-02-09   3520
893 초보에게 오히려 역캠이 좋다?? [12] H2]히로 2012-02-08   5991
892 급사에서 스키는 보드보다 뛰어나다? [9] malacali 2012-02-07   4942
891 일본 원정 정말 안전 할까요? [16] 요들이 2012-02-06   3540
890 노장(고령) 보더는 언제 부터? [28] 햇살텍톤 2012-02-01   4118
889 어이없는 버튼 보증 기간 : 이월 상품의 보증 기간 따져 봅시다 [20] 라리라 2012-01-31   3310
888 올시즌 제대로 타고있능가?... 에 대한 고찰을 나누어보아요 [37] 밥보다보딩 2012-01-31 1 2918
887 렌탈데크의 관한 고찰 [19] chunja77 2012-01-30   5427
886 라이딩시 전경후경 밸런스 어떻게들 타시나요? [8] 레반 2012-01-27   3643
885 역캠 vs 정캠 or 더블유캠 등등에 대한 의견 [23] 빨간루피 2012-01-27   6262
884 힐턴 때 여러분의 발 끝은? [15] Nogada Rider 2012-01-26   4028
883 헬멧 안에 비니 vs 오로지 헬멧! 무엇이 더 나은가요? [33] Passionist 2012-01-23 1 10726
882 보딩을 하면서...수신호가 가능한가?...^^a [8] ☜RABBIT☞ 2012-01-20   2137
881 과연 스노우보드 수입 업체의 약관은 정당한가? [9] callsign 2012-01-20   2605
880 카빙 입문한 초보의 하이백 조언 요청 [4] Nogada Rider 2012-01-20   4145
879 성우 파이프 없앤다는데........ [12] 낙엽0254 2012-01-16   2841
878 중경사 이상에서의 카빙턴 (미들턴,숏턴 ) 토론회.. [36] Method 2012-01-16   5835
877 보드착용후 리프트 탑승이 안전한건가요? [37] 즐겨 2012-01-15   5031
» 시야문제. [12] 아잉만취 2012-01-12   2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