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양에서 사당까지 버스를 타고
사당에서 지하철을 타고 출근합니다.
아근데!
사당에서 버스내릴때 분명 카드 찍고 내렸는데
지하철탈때보니까 환승이 안되네요 -_-;;;;;;
지하철요금 따불로 내는것 같아서 엄청 아까웠는데
더 걱정인것은
예전에 어디서 들은거 같은데
버스에서 내릴때 카드 안찍으면 버스노선 최장거리 요금이 부과된다고 한것 같아서요
버스 내리고 10분도 안되는 사이에 지하철을 탔는데
버스요금은 어찌되는걸까요?
아침부터 괜히 찝찝해서 인터넷 찾아봤는데
제가 원하는 대답은 그 어디에도 안보임 ㅠ
아시는분 계시면 답변좀 부탁드려요~
네이년에 두들겨보니
※ 수도권 환승할인 기준
1. 수도권 통합환승 - 거리비례제 (이용한 거리를 기준으로 요금을 수수)
대상 교통수단 : 서울 시내버스(간선,지선,순환) , 경기 시내버스(일반) , 마을버스 , 지하철(수도권전철 전 노선)
=> 버스 <=> 버스 , 버스 <=> 지하철 의 경우에만 가능함
(지하철 - 지하철은 환승 불가 ,, 같은 노선번호의 버스는 연이어서 환승 불가 ,, 좌석/광역버스 환승 불가)
2. 경기도 좌석버스 정액 할인제 (나중에 이용한 버스 요금에서 400원이 할인)
대상 교통수단 : 경기 좌석버스 , 시내버스(일반)
=> 경기도 좌석버스 <=> 경기도 시내버스 / 좌석버스
(같은 노선번호의 버스는 연이어서 환승 불가 ,, 지하철 , 마을버스 및 서울 소속 버스는 환승이 불가능함)
3. 인천광역시 환승할인제 (차액 할인제 , 무료환승제 , 50% 할인제 등 사례에 따라 기준이 복잡함)
대상 교통수단 : 인천 시내버스(간선,지선) , 인천 광역버스 , 인천 좌석버스 , 인천지하철 1호선(국철 제외)
※ 9700번의 환승할인은 위의 기준 중 2번에 해당하며 ,
위 기준대로 마을버스 - 경기 좌석버스는 환승할인이 안되기 때문에, 질문자분이 환승을 못 받은겁니다.
계신곳에서 9700이 다니는곳까지 마을버스 말고 "시내버스"(경기도 소속!!!!)도 다닌다면,
시내버스를 타신다면 환승할인을 받아서 좀더 저렴하게 가실 수 있습니다.
(마을버스 + 9700번 = 700 + 1700 = 2400원 vs 시내버스 + 9700번(환승적용) = 900 + 1300 = 2200원)
※ 공식 명칭 기준으로 광역버스는 "서울특별시" 나 "인천광역시" 소속의 "빨간색 버스"를 의미합니다.
서울시 광역버스는 어떠한 교통수단과도 환승할인이 불가능합니다.
이렇다는데
글쓴분도 2의 경우가 아니신지?
최장거리 요금이래도 원금의 100%에서 입니다..
즉, 버스 2번 타는 금액이 한번에 결재되는 것일 뿐이에요..
이 경우 안양에서 버스 탑승시 버스요금(서울의 경우 1050원)이 결재 되었고..
환승시에 환승이 안되었으니 원래의 전철요금 1050원에 100%인 총 2100원이 지출되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