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비시즌에 자전거와 인라인으로 레져스포츠를 즐기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보드나 스키를 즐길 때, 간혹 일어나는 충돌사고..

 원인 중 하나는 앞에 가는 사람의 진행방향을 모르기에 일어난다고 생각합니다..

 

 자전거와 인라인을 탈 때, 간단한 수신호로 후미주자에게 자신의 방향을 인지시킴으로 사고를 줄일 수 있는데요,

 자전거보다는 인라인의 경우 손이 자유롭기 때문에 수신호가 더 발달되어있죠..

 

 스키보단 보드가 손이 더 자유로움에 약간의 수신호로 뒷 사람에게 진행방향을 알리고, 사고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

 함, 생각을 던지고 갑니다~~~ (((((((((ㅡ_-)

엮인글 :

꼬부랑털

2012.01.20 18:26:44
*.118.86.77

저도 이생각은 해봤는데 왠지 자전거탈때와는 다르게 보드타며 수신호하면 뒤에서 볼때 수신호가 아니라 허우적거리는걸로 보일것 같아요..ㅋ

Mr.ltd

2012.01.20 21:40:45
*.246.38.167

보드와  자전거,인라인은 특성이 달라서 불가능할듯 싶네요.

보드는 수시로 좌우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반면

자전거나 인라인은 그렇지가 않죠. 일반적으로 트랙을 돌거나 직선 도로를 직진으로 주행하다 한번쯤 수신호하면되지요.

보드 타면서 수신호하는거 뒤에서 구경하면 정신나간 XXX이 허우적 거리면서 내려가는거처럼 보일듯 싶네요.

방법은 하나밖에 없습니다. 선행보더나 스키어의 경로를 예측하지 말고 안전거리 확실히 유지하는것.

대부분의 사고는 앞사람 주행라인 예측하고 보딩하다가 그 예측이 빗나갈때 발생합니다.(중상급자들의 경우)

재퐈니

2012.01.20 22:09:21
*.41.255.72

내가 암만 수신호 해도 제어 안되는 사람은 와서 박아버리죵ㅋ

충돌사고 둘중 한명만 잘타도 박지는 않아요~ (서있는데 와서 박아버리면 대책 안스지만;;)

좀 타보신 분들은 싸이즈 딱 나오자나요.. '지금타면 위험하다,, 좀 보내고 타자' 이런거

정 질르고 싶으면 라이딩 하면서 한수두수세수 이상은 슬로프 인원파악 및 동선흐름 파악 되실때 질러줬으면 합니다.

충돌사고 나시는분 지켜보면 이유가 있더군요,,, 

바람켄타

2012.01.21 14:38:55
*.149.25.67

스노보드는...

정해진 라인을 따라서 타는 것이 아니기에~


일행들과 함께 라이딩을 할 때는...만약 빙판이 숨어 있거나 위험한 요소가 있을 경우 

그냥 크게 소리쳐서 알려줘요~

앵글러JA

2012.01.25 11:56:38
*.38.68.238

수신호는 가능하겠죠~ 문제는 그일행만 알아본다는 거...주위사람은 전혀 아랑곳 하지 않는다는 것~

 

인라인트랙 말고 사람많은 롤러 스케이트장에서 수신호가 가능할까요?ㅎㅎ

보덜이

2012.01.31 15:17:01
*.233.42.207

아~...ㅎㅎ

feel0723

2012.01.31 15:29:21
*.79.82.5

수신호 그냥 초보처럼 팔벌려서 타면...ㅋㅋㅋ

진행방향을 가리켜 주는거 아닌가요??

나까마다

2012.03.02 20:49:30
*.212.230.246

차라리 슬로프에 라인을 그려놓는게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29
895 데크의스펙과 안정감 [3] SuperSeoL 2012-02-11   3514
894 시즌버스에 대한 문제점특히 지방사람/대전/청주/증평/음성/충주) [9] 뿅마니 2012-02-09   3520
893 초보에게 오히려 역캠이 좋다?? [12] H2]히로 2012-02-08   5991
892 급사에서 스키는 보드보다 뛰어나다? [9] malacali 2012-02-07   4942
891 일본 원정 정말 안전 할까요? [16] 요들이 2012-02-06   3540
890 노장(고령) 보더는 언제 부터? [28] 햇살텍톤 2012-02-01   4118
889 어이없는 버튼 보증 기간 : 이월 상품의 보증 기간 따져 봅시다 [20] 라리라 2012-01-31   3310
888 올시즌 제대로 타고있능가?... 에 대한 고찰을 나누어보아요 [37] 밥보다보딩 2012-01-31 1 2918
887 렌탈데크의 관한 고찰 [19] chunja77 2012-01-30   5427
886 라이딩시 전경후경 밸런스 어떻게들 타시나요? [8] 레반 2012-01-27   3643
885 역캠 vs 정캠 or 더블유캠 등등에 대한 의견 [23] 빨간루피 2012-01-27   6262
884 힐턴 때 여러분의 발 끝은? [15] Nogada Rider 2012-01-26   4028
883 헬멧 안에 비니 vs 오로지 헬멧! 무엇이 더 나은가요? [33] Passionist 2012-01-23 1 10726
» 보딩을 하면서...수신호가 가능한가?...^^a [8] ☜RABBIT☞ 2012-01-20   2137
881 과연 스노우보드 수입 업체의 약관은 정당한가? [9] callsign 2012-01-20   2605
880 카빙 입문한 초보의 하이백 조언 요청 [4] Nogada Rider 2012-01-20   4145
879 성우 파이프 없앤다는데........ [12] 낙엽0254 2012-01-16   2841
878 중경사 이상에서의 카빙턴 (미들턴,숏턴 ) 토론회.. [36] Method 2012-01-16   5835
877 보드착용후 리프트 탑승이 안전한건가요? [37] 즐겨 2012-01-15   5031
876 시야문제. [12] 아잉만취 2012-01-12   2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