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모습을 보고있는것같아 몇자 적어봅니다.
첫번째는 약간의 후경이 있는것같습니다.속도에 대한 두려움때문인것같고요.
두번째는 토턴진입시 슬립이 많이 납니다. 힐턴은 자연스럽게 원을 그리며 턴이 시작되는 반면에 토턴은 급격하게 데크가 돌아가는군요..
세번째는 힐턴에 비해 토턴으로의 진행이 더 많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힐턴보다는 토턴시에 더 속도에 대한 두려움도 적고 안점감도 더 있어서요..아마 이문제도 속도에 대한 두려움에서 기인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해결책은 속도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마음속으로 숫자를 세가며 턴을 고르게 하려고 노력을 하면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초보의 주절거림이었는데요..
토우턴은 안정적이고 괜찮아요. 그상태로 타시다보면 좀 더 좋은 턴을 하실거같은데 힐턴시 어색하네요. 엉덩이는 튀어나왓는데 몸은 뒤로 쳐지는거같아요. 그리고 팔을 고정시키시지 팔때문에 좀자세가 별루에요. 우선은 팔을 어떻게 하실지 모르겠으면 뒷짐지고 타시도록 하구 힐턴시 엉덩이를 내밀기 보단 살짝눕는다는 생각으로 엣지를 줘서 타보세요. 지금 하시는 턴 열심히 하시다보면 다음턴도 쉽게 넘어가실거에요.
토턴 시 상체 닫으시구요. 팬츠 양쪽 허벅지단을 바깥쪽으로 당기며 타는 연습이나 뒷짐 지고 타는 연습 해 보세요.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자세 교정이 될 꺼에요. 그리고 쏘는 연습도 간간히 하시면 스피드에 적응하실 껍니다.
그러면 더 과감한 라이딩이 가능하죠. 공대생이라 표현이 좀 딸리는 점 이해해 주세요. ^^;
저는 덩치보더님의 말씀에 무게를 더 주시면 좋다에 한 표 행사하려 합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에 이 각도에서는 자세가 전경인지 후경인지 판단은 힘드네요. 그저 전체적인 모습을 보고 추측해보는 수밖에는요..
헝그리보더에 사람이 워낙 많다보니 여러가지 관점을 가지신 분들이 많으십니다만, 받아들이고 아니고는 글 쓰신 분이 판단해야겠지요.
속도에 대한 중압감으로 인해 급히 턴을 시작하고 서둘러 마무리하려 하시면 슬립이 발생하기 마련이죠.
턴에 임할때(특히 토턴시에) 속도를 줄이기 위해 억지로 급하게 뒷발을 바깥쪽으로 밀어서 돌리지 마시고
천천히 보드가 알아서 돌아가기 시작할 때까지 기다려주시는 참을성이 필요할 때 같습니다^^
힐턴에서는 커다란 동그라미가 그려지지만 토턴에서는 급하게 턴을 시작하다보니 부드럽게 원이 되지 않고 한번 꺾여서 찌그러진 원 모양이 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마도 토턴때문에 전체적으로 찌그러진 S 모양이 될 것입니다.
턴 시작할 때 조금 더 천천히 느긋하게 시작하시고 앞발에 무게를 좀 더 주시면(전경 자세) 후경 자세도 고치고 뒷 발을 밖으로 밀어내는 버릇을 고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턴 시작할 때 전경을 주면 알아서 보드 앞부분이 언덕 아래쪽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턴이 시작됩니다. 그때까지 기다리세요. 턴 중에는 중경, 턴 마무리에 약간의 후경으로 마무리 되면 매끄럽게 연결이 됩니다. 보통 턴 시작에 과감하게 전경 주는 것이 어렵지요.
전체적인 턴 모양이 이제는 고인이 되신 SKY 님의 칼럼 카빙 완전 마스터 가이드 1 번의 초록색 실선과 같은 모습이 되어야 보드의 엣지를 타고 갈 수 있습니다. 그리 되려면 턴 시작부터 뒷 발을 밖으로 밀어서 무리하게 보드를 꺾어서 돌려서는 안되지요.
역시 많은 도움이 되는군요....
토턴 진입할때 슬립을 도대체 어케 해야될지를 몰랐는데 이제 조금은
감이오네요.... 힐턴시...엉덩이 빠지는건..뒷짐으로 해결해야 할듯 하구요 ㅋ
속도에 대한 두려움보다는....처음 턴을 배울때...혼자서 갈비뼈 금가 가며
배우다 보니 역엣지의 무서움땜에 턴을 빨리 마무리 하려는 마음땜에
자연스래 굳어진거 같네요 ㅋ
처음 보드를 배울때 주위에 보더 보단 스키어가 많아서인지...
잘타는 사람은 커녕 턴 하면서 내려오는사람도 그렇게 많지가 않아서 ㅋㅋ
어언...10년째 익숙해져버린 턴 올해부터 수정하려니...진짜 눈물나네요...
여하튼 지적 감사드리구요...또다른 문제점 보이시는 고수님들 잇으시면
날카롭고 따끔하게 지적 부탁드립니다~~
모두 안전 보딩 하세요~~~
하하 올해 제가 저 잘못된 자세로 타다가 우연찬게 고수분에게 지적 받았었죠..
결국 지금은 고쳤습니다.. 경험을 말해드리면..
저 또한 토우턴 할때 왼쪽 어깨를 열었죠 전방 시선 처리확보도 용이하고 해서..
근데 문제는 님처럼 토턴시 엣지가 지대로 안박히죠 엣지가 안박히면.. 엣지를
박기위해 힘을 주는데 님처럼 후경에 주게대죠 그러면 엣지가 박히는 느낌이들지요
또 어깨가 열리면 토턴시 후경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시선이 가까운 바닥으로
가있을겁니다. 자신은멀리 본다고 하는데 고치고 나면 아실테지만.. 남들이보면.
바닥본다고 하죠..
결국 이걸 고치려면 다시 팔벌려서 시선 상체 하체 순으로 턴하는 기본을 다시 익
히시길..첨엔 몇년동안 익숙해진 자세 때문에 계속 원상복귀 되지만..기본기를
다시 충실히 하시어 상체 로테이션으로 어깨 열고 닫고를 다시 익히시길..
전 지적받고 4일 투자해서 고쳤는데.. 첨엔 정말로 더 이상하지만..
토턴시 어깨 닫는 감이 오는 순간..제대로 카빙이 된다는걸 느끼심..
제가 겪었던 어려움을 그대로 겪고 계시는 것 같아 글 하나만 더 쓰겠습니다.
현재는 뒷발을 밖으로 밀어내는 방식을 통해 의도적으로 슬립을 일으키기 때문에 턴의 크기가 작습니다. 덕분에 슬롭의 가장자리 근처에서 턴을 시작하더라도 슬립을 통해 턴 반경을 작게 만들어 돌아서 나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카빙을 하게 되면 SKY 님의 칼럼에 초록색 실선처럼 실제로 반원 두개를 붙여놓은 것 같은 형태의 턴을 하시게 될겁니다. 턴의 모양이 현재와 달라지게 되고 보드의 진행 경로 역시 변화하게 됩니다. 그때는 지금처럼 슬로프의 가장자리에 거의 다 도달했을 때 쯤 턴을 시작하시면 안됩니다. 반원 형태로 돌아나가기 때문에 슬롭의 가장자리 근처에서 턴을 시작했다가는 턴 할 만한 여분의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 슬롭을 벗어나 버리게 되지요. 물론 더욱 고수가 되면 턴 크기도 그때그때 조절이 가능하겠지만 기본적으로 데크의 사이드컷에 의해 정해진 회전 반경이 있기 때문에 카빙 턴의 반경이라는 것이 데크에 의해 어느정도는 정해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재처럼 가장자리 가까운 곳에서 턴을 시작하지 마시고 슬롭의 중간쯤에서 턴을 시작한다는 마음을 가지셔야 할겁니다. 지금처럼 계속 가장자리에서 가까운 곳에서 턴을 시작하면 턴을 완성할 만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턴이 자연스레 시작될때까지 느긋하게 기다리지 못하고 계속 뒷 발을 바깥쪽으로 밀어서 턴의 크기를 의도적으로 줄이게 될겁니다.
턴하는 동안에 누군가에게 부딪힐까 걱정하지 마시고 느긋하게 크게 돌아가는 토 턴 + 슬롭 중간쯤에서 엣지 체인지 + 느긋하게 크게 돌아가는 힐 턴.. 이런 식으로 턴하면서 둥글게 돌아나가는 과정 자체가 라이딩이라는 생각으로 즐겨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턴은 길게 늘어진 S 형태가 아니고 완전하게 반원 형태의 턴을 마무리 하고 나서 다음 턴을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은 엣지가 제대로 박혀서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턴을 끝까지 마무리 하시는 것이 힘들겠지만 그렇게 하도록 노력하셔야 앞으로 발전하는 데 용이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음냐.. 제가 말이 너무 많았던 것 같은데, 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것만 골라서 생각해보시와요^^
간단한 답변..
일단 원을 길게 그리는 연습을 하세여..시선이 일단은 너무 좁구여..좀더 멀리 보시구여..
그리고 원을 길게 그리는 연습을 하시면 아마 토.힐.터지는건 어느정도 잡힐거 같습니다.
좋은 의견 잘 읽어보시구여..개인적인 생각은 아마도 일단 원을 길게 그린다.
두번째 시선을 좀더 멀리보고 회전한다.
이상입니다.
두 번째입니다.
다음엔 화면 나오도록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