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우 울트라한 초보입니다.
저는 인라인 스케이트 슬라럼이라는 종목을 다년간 열심히 탄 사람입니다.(일종의 스타일링 묘기종목이라 보시면 되요.)
종목 특성상 오른발이 진행방향으로 나가요. 콘이라는 장애물들을 크로스 턴등의 기술로 통과하다 보니까요...
물론 보드의 덕스텐스 처럼 양발 모두 기술구현이 가능한 고수분들도 계시지만.
일반적으론 '오른발'이 진행방향으로 나가는게 일반적입니다.
그러다 보니 보드를 작년 처음 접한 저로서는 오른손 잡이임에도 불구하고 레귤러 스텐스가 너무 어색하더라구요.
정말 미친듯이 굴렀습니다. 구르면서 배우는게 스노우 보드라 해서 그러려니 했습니다.
레귤러로 저의 능력는 낙엽까지였습니다. 힐/토우 낙엽까진 어떻게든 되더군요
매번 자꾸 역 앳지며, 체중이 뒤로 자꾸 빠지면서 제어불능이 되고 너무 힘들었습니다.
어제 철야로 친구와 보드를 타러 다녀왔는데요. 정말 소원이 비기너 턴이었습니다. (S자라고도 하죠?)
하지만 방향 전환자체가 잘 안되더라구요. 뒤로 두번 꽈당하면서 정말 입으로 뇌가 튀어나오는 기분이었어요.
자꾸 넘어지다 보니 겁까지 집어먹어서 실력향상이 안되길레 기본부터 다시 하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오른손 잡이니깐 레귤러로 시작했지만 이상하게 힐/토우 낙엽을 하면서 구피 쪼 방향은 방향전환이며, 제동이며
수월하더라 입니다. 이부분 친구한테 말했더니 그럼 구피로 타봐라 하는겁니다.
딱 한번만에 S느낌이 오면서 해내는 겁니다. 친구가 엄청 신기해 하더군요. 저는 그냥 읭? 뭥미 이거? 이러구요.
그후로 두어번 초중급 슬로프를 오르며 연습하다가 마쳤습니다.
너무 넘어져서 무릅을 조금 다쳤거든요. 겁도 마니 먹어서 속도 붙으면 체중이 뒤로 빠지구요.
어찌 됐든 구피로 해야겠다가 답이긴 한데.. 솔직히 구피할때도 어느찰라 맘먹은데로 안되고 뭔가 찜찜했는데
바인딩이 양쪽으로 완전히 벌어져 있더군요. 덕스텐스였던거에요.... 그래서 더 애먹은듯해요.
글이 너무 길고 산만했죠 자 질문 들어갈께요..
1. 앞으로 어떨지 모르겠는데 제가 속도가 붙으면 겁을 너무 먹어요. 프리스타일 지향하는게 어떨까요?
2. 구피가 레귤러보다 편하고 진도가 빨른데. 걍 처음부터 덕을 염두에 두고 두가지 다 연습하면 진도가 너무 느리고 힘이 들까요?
3. 매번 렌탈할때마다 애먹을거 같은데 덕스텐스 바인딩 위치며 각도 어떻하는게 좋을까요. ( 178/73 남들보다 다리가 쬠 길어요)
경험담도 좋고 주변 사례도 좋습니다. 많은 답변 부탁드릴께요.
1. 속도감은 속도를 제어할 자신이 아직없기때문에 생깁니다.
나중에는 그 공포감을 이기고 제어할수 있기에 더욱 큰 스릴을 기대합니다.
겁나는거 차차 극복해나가시면 됩니다. 욕심 부려 계속 넘어지면
실력향상에 큰 도움이 되질 못합니다.(강하게 의미없이 넘어지는것)
처음에 제대로 배우셔야 실력향상에 더 크게 도움이 될겁니다.
2.스탠스는 키와 무게에 맞는 장비 150중후반 데크에 각도만 구피로 잘 설정하셔셔 다시길
아직 스탠스 넓이 까지 신경안쓰셔도 될듯합니다.
한쪽 라이딩의 방법과 요령 턴의 시작과 완성에 대한 개념정리가 되어 있으시다면
다른쪽 연습하시는것은 크게 어렵지 않을겁니다.
3. 스탠스보다 각도조절만 적당히 해보시면서 하시는것이 어떨런지 15 0도로
구피로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오른손 잡이 구피 라이더에요
장비는 지금이 새것이든 중고든 알아보기 적기입니다.
신상 이월장비도 괜찮은놈들이 많이나오고
중고 막장비도 20에 사서 한시즌 쓰고 10초반에 팔아도 렌탈비는 충분히 뽑죠
저렴한 장비가 그래서 좋기도 합니다.
더 궁금한점이 있으시면 쪽지 주셔도 됩니다.
1. 속도 붙으면 무서운건 누구나 다 그래요..저도 보드 전에 인라인 잠깐 타봤었는데..속도감은 확실히 보드가 더 식겁하죠잉..
뭐를 하든 속된말로 님 꼴리는데로 하는거죠..라이딩 하다 심심하면 트릭도 배우고..간혹 술기운에(그러면 안되지만..ㅡㅡㅋ)
지빙도 시도해 보고 그러다가 호되게 굴러서 "아..스노보드 기술중에 윈드밀도 있구나..ㅋㅋ" 라는것도 깨닫고..
2. 원칙적으로는 레귤러든 구피든 한쪽은 엥간히 너비스까지라도 마스터 해놓고 반대방향 연습하는게 정석인데..
저는 진도 늦더라도 처음부터 병행해서 연습하는거 추천요.. 처음에 레귤러든 구피든 하나에 맛 들려서 쭉~마스터 하고
나중에 배우면 되지...하고 나중 나중 미루다가 제가 지금 6년째 미루는 중이고욬ㅋㅋㅋㅋ 심지어 지금 바인딩 각도가
21도 6도 탈 정도로 완벽한 레귤러러가 되버렸지요..온리 라이딩! 죽어도 라이딩! 죽어서도 라이딩..ㅠㅠ
힘들어도 첨부터 시도하시면 나중엔 빛을 보게 될듯요..
근데 양쪽으로 연습하면 더디긴 징그럽게 더디게 익혀지더랍니다..끈기도 두세배는 더 들고요..
3.바인딩 셋팅문제는 정말이지 말도 많고 답도 없는 문제중에 하난데요..
보폭은 어깨넓이만큼 벌리고 나발이고 그냥 딱 편하게 기마자세로 섰을때 님 발 놓이는 위치가 보폭 되겠구요..
라이딩위주로 가신다면 거기서 약간 더 좁게 트릭 위주로 가신다면 약간 더 넓게 잡으셔도 무방하고요..
바인딩 각도 참 애매하죠.. 이건 처음에 진행 방향 기준으로 15도0도부터 시작해서 드라이버 가지고 다니시면서
0도부터 -3도,-6도.......이런식으로 조금씩 벌려가면서 타보세요..
그렇다고 앞발각이 무조건 15라는건 아니고요..이것 또한 12도가 될수도 있고 9도가 될 수도 있겠죠..
그러다가 레귤러도 구피에서도 거리낌이 적어지는 감이 오면 그게 기준이 되겠죠..
이건 타시다보면 실력에 따라 계속 바뀌니깐 처음엔 너무 예민하게 생각 안하셔도 되요..
드라이버질만 부지런하게 해주시면 여느 프로샵에서 해준 셋팅보다 잘 나옵니다..
이때 최대 -15도는 넘지 않게끔 해주시고요..(양발 합쳐 24도가 넘어가면 무릎에 무리가 간다는데..한국인 체형상 30도까지는
무난하다능...)
하이백 각도도 마찬가지로 기본 셋팅에서 한칸씩 눕혀보면서 타보시면 감 오실테고요..
기타 스트렙도 발등이나 발목에 골고루 압력이 가게끔 조절해주시면 되고요..
팁 하나 드리자면 나중에 바인딩 구입하실때 툴프리로 보여달라고 하시면 웬만한 셋팅은 공구 없이 손으로 다 해결할
수 있는데요..이게 은근히 제값합니다..
이 모든게 다 렌탈샵에선 먼나라얘기니 일단 실력 빨리 늘리고 싶으시면 싸구려라도 내 장비로 연습하세요..중고세트
개념템들 참 많습니다.. 주변에 처음부터 장비 구입하는거 사치라는 말에 흔들리지 마시고 지르세요 질러요!!!
이상 지름신의 허접한 답변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