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에 올리신 영상을 봤을때, 그리고 리플을 읽은 적이 있었는데요. 아마 천화비향님과 같은 동호회신듯.....??
그분의 라이딩을 모태로 하시는 라이딩을 추구하시는듯한 느낌인데요. 다른건 막눈이라 잘 모르겠고, 아마 스윙앤 글라이드 식의 연습이신것같은데요..;;; 정확한 프레싱 혹은 리딩 동작이 없으신 상태에서 바로 턴을 구사하실려고 하시다 보니 오히려 턴의 리듬도 엇박자가 날때가 많아지시고, 라인 또한 정확히 들어가시는 부분이 깨지는게 많아지시는듯...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저도 스윙앤 글라이드는 굉장히 약합죠~~못하는 기술은 아닌데, 토에서 힐로 넘어갈때가 개판~~~;;;
잘 탄다 못탄다는 규정이 좀 뭐하지만 엣지 컨트롤은 무척 좋아보입니다. 상급 슬로프에서 너무 턴의 싸이즈를
줄이다 보면 카운터로테이션이 일어나곤합니다. 하체의 발을 많이 사용해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일단 될수록 흔들리지 않도록 천천히 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너무 하체 특히 발을 많이 사용하시면 일어나는 특징입니다..또한 힐턴을 싸이즈에 비해서 토턴 싸이즈가 너무 작습니다.너무 발목을 많이 사용하지 않으시면 좋은 라이딩이 되실 것 같아요. 토턴의 빠르게 하는데 힐턴은 조금 늦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아마도 속도 조절이나 엣지 컨트롤을 힐턴으로 하시는 것 같은데 좀더 같은 속도로 같은 리듬으로 타시면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 들어 많이 느끼는건데...음
저는 카운터 로테이션이 잘못됐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지금은 카운터 로테이션도 턴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의도한 턴이라는 가정이고...
카운터 로테이션일 경우 데크 컨트롤은 쉽게 할수 있지만
로테이션에서 이어지는 프레스 컨트롤 부분은 약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새로운 턴을 하나를 만들어 주세요.
컨트롤만 된다면 또하나의 턴이라 생각되는데... ㅋㅋㅋ
눈에 익은 것들이 있어서 그것과 비교하면 다른 것이고, 못 보던 것이니 더욱 좋지 않게 보이겠지요...
...
그러나 못보던 것이어도 좋아 보이는 것이 있으니 그렇게 된다면 다른 사람들이 하나의 턴이라 이름 붙여주지 않을 런지... 좋은 평 읽은 후 글을 남기고 싶어 생각나는데로 적어봅니다.
힐턴은 로테이션이 굉장히 작아보이네요 그리고 실제로 덱 자체도 덜 돌아가는 듯 보이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