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연말정산때  매번 돈을 더 내거나,, 받아봐야  10만원... 이 정도라

 

다른사람들도 비슷하겠거니  했는데,

 

회사 다른 동료들은  백만원가까이 받았다는 말을 듣고..

 

저도 좀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혼자살고있고, 부양가족 없으므로  가족수에서 혜택받을수는  없구요,

 

제 자의로 할수있는건  은행같은곳에서  연금이나 주택청약상품인가..?

 

그런거 들면   1년에 300백만원까지인가...공제받을수있다고 하던데...

 

은행에서 추천해주시는 상품이 결국은 방카상품이던데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네요.

 

연말정산 유리하고, 이 정도면 들어놔도 나중에 괜찮은 상품이다..싶은것들...

 

가입하고 계신분들,   추천부탁드려요....

 

 

 

엮인글 :

JJ곰탱이

2012.03.19 01:07:55
*.49.163.89

연금은 현대해상 연금보험이 괜찮지요... 인터넷서 이자 비교해봐도 답이 나옴....

 

제가 현직 현대해상 재직중입니다~ 관심있으시면 제가 연락할수 있는 방법 적어서 쪽지주세요~

 

일단 설명부터 싹 한번 드리지요^^

mr.kim_

2012.03.19 09:19:32
*.195.240.33

연금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려면 최소 10년, 월 20만 이상은 납입해야하는데 

중도 해지없이 가능하신지요?


나중에 해지시 연말정산에 공제받은거 다시 뱉어내야함..






ㅁㄴㅇㄹ

2012.03.19 09:26:12
*.249.8.13

연금 관련 상품은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상품을 가입해 지금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면, 연금 수령할때 세금을 떼고,

소득공제 혜택이 없는 상품을 가입해 지금 혜택을 받지 않으면, 연금 수령할때 세금 안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혼자 사는 급여소득자에게 소득공제 혜택의 와따는, 처+자식을 마련하던가,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넣는게 제일 큽니다.

다른 부분은 그리 금액이 크지 않는 것로 압니다.

mr.kim_

2012.03.19 09:34:28
*.195.240.33

세대주인 솔로 직장인의 경우

열심히 1.체크카드 2.신용카드 쓰는거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경우 공제율이 매우 낮지만

예를들어 의료비를 카드로 결제할 경우

의료비와 카드 이중공제가 가능합니다


저같은경우 교정비 약5백정도 카드결제해서

카드공제도 받고, 의료비공제도 받아 많이 돌려받았네요

또 핸드폰요금이나 전기요금, 인터넷요금 모두 카드결제

그래서 카드실적을 올려요;;

mr.kim_

2012.03.19 13:06:30
*.195.240.33

안할 소비를 소득공제를 위해 하라는게 아니고,

지출할 일이 있으면 카드를 쓰란 소립니당;

휘청보더

2012.03.19 10:49:26
*.255.200.130

연금보험이나 만땅으로.. 그거밖에 답 없습니다...

덜렁이

2012.03.19 11:19:51
*.135.30.238

애들  넷인 실장님. 중학생 하나, 초등학생 3.   거의 전액을 돌려 받아서 근로소득세를 하나도 안내고 생활 하시더라고요.

 

옆에서 볼 때, 차라리 세금 내고, 애기 하나만 키우는게 더 행복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세금 공제 해주는 거는 해 줄 만 하니 해주는 겁니다. 

 

부양가족 하나 더 있으면, 그걸로 세금 공제 받는 거보다, 그걸로 나가는게 더 많구요.

카드 공제 받는다고 열심히 쓰면, 공제받아 절약되는거 보다.  많이 써서 낭비되는 돈이 더 많아요.

보험이나 연금도 결국 위에 분들이 지적해 주신 그대로고요.   

의료비도 공제 받으려면 꽤 크게 아프거나 큰 수술 해야 하는데, 그거 안하고 건강하게 사는게 돈 버는 겁니다.

 

그냥 꼭 써야 할 곳에서 카드나 현금 영수증 잘 챙기시는 정도가 최고 입니다.

아! 부양 가족 중에선 부모나 자식 보다는 배우자가 제일 가성비 높습니다. 공제도 제일 많이 되고, 서비스(?)도 받을 수 있고... 

덜렁이

2012.03.19 11:20:39
*.135.30.238

애들  넷인 실장님. 중학생 하나, 초등학생 3.   거의 전액을 돌려 받아서 근로소득세를 하나도 안내고 생활 하시더라고요.

 

옆에서 볼 때, 차라리 세금 내고, 애기 하나만 키우는게 더 행복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세금 공제 해주는 거는 해 줄 만 하니 해주는 겁니다. 

 

부양가족 하나 더 있으면, 그걸로 세금 공제 받는 거보다, 그걸로 나가는게 더 많구요.

카드 공제 받는다고 열심히 쓰면, 공제받아 절약되는거 보다.  많이 써서 낭비되는 돈이 더 많아요.

보험이나 연금도 결국 위에 분들이 지적해 주신 그대로고요.   

의료비도 공제 받으려면 꽤 크게 아프거나 큰 수술 해야 하는데, 그거 안하고 건강하게 사는게 돈 버는 겁니다.

 

그냥 꼭 써야 할 곳에서 카드나 현금 영수증 잘 챙기시는 정도가 최고 입니다.

아! 부양 가족 중에선 부모나 자식 보다는 배우자가 제일 가성비 높습니다. 공제도 제일 많이 되고, 서비스(?)도 받을 수 있고... 

하우

2012.03.22 12:03:37
*.222.22.70

신용카드 / 개인연금 / 기부금 / 장기주택마련저축 이렇게 해서 공제 받습니다.

인적공제는 저 혼자고요...

저는 꾸준히 100이상 돌려받고 있습니다. 장마가 크긴 크더군요. 근데 이젠 장마도 없어졌으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7739
19115 카페24쇼핑몰 코딩 질문좀요.. [5] ㅁㄴㅇㄹ 2012-03-18 778
19114 용평 궁금... [5] 아싸라비야 2012-03-18 375
19113 마샬아츠가 프리스타일보드에 도움이 될까요... [5] 레켐e 2012-03-18 470
19112 영어잘하시는 분 제 영작좀 봐주세요 [2] 2012-03-18 255
19111 타이어 문의 [5] 타이어 2012-03-18 420
19110 통상 가전제품을 구매하면 전원코드가 케이블처리되서 오지 않던가요? [6] 불량품구매자 2012-03-18 348
19109 경남에 있는 스키샵 [4] NiHongGoNoMoJi 2012-03-18 347
19108 그림 그릴때 스케치북 올려놓는 A모양 나무를 뭐라하죠? [4] 하이원프리덤 2012-03-18 976
19107 달러를 한화로 환전? [2] m 2012-03-18 585
19106 DSLR 구입 전 질문입니다 [9] Sgd 2012-03-18 355
» 연말정산에 유리한 방법중....제가 할수있는게 어떤게 있을까요 [9] 345 2012-03-18 613
19104 포샵같은거 잘 하시는 분.. 저 사진좀 고쳐주세요..; [2] 개미 2012-03-17 321
19103 홍대상상마당근처에.. [1] 횟집.. 2012-03-17 227
19102 국내에서는 팔지 않는 외국물건을 구매대행 해주는 곳 있을까요...? [2] nexon 2012-03-17 429
19101 남자선물좀 골라주세요 [26] ㅇㅇ 2012-03-17 1022
19100 고프로 직접 사용하시는 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4] 풀뜯는멍멍이 2012-03-17 561
19099 아디다스 구스다운 AS받아보신분 계신가요? [4] 도날드닥 2012-03-17 1102
19098 카드단말기에 대해 질문좀 드릴께요 [1] 카드카 2012-03-17 169
19097 한미 FTA의한 미국내 보드 구입?? [2] 우이씨~ 2012-03-17 450
19096 여의도 토요일에 무료주차 가능한곳좀 알려주세요 ㅠㅠ [1] 가필두 2012-03-16 2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