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님은 바인딩을 좀 많이 꺾어 놓으신 것 같아 보입니다.. 보통 바인딩을 그렇게 꺾는 이유는 힐사이드 카빙시 토사이드만큼의 기울기나 각이 나오지 않을 경우, 토사이드 카빙진입이 어려울 경우, 무릎이 잘 안 구부러질 경우 등등등인데.. 이러한 문제점들을 바인딩 하이백 조절로 어느정도 극복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단순히 하이백 각도를 죽였다고 해서 안되던 카빙이 되고 그런 것이 아닙니다.. 일단 카빙을 처음에 시작하면 저는 하이백각도를 완전 세우고 교육생들에게 시도하게끔 합니다.. 물론 각을 죽여놨을 때보다 느낌들이 좋지 않겠죠.. 한마디로 더 어렵게 타게 될 수도 있습니다..(하이백 다 세우고도 잘타는 사람들 있어요~)
그렇게 해서 몸의 각도없이 기울기만으로 J턴-> ?마크(Question Mark), 젯턴(Jet Turn) 순으로 연습을 해보시구요.. 턴을 그리다 넘어지는 부분에선 몸의 각도까지 만들어 주시면서 다운을 해보세요.. 물론, 어깨와 시선은 보드보다 더 넘어가 있어야 한다는 점은 알고 계시겠지요?
그렇게 하시면서 또 하나 지적해드릴 것은 정확히 보이진 않지만, 언뜻 보기에 뒷발의 무릎이 앞발 쪽으로 쏠린다는 점입니다..
항상 낭심 밑의 부분은 오각형이어야 합니다.. 어떤 경사를 가던지 간에요..(물론 파우더 눈이나 폭설로 눈이 많이 쌓였을 땐 제외)
그게 무너지면 안되요.. 근데 님은 앞쪽으로 쏠려 보여요.. 이것도 보완해주심 좋을 것 같습니다..
이정도면 스키장 두 번정도 갈 연습량 되겠네요..
보너스로 님이 중간중간 하시는 점프.. 말인데요.. 그것으로 만족하신다면 할 말이 없지만, 조금 더 이쁜 자세에서 하시려면 테일의 탄성으로 점프를 해보세요... 여기에서의 팁은 고릴라가 뛰어가는 듯한 자세를 직활강 하면서 적용한다고 이미지를 그려보세요.. 고릴라가 좌우로 흔들듯.. 우리는 앞,뒤로 그렇게 해봅니다.. 중심을 앞으로 쏟았다가 뒤로... 그러면 테일에서 통~하고 튕겨지는 게 느껴지실 겁니다.. 그렇게 자유자재로 되시면 거기에서 무릎을 접는 것까지 연습하시면 더더더더 좋구요~ 이해되시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