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만원정도로 생각하고 있구요,
스마트 기능은 거의 쓰지 않을거 같은데요..
3D LED TV로 사는게 나을까요? 스마트 기능도 되는 TV를 사는게 나을까요?
LG, SAMSUG 중에 보고 있는데요, TV는 LG가 좋지 안나요?
LG 42LM5800
SAMSUNG UN40EH6030F
SAMSUNG UN40D6350RF
LED 만 본다면 LG 42LM5800 제품쪽에 맘이 있는데요,
스마트기능도 가격 차이가 얼마 안나는데요, 이중에서나.. 100만원정도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엘지 얼마나 싸면 3d 안경(편광방식이라 가볍고 충전도 필요없고.. 장난감같음. ㅋㅋ) 마구마구 뿌린다는....
반면 삼성껀 안경 자체에 전자회로에서부터 안경도 충전이 필요하고, 좌우 깜빡임 방식(초고속이라 느끼지는 못함.)이라 아무래도 장시간 착용시 눈에 영향이 있을 수도...(잘은 모름.)
엘지 방식은 영화관에서 그대로 쓸 수 있으니 영화관에서 빌려주는 남 쓰던 비위생적인 안경 쓸 필요 없고,
엘지에선 안경 착용자도 지원해서 클립형으로 간편하게 안경에 부착해서 렌즈를 올리면 보통 볼때 사용할 수 있고,
렌즈를 닫으면 3D영화 볼 수 있죠..
(클립형도 함께 나눠줍니다.)
한마디로 가격 경쟁력으로 보나 간편성, 편의성, 보편성으로 보나 엘지의 압승이죠.
물론 해상도는 삼성에 비해 좀 떨어진다지만, 실제로 보면 별 큰 차이는 못 느낍니다.(저처럼 막눈이라면.. ㅋㅋ)
얼마전 소녀시대 포스터와 함께 3d 안경 무료로 막 나눠준적이 있었죠.. ㅋㅋ
그 때 소녀시대 포스터 무려 4장이나 획득했다는...
(저 1장, 동생 1장, 아빠 2장 가지고옴.)
수완 좋은 아빠는 어떻게 2장씩이나....
현재 1년째 사용중인데 아직까진 고장은 안 났습니다.(32인치)
다만 지상파 3D를 보기엔 (2011년형까지는 무리죠. 2012년형부터 지원.. 삼성은 옛날 모델은 간단한 업그레이드로 가능..)
하지만 3d plus kit를 무상 무료 택배로 제공하기에,
그것으로 업그레이드 후 키트 장착하면 지팡사 3d도 볼 수 있습니다.(생각보다 키트가 그렇게 거추장스럽거나 크지는 않아요. 몇개월전엔 셋탑박스 필요하다 했지만 손바닥 반 만하게 크기를 줄였나보더군요. 역시 엘지의 연구력이란.. ㅋㅋ)
대가족일 수록 안경값이 부담이 없는 엘지가 좋겠고,
좀 매니아틱 하신 분이고 독거인이라면 삼성도 괜찮고..(대신 충전의 귀차니즘이 좀 있겠고, 전자파의 위험성도 배제하기 힘들겠죠.)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TV를 놓고 보자면
LM5800 과 UN40EH6030F 두모델과 UN46D6350은 같은 급이 아닙니다. 작년모델이라도 가격차이가 꽤 날텐데요.
저위에 모델중에 3D든 2D든 가격을 고려하지 않으신다면 무조건 6350 입니다. 패널자체가 급이 다릅니다.
패시브/액티브 장단점이 있습니다만 LG의 패시브방식은 안경의 편리성과 크로스토크로 인한 눈피로가 적다는 장점이지만 패널에 편광필름이 들어가기때문에 2D화질에서 손해를 봅니다. 화면에 돋보기 갖다놓으시면 가로줄 보실수 있습니다. 삼성의 액티브 방식은 2D의 화질손실없이 풀HD 구현되나 눈피로가 더하고 화면밝기를 손해봅니다.
삼성이 몰라서 패시브방식을 개발안한것도 아니구요. 무안경3D는 수십인치대에서 구현도 다 되었으나 둘다 원리 자체가 제약이 많기 때문에 안한 겁니다. 위의 장점을 다 갖고 단점을 둘다 해결할 수 있는 기술(패널에 셔터가 들어간 방식)도 있지만 경제성때문에 안합니다..
저라면 브랜드 상관없이 필요한 예산에서 인치수 큰 TV를 사겠습니다.
LG제품이 목록에 오르겠네요.
그리고 3D는 잠깐 신기할 뿐이고 영화관에서 잠깐 즐기시는게 건강에도 경제적으로도 아끼시는 거라 생각됩니다.
그리고...전 삼성에서 TV SW 만드는 사람입니다.
저도 벤쳐,중견기업등을 거쳐 여기까지 와서 일하고 있고 무슨 이유로 회사가 욕먹는지도 알고 LG를 추천하는것도 알겠는데요.
색감이나 제품디자인, 가격을 두고 추천하시는 거면 몰라도 기술력이 더 좋네 잔고장이 더 많네 이런 말씀하시면 엔지니어 입장에선 좀 짜증나는건 사실입니다. 타사 TV도 일반분들 보단 많이 사용해 봤을겁니다. 뭐가 부족한지도 뭐가 나은지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이엔드빼면 패널/메인기판/CPU다 대동소이합니다. 그러기에 가격이 구입시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3D는 비추라면서 2D화질이 떨어지는 제품을 추천하는건 앞뒤가 안 맞지 않습니까?
덧붙이자면 북미/유럽 시장점유율에서 LG는 삼성의 3분의 1정도 됩니다. 모니터는 광시야각을 가진 IPS 패널이 호평을 받아 LG가 선택할 수 있는 제품이 많습니다만 TV패널은 모니터에 들어가는 허접 TN패널이 아닙니다.
편견을 가지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좀 아니지 않나해서 말이 길었습니다. 불쾌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저희집 삼성 UN46.. 쓰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LG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