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딩이 많은 분량이 아니라 판단하기엔 큰 무리가 따를수 있곘습니다.
아무리 봐도 좀 스피드를 내시며 라이딩을 하시면 더 좋을텐데요.....
중간중간 트릭으로 스피드를 죽이시니 조금 어렵네요 말씀드리기가...
기본적인 라이딩은 다 되시는데, 다음 단계의 라이딩이 힘들다는 의미정도로 보이는데요. 트릭계열과 라이딩100%의 조화는 조금 힘들다~!고 보는게 제 견해라 이 부분을 전제로 말씀드리면, 프레스가 조금 약하십니다. 자신이 줄 수 있는 프레스에서 트릭계열을 위하여 조금씩 빼시는 모습인듯 싶은데, 그게 버릇이 되면 아주 힘드실듯 싶네요. 타이밍도 조금 더 빠르게(가, 감압시 모두요.) 가져가시면 되실터인데..
상체도 전반적으로는 흔들리지 않는 트릭 후의 랜딩 신경 쓰시느라 조금 굳어버리신듯 보입니다.
라이딩만 놓고 파헤쳐보겠습니다;; 트릭이 많아 초반부분만 놓고 말씀드립니다.
토싸이드에서 힐턴들어갈때 프레스가 약한것 말고는 좋습니다. 나름대로 업언웨이팅이 보이지 않은걸로 봐서
다운언웨이팅같은 연습중이신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선 좀더 적극적이고 강한 라이딩이 필요합니다.
힐싸이드에서 토턴들어갈때가 문제인듯합니다. 여기는 완전한 업언웨이팅턴인데 언웨이팅구간도 길고, 뒷발차기식
슬라이딩 후 토사이드 턴들어갑니다. 카빙을 구사하신다면, 펜프로그레시브 턴을 좀 연습하시는게 도움이 될 듯합니다.
흐미 잘 타시네여. 스위치 라이딩도 안정적이구...카메라 앵글때문인지 몰라도 힐엣징은 오히려 구피가 더 좋아보이네요.
일단 힐엣징만 좀더 신경 쓰시면 훨씬 잘 타실거 같네요. 그리고 엣지넣고 바로 데크 돌리는데 그러면 안좋아요.
카빙턴의 핵심은 아래로 가는 힘이 아니라 옆으로 가는 힘이에요. 고딩때 배운 원운동을 생각해보심 아실거에요.
근데 엣지넣고 바로 데크를 돌려버리면 옆으로 가는 힘이 턴초반에 슬라이딩 되면서 다 소진되버리죠. 만약 그 상태로 계속 데크를 돌리면 괜찮은데(깔끔한 슬라이딩 턴이 되져), 중간에 엣지가 딱 박혀버리니 데크를 돌려주는 힘(턴을 만들어 주는힘)이 거의 없어져 버리고 그럼 아래로 가는 힘밖에 없으니 다음턴 못들어가고 사활강만 겁나 길어지게 되져.
그만큼 턴 초반에 옆으로 가는 힘을 살려주는게 중요해요. 엣지 체인징 한 후에 조금 기다리는 느낌을 가져보세요.
그리고 엣지 체인징도 조금 다리를 당기는 방식으로 하시는데 이건 다운 언웨이팅이 맞긴 하지만 올바르게 쓰고 있는게 아니에요.
사실 다운 언웨이팅이 머 대단한게 아니구여 평소에도 알게 모르게 다운 언웨이팅이 나가요. 인터 카빙 처음 할때 업>엣지체인지>다운 하는데 이 다운이 웨이팅이 안되고 언웨이팅이 되서 카빙이 안되는 분들 굉장히 많거든요.
꿈꾸는보더님도 마찬가지로 언웨이팅 시점에서 다리를 당기면서 데크를 돌려버리시니 턴 초반 웨이팅이 안되고 슬라이딩이 되는거죠. 타면서 잘 느껴보세요. 내 다운이 웨이팅이 확실히 되고 있는지 아니면 언웨이팅이 되는지.
마구마구 파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 내용 때문에요. 흐흐~
오늘 처가에 온기념으로다가... 통영 무좌 더워요~~~~
일단 턴의 전환이 폴라인의 수직점이 아닌곳에서 이루어집니다. 이것은 크게 상관은 없지만 턴의 전환을 너무 일찍하는것 같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동작이 나오냐면 하체를 억지로 끌어 오는것입니다. 이것은 다운언웨이팅과는 다른 동작입니다. 따라서 하체를 억지로 끌고 오니 무척이나 힘이 드실것 같습니다. (실제로는 턴이 거의 존재하지 않음)
백사이드시에는 기울기및 몸의 중심이 맞지가 않습니다. 즉, 기울기는 거의 없고 몸의 중심이 맞지가 않으니 양팔이 앞으로 나란이 하듯이 앞으로 가게 됩니다. 그러므로 잉클리네이션/엥귤레이션 둘다 전무하다고 보입니다. 그래서 데크 바닥과 슬롭이 서로 달라 붙을려고 합니다. 게네를 떼어놓으세요. 같이 놀지 못하게. 엣지랑만 놀게 해주세요.
프론트사이드의 경우에는 억지로 하체를 끌고 오셨으니 이것을 가지고 턴을 만들려고 하시다 보니 뒷발로 꾸욱~~~ 누르십니다.(무릎 심하게 굽히시는거 보이시죠?) 그럴경우 데크가 조금 돌다가 말게 됩니다. (느낌상으로는 무지 도는 느낌납니다. )
전체적으로 놓고 보면 턴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보입니다. 기왕에 올리신 첼린지에서 타시는 라이딩 영상의 경우도 슬라이딩턴이 아니라 데크의 압력이 폴라인 수직인 지점에서만 받게 되어서 낙엽아닌 낙엽이 되는 자세가 나오게 됩니다.
혹시 가능하시면...... 기분 나쁘게 생각지 마시옵고...
1. 약간의 다운만한 상태에서 양팔을 벌리고 기울기와 상체 스티어링만으로 롱카빙을 하면서 슬립이 없는 상태를 만들어 봅니다. 반드시 폴라인과 수직인 지점에서 턴의 전환을 하며 업다운을 하시면 않됩니다. 그리고 상체 스티어링을 반드시 해주세요. 이때 앞팔만 돌리시면 않되고 뒷쪽 어깨가 따라 돌아 간다는 느낌으로 해줘보세요.
2. 그리고 나서 업언웨이팅 라이딩을 연습해보세요.
이 자세를 연습해보시면
1. 스티어링이 왜 중요한지. 특히 뒷쪽 어깨가 따라 돌때의 데크 바운스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느끼는것.
2. 기울기가 왜 중요한지(최대한 기울여서 어느정도 기울이면 넘어지는 각도인지 몸으로 느끼게 해줍니다)
스티어링은 상급자로 가도 분명 중요하고 또 눈에 보이질 않을 뿐이지 상체 스티어링들 하고 있습니다. 완전 초급자가 연습해야될 사항이지만 따저 보시면 본인만의 라이딩 자세를 만드시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이제 곧 다음 시즌되시면 라이딩의 피로감이 분명 오실겁니다.
성우 브라보는 카빙및 기타 라이딩 연습하기 참 좋은 슬롭입니다. 부담도 없구요. 부디 화팅하시길.....
아무리 봐도 좀 스피드를 내시며 라이딩을 하시면 더 좋을텐데요.....
중간중간 트릭으로 스피드를 죽이시니 조금 어렵네요 말씀드리기가...
기본적인 라이딩은 다 되시는데, 다음 단계의 라이딩이 힘들다는 의미정도로 보이는데요. 트릭계열과 라이딩100%의 조화는 조금 힘들다~!고 보는게 제 견해라 이 부분을 전제로 말씀드리면, 프레스가 조금 약하십니다. 자신이 줄 수 있는 프레스에서 트릭계열을 위하여 조금씩 빼시는 모습인듯 싶은데, 그게 버릇이 되면 아주 힘드실듯 싶네요. 타이밍도 조금 더 빠르게(가, 감압시 모두요.) 가져가시면 되실터인데..
상체도 전반적으로는 흔들리지 않는 트릭 후의 랜딩 신경 쓰시느라 조금 굳어버리신듯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