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렌탈만하며 관광하다가 올해 중고로 장비구입해서 열심히 연습 중입니다.

자주가고싶은데 2주에 1,2회 출격에 봐주는 사람이 없어서 막타는것 같습니다.

요즘은 너비스턴과 비기너카빙을 연습하려고 하는데..

영상을 보고나니 엉덩이가 빠지고 허리는 굽고 상체로테이션이 거의 없는듯 싶네요..

이게 기울기로만 턴을하는 건가요? 고치고 싶은데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요...


참, 이때 영상 확인하고 토턴시 상체 굽은거 관련해서


상체피고 엉덩이를 넣고 오른발(레귤러 뒷발) 정강이 굽힘을(부츠에 더 팍팍 기대는) 더 해서 연습해보았습니다.

 

헝글분들의 뼈와살이 되는 조언, 따끔한충고 많이 많이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엮인글 :

날아라가스~!!

2012.02.02 12:10:37
*.222.4.76

기울기로만 턴을 만든다시기보단, 앵귤레이션 몸의 각도를 이용한단 편이 더 맞을거 같은데요?

 

힐턴시 보시면 다운~을 통한 엣지각 확보, 토턴 역시 다운~을 통한 엣지각 확보를 하시니 이걸로 라이딩을 하신다고 보입니다.

 

나쁘단게 아니고 오히려 좋은 편이나, 딱 한가지에만 기대서 라이딩을 하시는건 그렇게 옳지 않을듯 합니다요.

 

이것저것 라이딩의 기초라 불리는 것들을 믹싱하시며 연습하시면 쉬울거 같은데요.

낙엽만세시간째

2012.02.02 12:18:34
*.212.208.179

날아라가스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이해가 잘 안되는게 있어서 재 질문드립니다. (내용 정정)


1. 기울기로 턴을 한다는것과 앵귤레이션으로 턴을 만드는 것에 어떤것이 차이가 있는건지요?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에 대해 방금 누칼에서 Lunatrix님, 날가님이 쓰신 글을 보았습니다.

      이해가 잘안되네요..

      라이딩을 할때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이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면서 이뤄져야한다는 건가요?후..ㅡ_ㅜ

      내각,외각이라...


2. 힐턴,토턴시 다운을 통한 엣지각 확보를 말씀하셨는데 이런 방법 말고 또 어떤게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제가 이론적으로 아는부분은 비기너턴(상체로테이션을 이용한 턴동작)과 업다운 프레스가 가미된 너비스턴


딱 요기까지인데.. 이 부분들을 다시 자세교정하면서 연습해보면 좋겠다라는 말씀으로 이해하면 될런지요..?



날아라가스~!!

2012.02.02 13:15:31
*.222.4.76

1.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의 차이입니다. 둘다 엣지각을 어떻게 만드느냐의 차이일뿐인데, 어떤면이 더 안정감을 줄수 잇느냐는 거의 본인의 판단에 맡겨도 나쁘지 않던데요. 물론, 기본적으론 앵귤레이션이 조금 더 안정감이 있습니다.

 

둘다 적절~히 상호작용하게 쓰시는게 맞습니다. 괜히 라이딩이 질알같은게 아니라서요..;; 이거저거 다 할줄 알아야 라이딩이 잘되더라구요..;;;

 

2. 엣지각 확보는 위에 말한대로 인클, 앵귤을 혼용하던지~하나만 쓰시던지~해서 하나씩 장단점을 직접 깨달아보시는게 빠르십니다.

 

이론적으로 이해하시는 부분 후가 더 중요합죠. 즉, 너비스 후의 라이딩을 다시 하나하나씩 살펴보고 다시한번 재정립하시는 그런 시간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라이딩은 질알같음!!!

육식/토끼

2012.02.02 13:04:26
*.106.167.87

상황이 된다면.. 롱턴 먼저 연습하는게...제 개인적은 생각으로는 턴 연습하는 방법으로는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좀더 자세히 애기하자면... 영상과 같이 숏턴으로는 사활강에서 턴을 하게 되는데..고수가 아닌이상..사활강보다는

턴후 옆으로 가로 지르면서 롱턴을 하는 연습이 우선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만.

다른 고수들의 의견을 좀더 들어봐야 겠네요.

그리고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은 오토바이 핸들과 오토바이자체의 기울기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은데..

맞나요?

낙엽만세시간째

2012.02.02 13:20:06
*.212.208.179

예. 답변 감사합니다. 

중급슬롶(윈디)에서 속도가 붙으니 롱턴연습이 조금되는 거같아 간간히 하고 있습니다만..

자세가 자꾸무너집니다..


일단 롱턴 연습에 비중을 많이 두고 역동적인 턴이 되도록 연습해봐야겠네요 ^^

전투보더얌

2012.02.02 21:30:03
*.226.222.120

같은곤지암이네요 ^^
반갑습니다
닉네임을 카빙만3시간째로 닉넘번경하셔야겠네요 ^^
잘못타지만 감히한말씀드리자면은요..
제가볼때 2가지가 보입니다
앵글의 각만이용한 턴 경사가 낮아서 그런게있겠지만 살짝의 기울기가 보태져야할꺼같습니다
그리고 한가지는 토에서 힐들어 갈때 로테이션 부족한것같습니다 시선 좀 더 던져주시면 더욱 잘타실것같아요 ^^안전보딩하세여

낙엽만세시간째

2012.02.02 22:37:49
*.216.171.149

전투보더님의 멋쥔 슬라이딩턴과 롱카빙턴 동영상은 전에 잘봤습니다^^
조언해주셔서 감사하구요
이해가 잘안되는부분이 있는데
기울기라는게 도통 뭔지를 모르겠습니다.

현재의 자세에서 전체의 각도를 더 주라는 말씀이신가요? 위에서 가스님도 언급해주셨는데 그림이 잘그려지질않아서요^^;;

Take6

2012.02.02 21:33:03
*.106.123.6

첨엔 저랑 비슷하신 실력인 줄 알았는데..보다 보니 저보다 훨씬 안정감 있게 타셔서 지적은 못하겠네요..ㅋ

참고로 전 4년 차...ㅜㅜ

닉넴 바꾸세욧!!

낙엽만세시간째

2012.02.02 22:41:01
*.216.171.149

부족한데 이쁘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탈수록 욕심생기고 한숨나오는게 보드매력인듯싶습니다ㅎㅎ
즐기면서 타는그날까지 화이팅 하시죠!

챠차차

2012.02.02 23:28:04
*.197.35.30

음....사실 한말씀 드리자면 대부분 독학보더분들께서 턴을 하실 때

항상 각이 부족합니다.


사실 각이 작은 턴은 그냥 몸 기울기만으로도 가볍게 되는 턴이라 상급으로 갈 수록 안정적으로 자신이 보드를 콘트롤 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아 각이 적다는 것은 S자가 밋밋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위에 분도 말씀 하시는 기울기가 그 말씀이신 것 같은데....


박정환님의 보드강좌나 기초 강좌를 보시면 어떤 턴을 하던 설면과 수직이 될 때까지 턴을 진행 합니다.


수직이나 살짝 언덕위를 올라가는 수준에서 턴을 하면서 점점 일찍 턴이 들어가면 점점 고급턴을 한다는 의미라고 생각합니다. 말로는 쉽지 않네요 ㅠㅠ

┓푸른바다┏

2012.02.03 11:09:59
*.5.185.60

힐턴하실때. 하체의 엉덩이가 빠지면서 하체로테이션만

진행되는걸 볼수 있습니다. 지금 하시는 턴이 카빙턴이니깐.

로테이션을 상체랑 하체 같이 진행하면서. 엉덩이 빼시면 안됩니다.

토우 프레스는 잘 하고 있는데.

힐프레스는 허벅지 무릎 발목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이부분만 고치시면 될듯.

조세준

2012.02.03 17:42:50
*.112.247.7

저도 2년차 곤지암인데 뽜이팅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헝글TV 故sky 추모 동영상 [24] RukA 2019-11-21 72 22547
공지 스노보드 [동영상 자료실 이용안내] ruka 2018-02-28 14 24948
9982 스노보드 자 다들 반성합시다 ㅠㅠ [23] 안녕뽀도도 2012-02-02 1 3920
9981 스노보드 초보 널리(펌핑) 270? 독학의 한계네요..... [7] 제이슨허 2012-02-02   2228
9980 스노보드 용평1년차 독학보더 라이딩 지적질좀 제발 ... [21] 삐딱꾸 2012-02-02   2554
9979 스노보드 akia one day episode 03 [2] FA.YAH 2012-02-02   1311
9978 스노보드 휘팍에서 파노라마+스패로우에서 찍은 라이... [8] 카레S 2012-02-02   1736
» 스노보드 2년차 곤지암 초급슬롶 라이딩 자세 지적 부... [12] 낙엽만세시간째 2012-02-02   2165
9976 스노보드 [oneridersfilm]ONEPOWDAY@MUJU [12] ONERidersFilm 2012-02-02 10 2485
9975 스노보드 백사이드 노즈슬라이드 박스퀸도전 영상 [3] byesea 2012-02-02 1 1743
9974 스노보드 파우더라이딩 by 눈사태 Ko [10] 고타나 2012-02-01 6 3288
9973 스노보드 트릭입문 1개월차 입니다^^ 전경원 2012-02-01   1840
9972 스노보드 독학보더가 운좋게 동영상 하나 찍게 됐습니... [8] 할루시네이션 2012-02-01   2138
9971 스노보드 DK TEAM TV(C.K) [16] DK_Loca 2012-02-01 1 2863
9970 스노보드 허접초짜의 세번째 영상입니다^^* [6] 광명지기 2012-02-01   1129
9969 스노보드 허접초짜의 두번째 영상입니다^^* [5] 광명지기 2012-02-01   765
9968 스노보드 후배 알려주면서 찍은 동영상입니다. [3] 조선보드 2012-02-01   957
9967 스노보드 허접초짜의 첫 영상입니다^^* 광명지기 2012-02-01   633
9966 스노보드 BS360 지적 좀 해주세요 진도가 안나가요 ㅠㅠ [21] 샹크스12 2012-02-01   3886
9965 스노보드 베어스..서른즈음에..첫영상 [5] 날으는고여사 2012-02-01   1827
9964 스노보드 [YJin] 11/12 시즌 그라운드트릭 중간영상! [26] 조뱀 2012-02-01 1 4177
9963 스노보드 지산 웨이브에서 900 도전~! 하지만... [21] shinjohn99 2012-02-01   3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