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몇번이 중요한게아니죠 몇시간을 탔는게 더중요한것같습니다...
전 시즌3을 보내는데요 와본건 5번와본것같습니다 항상 한타임4시간만 탔는데
사람들 오질나게많아서 리프트15~30분기다리고... 담배피고 음료수마시고 그럼 별로 타질못했네요...
3시즌을보내면서
작년 곤지암 마지막으로갔을때 너비스턴을 열씸히 연습하는도중 마지막 30분남겨놓고
우연찮게 카빙으로 타게됐습니다 보드날
그때 아이게 카빙인가? 느꼇죠...
무섭더라구요... 제가 남자이고 이런 겁을 먹게된이유가
스키장 처음와서 카빙만 겨우하는형에게 보드를 배웟는데 낙법이란걸 못배워서
넘어질때 골반이 돌아갈정도로 심하게 것두 2번이나 넘어졌습니다...
아 쓰바 큰일났다 골반틀어진것같다 라는느낌이들었죠 다행이 살살 허리를 돌려보니 돌아가진않았습니다...
어찌나 그때 기억이 공포스럽던지...
제대로 헝글보더와서 아이팟에 동영상담고 이미지트레이닝 스키장가서 동영상대로만 훈련하고...
낙법도 연습도많이했지만 속도가 붙으면 그떄그 골반틀어질정도로 이상하게 넘어진 기억때문에 속도내는게 무섭습니다...
휴 이걸 어떻게 극복해야할지 참 깝깝하구요...
잡설이길었는데...
마지막30분때 카빙연습을했는데 마치 칼날로 타는듯한 느낌이 들더군요...서늘한 날위에서눈밭을 내려가는 느낌
한마디로 보드 날로타는거잖아요 좀 신선했습니다...바닥에 보드 드르륵 스치는 소리도 안나고
보드날에 스치면서 내려가는 쏴아아악~ 소리...
딱 한번 연습해보고 시즌을 종료했는데요...
님들은 몇번가고 몇시간정도타서 카빙을 연습하게됏는지 궁궁합니다 그리구 얼마나 연습해서 카빙 어느정도
타는것같다 느꼇는지 답변부탁드려요 직딩이라서그런지 스키장가기도 참 무지하게 힘드네요
보통 몇번 가보시고 카빙 됩니다 하는 분 보면 그게 카빙이 아니죠...
보면 너비스 좀 하시고 와~ 카빙 되요 이런게 부지기수...
저 같은 경우는 국딩 6년 때 노멀스키로 시작해서 대략 스키를 10년 정도 탄 상태에서 보드를 시작해서
카빙턴이 어떤 것이라는 정도는 알고 시작했고요.
보드 첫 시즌에는... 네... 몸 추스리기 바뻤습니다.
주말보더로 보드 타기 시작해서 카빙을 좀 한다고 느낀게 대략 2~3시즌 지나고 나서였던 것 같습니다.
지금은 주말보더로 12시즌째 접어 드는데 대략.... 성우 챌린지 5 전체, 챌린지 3 중하단, 용평 렌보우 2하단 요런데서 카빙...
그나마 쉬운 롱카빙 정도만 대충 어거지로 하고 다닙니다.
어차피 실력 따위는 없어서 터지던 말던 맘 편하게 탑니다.., ㅜㅜ
시즌 중반..??? 워낙 긴걸 타서 턴배울땐 힘들었는데. 베이직 카빙은 빨리 배운듯...
헝글에서 이론 공부도 마니 했었어요...
카빙 잘하시는분들이나 알파인분들 땡보딩 많이 하십니다..
괜히 늦게 가셔서 모글에서 연습하지 마시구 좀더 빨리 가셔서..
눈상태 좋을때 연습하세요...
글로만 단정짓기엔 무리가 있을듯하지만 일반적인 경험상...
카빙을 했다기보단 엣지를 많이 써서 턴을 했다고 하는게 맞을지도 모르겠네요
슬라이딩턴과 카빙턴의 주요한 차이점은 스티어링의 유무와 엣지의 각도입니다.
너비스턴도 엣지를 써야합니다. 다만 그 엣지의양? 각도?가 카빙에 비해 적은편이지요
카빙턴은 스티어링없이 사이드컷과 엣지각으로만 턴을만들고
보드에 가하는 압력(?) 프레셔의 시간과 양에의해 턴의 모양이 결정됩니다.
그리고 턴을하고나서 궤적을보면 초승달모양이면 슬라이딩턴, 하나의 라인으로 S자면 카빙입니다.
비록 카빙이 아니더라도 적어도 엣지를 쓸수 있단 이야기 이므로 조금만 연습하시면 멋진 카빙이 되실겁니다.
전... 처음에 가르쳐 줬던 형님이
정확히 1시즌동안 리프트 타는법과 낙엽만 가르쳐 줬습니다.
그 땐 웨 이래야하는지 몰랐는데 지금은 정말 감사하고 있네요.
열랩하세용 ㅋ
보드 처음탄날 오전오후야간권 한방에 다끊어서 그날 S턴까지 입문했습니다
토엣지 힐엣지 사용하면서 내려왓으니 어쨋든 S턴 = _ =;;;
두번째 스키장갔을때까진 뒷발 오질나게 차면서 무조건 일행빨리 따라가는거만 신경썻구요;
세번째 스키장간 그다음 시즌... 첫날에 날이 박혀서 턴을하는 느낌을 똭!!!
사람을 피하기위해서 몸을 확 틀면서 누웠는데 턴이 슉! ;;;;
그날이후 5번 타기전에 카빙을 익히긴 했습니다만,,,
타러갈때마다 10시간이상 징그럽게 탔기에 가능하지않았나 싶네요;;
제 개인적인 생각은 몇시간 탔느냐, 시간이 중요한게 아니라,
배우면서 탔느냐 아니냐가 더 중요한것 아닌가 생각합니다
쪼끔이라도 더 잘타는사람이 있으면 배우고 지적받으며 배워야 실력이 금방늘어갑니다
맨땅에 헤딩....
굉장히 좋지않다는..-_-; 하다못해 동영상보면서 이미지트레이닝이라도 해야 실력이 금방늘더라구요
10년동안 4년은 강사(지금은 없어진 알프스리조트)로 일하면서 타고 하루 50회 정도(거긴 사람이 없어요) 리프트를 탔네요 나머지 6년중 3년은 시즌방을 하며 하루 20~25회정도 리프트를 타네요 나머지 3년이야 뭐 일자리 구한다 뭐한다 해서 한시즌에 5~6번정도 간게 다구요..
리프트를 많이 타는만큼 신력이 늡니다
저는 그래서 땡보딩을 즐깁니다. 사람 많아지면 대기시간이 늘어나잖아요~오전 땡보딩, 야간 땡보딩 이건 필수로 ㅋ
그리고 낙법 다로 배우실 필요가 있나요? 팔목조심, 팔꿈치 조심, 머리조심 하는 법만 배운다면 나머지는 넘어지면서 몸으로 배우는법!
시간지나면 넘어질때 알아서 몸이 반응 하더라구요 ㅋㅋ
첫 시즌중반때쯤 카빙된다....날로탔다...무플이 닿을정도도 날 세운거 같다...생각도 하고 그런줄 알았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우수웠겟져...ㅎㅎ
10시즌이 지난 지금도 누가 카빙되냐고 물어보면 그냥 안된다고 합니다. 베이직카빙정도만 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