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헝글 여러분 11-12시즌 카시 레벨 1을 취득한 해일로 입니다. 저는 2012년 2월 14~16일까지 카시 레벨1을 2박 3일을 밟고 오늘 당당하게 카시 레벨1을 취득했습니다.

 

 CASI 라고 하면 보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 봤을 법한 단어? 입니다ㅎ CASI는 Canadian association of snowboard instructors 의 줄임말로 '캐나다 스노우보드 강사 협회' 입니다.  카시의 커리큘럼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 되어지며 탄탄한 스노우보드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는 단체이기도 합니다.

항상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많은 분들이 "나도 카시 레벨에 도전해봐?" 라고 우스겟 소리로 말하고는 하지만 '어떻게 레벨에 응시하는지'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 또는 '영어를 얼마나 잘 해야 하는지' 갖가지 고민 때문에 초반에 포기를 하게 됩니다.

 

저는 이번에 작성하는 칼럼을 통하여 많은 분들이 CASI 레벨 취득에 도움을 드리고자 이렇게  칼럼을 작성하는 바이며, 이번 칼럼을 카시 레벨 취득을 준비하시는 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총 3가지 편으로 나누어서 작성을 할 계획입니다.

첫 번째로는 커리큘럼 편, 두 번째로는, 티칭 편, 세 번째로는 팁편 으로 나누었습니다(칼럼은 작성하다 축소 또는 확대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카시에서 제시하는 레벨 1 커리큘럼과 응시생들에게 요구하는 것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시 레벨 1의 목적은 스노우 보드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스노우보드를 이해시키고 교육하는 단계입니다.

전반적으로 카시 레벨1의 커리큘럼은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중급, 상습으로 연결해주는 발판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일 중요한 단계 입니다. 카시 레벨 1에서 교육시키는 턴은 '비기너 턴, 너비스 턴'이며, 레벨 1 '응시자에게 요구하는 라이딩 스킬은 인터미디엇 슬라이딩 턴'입니다.

 

지금부터 오늘의 칼럼의 주 목적인 커리큘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시 레벨 1 커리큘럽은 총 5가지 파트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나누어보면,

 

1. Basics (기초)

2. Sliding (슬라이딩)

3. Control (조절)

4. Turning (턴)

5. Liking (연결)

 

또한 이 5가지 파트에도 커리큘럼들이 존재 합니다. 나열하자면,

 

Basics(기초)

 1) Introductions (소개)

 2) Equipment : Parts Of The Board (장비의 설명)

 3) Attaching The Board On Flat Ground (평평한 땅에서의 바인딩 연결)

 4) Equipment Familiarity &Mobility (장비와 친숙해지기 &운용)

 5) Skating (스케이딩)

 6) Climbing &Descending (보드를 한 발에 착용한체 슬롭을 올라가기 &내려가기)

 

Sliding

 1) Balanced Body Position (발란스드 바디 포지션)

 2) Stright Running (스트레이트 러닝)

 3) Toe &Heel Drag (토우 그리고 힐 드레그)

 

Control

 1) Gas Pedal Exercise (가스페달)

 2) Attaching The Board On A Slope (슬롭위에서 보드 묶기)

 3) Sideslipping (사이드 슬립핑)

 4) Pendulum (펜쥴럼 - 낙옆 1)

 5) Power Pendulum (파워 펜쥴럼 - 낙옆2)

 

Turning

 1) Static Roation Exrcise (상체 로테이션)

 2) Walking Through Turns (보드 없이 슬롭위를 걸으면서 연습하는 턴)

 3) Beginner Turns (비기너턴 - 토우&힐 비기너턴)

 

Linking

 1) Static Flexion Exercise (플렉션 그리고 익스텐션 연습)

 2) Linked Novice Turns (연결된 너비스 턴)

 

전반적으로 보면 커리큘럼이 많아 보이지만 스노우보드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도 받아 들이기 쉽게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자 입장에서도 입문 또는 초보자들을 대상으로 다루기 쉬운 내용들입니다. 카시 레벨1에 응시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각각의 파트에 들어가 있는 커리큘럼을 숙지해야 하며, 각각의 커리큘럼들이 무엇인지 (What), 왜 해야 하는지 (Why), 어떻게 해야 하는지 (How), 어디로 진행을 해야 하는지 (Where)를 설명(teach and demo)과 데몬 수준의 기준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고치도록 방향을 제시해주는 (Feed back)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오늘의 칼럼은 여기 까지 이며, 다음 칼럼인 교육(Teaching)에서 뵙겠습니다^^

 

 

엮인글 :

(━.━━ㆀ)rightfe

2012.02.16 23:35:14
*.147.228.6

오~~ 유용하고도 재미난 칼럼입니다!!


각 커리별 자세한 내용까지 기대하면 실례가 될까요?..^^;;;

해일로

2012.02.16 23:39:54
*.132.122.238

보다 자세한 내용은 티칭 및 팁 편에서 기대해주세요 ^^

B7

2012.02.16 23:38:19
*.252.17.40

좋은글 감사합니다.

근데 영어로 해야하나요??

해일로

2012.02.16 23:41:52
*.132.122.238

음 언어에 대해서는 나중에 언급할려고 했지만 질문을 하셨으니 답변 해드릴께요ㅎ

꼭 영어로 해야하는 건 아닙니다. 캐나다는 프랑스어, 영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프랑스어 혹은 영어로 테스트를 진행하셔야 합니다ㅎ 언어가 걸리신다면 차 후에 올라올 티칭 편, 팁 편을 기대해 주시면 됩니다^^

그라우스

2012.02.16 23:48:09
*.243.76.130

프랑스어.... 봉쥬~ ㅋㅋ 영어가 낫겠네요 

해일로

2012.02.16 23:54:57
*.132.122.238

그렇죠 영어가 더 편하죠 ㅎㅎ

라이가

2012.02.16 23:49:44
*.226.220.126

아.. 외국어도, 실력도 시궁창이라 포기하겟습니다..ㅠㅠ
그래도 칼럼은 기다려봅니다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ㅎㅎ

해일로

2012.02.16 23:52:49
*.132.122.238

아직 포기 하지 마시고 제 칼럼을 다 읽어 보신 후에 결정하셔두 늦지 않습니다^^

 

시원한산

2012.02.17 01:02:28
*.98.252.55

앞으로 올라올 칼럼들도 기대할께요~^^

해일로

2012.02.18 21:45:33
*.50.153.129

넵 감사합니다 ^^

날아라내보드

2012.02.17 01:07:52
*.126.99.5

잘 보고갑니다.^ ^

제 도전의식을 자극 하는(?) 칼럼입니다!!

다음편도 완전기대중이에욧!! 미리 감사드려요 ㅋㅋ

해일로

2012.02.18 21:45:48
*.50.153.129

도전하세요!

수용성

2012.02.17 02:28:30
*.67.250.106

멋지셔요~! 화이팅!

callsign

2012.02.17 08:44:50
*.231.19.12

위의 커리큘럼을 동영상으로 만들어 놓은것이 있습니다, casi quickride system 이라는 동영상 찾아보시면 해일로님의 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될듯 싶네요.

해일로

2012.02.18 21:46:05
*.50.153.12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베어스로컬

2012.02.17 12:12:46
*.213.1.230

좋은일 하시네요~ 계속해서 기대해봅니다.

해일로

2012.02.19 00:12:57
*.246.69.53

감사합니다^^

Dile

2012.02.17 16:33:54
*.122.204.2

멋지십니다 ㅋㅋ

해일로

2012.02.18 21:46:43
*.50.153.129

감사합니다 ^^

사비나

2012.02.17 18:27:15
*.209.36.250

오, 제가 딱 궁금해하던것들이네요 다음편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저도 내년에 도전해보고 싶네요!!!

해일로

2012.02.18 21:46:22
*.50.153.129

꼭 도전하세요!

사비나

2012.02.17 18:27:39
*.209.36.250

오, 제가 딱 궁금해하던것들이네요 다음편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저도 내년에 도전해보고 싶네요!!!

심즈

2012.02.21 15:18:20
*.158.38.50

감사합니다.

HooriRider

2012.02.22 19:40:49
*.90.61.128

기대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75
2597 장비 튜닝 엉덩이보호대 간단 리폼하기 file [4] 썬키스트트 2012-09-05 2 3882
2596 일반 용평리조트에 매력을 알려드려요 file [54] denver- 2012-08-27 4 9313
2595 기타 헝그리보더에 [동영상자료실에 동영상 올리... file [6] a( ‘ ⌒ ' ... 2012-08-20 4 2249
2594 기타 헝그리보더에 [동영상자료실에 동영상 올리... file [6] BUGATTI 2012-08-18 7 2174
2593 일반 베이스 산화현상에 따른 단차현상 결론 [4] callsign 2012-08-13   2786
2592 절약법 스노우스커트 만들었어요.. file [7] 네모난오리 2012-08-06   4506
2591 장비 관련 카빙위주의 라이딩시 베이스소재에 관한 고찰 [8] 잉어싸만코 2012-07-21   4754
2590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캠버에 대한 이야기 file [5] a( ‘ ⌒ ' ... 2012-07-20   11745
2589 장비 관련 초간단 왁싱법.... [9] 로곤뿔 2012-04-19   7741
2588 기타 단차현상에 대한 워런티 적용여부 진행상황 [6] callsign 2012-04-07   3402
2587 기타 혼자서 테스트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한 ksia... [12] callsign 2012-03-13 4 5013
2586 CASI 도전 할 가치가 있는 CASI Lv.1 - 팁편 [8] 해일로 2012-02-27 1 5255
2585 장비 튜닝 핼멧 LED 튜닝 file [12] stranger7 2012-02-24   5898
2584 CASI 도전 할 가치가 있는 CASI Lv.1 - 티칭 편 P... [10] 해일로 2012-02-23 4 3956
2583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을 왜 배워야하는가? [11] 소리조각 2012-02-22 4 7711
2582 CASI 제프 첸들러와 나눈 스노보드 이야기 file [25] 문박사 2012-02-22 18 7660
2581 CASI 도전 할 가치가 있는 CASI Lv. 1 - 티칭 pa... [9] 해일로 2012-02-19 3 4523
» CASI 도전 할 가치가 있는 CASI Lv. 1 - 커리큘럼 [24] 해일로 2012-02-16 3 7366
2579 장비 튜닝 프로텍션필름 이쁘게 붙여보자(데크보호필름) file [20] 변치않는바람 2012-02-16 1 7589
2578 장비 관련 샴푸를 이용한 고글 습기제거 file [10] Integral 2012-02-16   7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