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성 으로 오해 하실수도 있어서 상품이름은 안쓰겠습니다.
한달에 34만원 10년 가입 연금저축상품인데요..
34만원은 제가 연말정산에 받을수있는 금액때문에 그 정도로 잡아본거여요.
34만원씩 10년: 실제 저축총액은 4080만원 (생각보단 적네요..)
이렇게 내고서 55세부터 받는다고 가정하면 매달 58만원
65세부터 받는다고 가정하면 매달 93만원 정도 라고 하네요
그리고 제가 받는 연봉에 대비해 계산해보니 연말정산때 66만원 환급 받을수 있구요.
현재 제 나이가 많기 때문에 55세가 그리 멀게 느껴지지도 않습니다...ㅜ.ㅜ
불입액이 총 4080이면 정말 그리 큰돈은 아닌거 같은데...
가입해도 좋을까요...?
불안한거는 딱 하나 있어요
이렇게 장기 상품을 가입해본적이 없어서, 그때까지 회사가 안망하고
무리없이 저 돈을 받을수 있을지.. 그거 좀 걱정되네요.
이런 연금처축 상품,, 가입하신분들 안계신가요?
잘아시는분들 조언도 부탁드려요.
금욜까지 확답해주기로 했어요..
연금저축은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 모두 있습니다.
손해보험사 상품은 생보사보다 이율이 조금 더 좋은 반면에 10년, 20년 정액형으로만 수령하실 수 있고
생명보험사 상품은 손해보험사보다 이율은 조금 떨어지는 반면에 종신형으로 수령하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설령 회사를 그만두시고 자영업을 하신다 하더라도 소득공제는 가능하니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것 같습니다.
그러나 10년간 소득공제를 받는다면 약 660만원 정도 됩니다.
그리고 연금을 수령하실 때는 5.5%의 연금소득세를 내게 됩니다.
혹시 중간에 해지하시게 되면 소득공제 받으신 부분은 다 되돌려 주어야 합니다.
이런면에서 볼때 비과세 연금보험도 한번 생각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엔 변액연금으로 기존 4~5%대를 넘어 그 이상의 이율을 기대하기도 하며
10년만 지나면 전액 비과세 되기 때문에 연금저축보다 유리할 수 있습니다.
납입기간이 10년인건 알겠는데..납입완료후 연금수령개시일까지의 거치기간이 없네요..
또 연금이 종신인지 한정기간동안인지도 안나와있고..
연말정산에서 소득공제를 받게되면..나중에 연금 수령할 때 연금소득세를 떼어서 실제 수령액은 위 보다 더 줄어들겁니다..
그리고 연금개시일 까지의 물가 상승율을 감안한다면 기간이 얼만지는 모르겠으나..58만원은 껌값이 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을 빼고 물어보니 뭐 대답해줄게 별로 없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