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
갑자기 급궁금해졌습니다.ㅎㅎ
보딩실력을 초급/중급/상급으로 나누는 기준이 뭔가요?
해당 슬로프를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이면 되나요?
근데 그럼 상급을 사이드슬립만으로 내려오면 상급은 아닐테고...ㅎㅎ
누가 좀 적당한 범주에서 알려주셔요.^^;
2012.02.03 13:33:02 *.104.231.47
겁안먹고 즐길수있느냐가 판가름의 기준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상급에서 어떤 설질이더라도 맘껏 컨트롤하며 즐길 수 있다면
그 아래 경사에서야 말할나위가 없죵~ㅎ
2012.02.03 13:33:19 *.5.185.60
보통 비기너턴에서 너비스까지가 초급으로 보구요.
비기너 인터미디어트 슬라이딩 카빙을 중급으로.
그이상을 상급으로 봅니다. 이건 라이딩기준입니다.
트릭은 다른분이.
2012.02.03 13:34:15 *.91.139.53
제가 아시는 분이 나눠준건
초급 슬로프에서 자기 하고싶은걸 다 하면 초급
중급에서 하고싶은걸 다 하면 중급
고급도 마찬가지..
그래서 전 초급 ㅜ.ㅡ
2012.02.03 13:44:06 *.38.68.238
제가 생각 하는 범주는~
초보 = 본인이 컨트롤에 미숙한 부분을 느끼며 슬롭주위를 돌아볼 여유가 없다~ (베이직턴 너비스턴)
중급 = 중상급이상에서도 컨트롤에 자신있으며 주위를 돌아볼줄 알게되며 영상을 보더라도 문제점이라던지
연구적인 부분을 접목시켜 노력할때
상급 = 컨트롤은물론 어느누가 보더라도, 동영상을 찍어보더라도, 경사가 낮든. 심하든, 설질이 어떻든
안정적인 자세와 여유로움이 묻어날때 라고 생각함미답~
2012.02.03 14:04:52 *.220.232.35
전 나름대로 그렇게 얘기합니다. ㅎ
카빙하면 중수다.. 적어도 엣지 유지할줄은 아니까
2012.02.03 14:51:31 *.167.78.100
애정남에게로 고고씽~
2012.02.03 17:43:08 *.217.77.53
난 초보 흐윽..
겁안먹고 즐길수있느냐가 판가름의 기준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상급에서 어떤 설질이더라도 맘껏 컨트롤하며 즐길 수 있다면
그 아래 경사에서야 말할나위가 없죵~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