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따끔한지적.. 이라시길래 모자란 실력에 한 말씀드린다면^^
우선 상체 리듬을 잡아 주셔야겠네요...데크 컨트롤이 버거우신지 카운터도 아니고(사실 얼마전 어떤 고수님 영상보고 카운터로테이션 처음 알았습니다 기존에 있던 방식이던 프리스타일이던 데크 컨트롤하는데 요긴한 방법인듯..)
암튼 상체가 너무 따로 흔들리시는듯하고요 요즘 슬라이딩턴이 화두가 되면서 뒷발 조차도 슬라이딩턴화 되가는듯합니다...^^;;
앞발을 너무 축으로 삼지 말고 앞뒷발 같이 밀어주고 땡겨주는 느낌??정도로 라이딩하시면 될듯합니다...
에고 어디서 들은건 있어서 말이 많았네요^^ 시즌 마지막까지 안전보딩하세요^^
전 뒷발이라고는 보지 않습니다. 원래 아마 저거 스윙앤 글라이드 식으로 연습하시려는것 같은데 혹시 맞으세요??? 제 느낌으론 그래서..;; 다른 문제점보다는, 스윙이 아니고 거의 드리프트 식으로 진행되고 그 와중에 턴의 반경을 너무 짧게 가져가시려 하시니 그게 약간 어색해보이니 다른 분들이 그런게 아닌가..; 싶은데요..;;;
토우와 힐이 비교될 정도로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힐턴에 비해 토우턴이 부자연스럽습니다.
연속적으로 밀거나 밀리는 느낌을 느껴보세요
순간적으로 걷어차는 느낌은 자제 하시고요
인터스키와 레이싱의 결정적인 차이가 턴의 모양새입니다.
레이싱이라면 뒷발을 차던 앞발을 차던.. 턴을 하던 말던...빨리가며 정해진 기문을 놓지지 않으면 장땡입니다
길지 않은 기문경험에 비하자면 급하면 저도 차고 나갑니다.
특히나 급사면에서 슬라이딩을 빙자한 발차기 유효하게 사용하거든요
그나마,
합법적인 발차기를 이번시즌에는 못 한것이 아쉽습니다.
뒷발을 저는 턴이 안되서 억지로 뒷발돌리는 걸로 알고있는데요 다른 해석도 있나요?
턴의 방식이야 아주 다양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상체하체 같이 리드할수도잇고 상체랑 사활강까지만 같이 가다 상체그만움직이고 하체로테이션만 계속 지속 .
크로스오버되서 후반 리바운드 더 강하게할수도있고.
상체고정하고 하체로테이션으로만 슬라이딩턴 할수도잇고. 그리고 슬라이딩턴에서 미는힘도 같이 쓸수도있고 후반에만 살짝밀어서 턴이 더 용이하게할수도있는 등등 ..꼭 한방식으로만 생각할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모든 사람이 같은 방식으로 탈필요도 없고 자기 스타일 대로 타면되는거기도 하지만
스타일과 나쁜습관을 구분하기가 좀 힘들지요 ;; 너무 기본을 무시하면 제대로 안타지죠.
제대로 컨트롤 되고 안되고는 자신 스스로 느낄테니 ;;
그래도 다양하게 타다보면 스스로 장단점이 ..일단은 잡식성을 지향 ...
// 관광모드 그냥 미는 힘 쓰는거 이야기 한건데요 .. 뒤쪽발 밀어본적 없으신가요 ;;
당연히 있죠 주로 브레이킹시 뒷발을 밀어서 제동...그리고 두발 다밀면 벤딩턴 할때처럼 사용하는데...
암튼 펑님 의견 다 맞다고 생각됩니다...보드를 단계를 바꿔 배워서 가끔 이상합니다..궁금 했던것은 "펑"님 의견은
저위의 동영상이 뒷발이라기 보다는 뒤쪽 미는힘의 활용 이라고 하시는 것--으로 해석해 그게 뭘까 궁긍했던건데요..
개인적으로 뒤쪽 미는 힘의 활용=뒷발 활용 그리고 이건 본인맘이고 슬로프 상황에 내키는대로 사용--이래서요..암튼감사.
우선 상체 리듬을 잡아 주셔야겠네요...데크 컨트롤이 버거우신지 카운터도 아니고(사실 얼마전 어떤 고수님 영상보고 카운터로테이션 처음 알았습니다 기존에 있던 방식이던 프리스타일이던 데크 컨트롤하는데 요긴한 방법인듯..)
암튼 상체가 너무 따로 흔들리시는듯하고요 요즘 슬라이딩턴이 화두가 되면서 뒷발 조차도 슬라이딩턴화 되가는듯합니다...^^;;
앞발을 너무 축으로 삼지 말고 앞뒷발 같이 밀어주고 땡겨주는 느낌??정도로 라이딩하시면 될듯합니다...
에고 어디서 들은건 있어서 말이 많았네요^^ 시즌 마지막까지 안전보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