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페미니즘 교양수업을 맡게된 교수님. 정확히는 시간강사 아저씨죠. ㅋ
아버지가 외교관 외국 영사, 대사관으로 돌으셔서 노르웨이. 덴마크. 핀란드에서 공부 하셨더라고요.
성인이 되어서 한국에 왔고 대학원을 한국에서 나와서 박사 받고 지금 보따리 장사 하고 있다고.
매우 똑똑한 분 같은데 너무 솔직하셔서 지금 수업끝나고 총여학생회 회의 들어갔슴. 수업에 총여 간부가 있었슴. 헑!
오늘 수업의 주제는
대략 15년간 여자에게 교육과 사회진출의 기회부여를 남성과 동등하게 했음에도 서구유럽만큼 여성의 참여가 더딘이유:
책의 내용과는 다르게 교수님 말씀은
전통적인 가부장적인 사회의 억압이 아니라 여자의 선택 이었다고 말함.
1. 즉 노력하고 도전하고 헤쳐나가는 프론티어정신이 있는 여자는 지금도 성공하고 있고 성공하는중.
여자는 남자와 경쟁하는게 아님. 여자는 여자들과 경쟁함.
여자는 여자와 경쟁하기에 약간의 도전정신, 노력하는 자세만 있어도 인정받을수 있슴.
내가 다니는 회사 남자직원들은 다 무능 하다고 욕하면서도 남자직원들에게 도움받을려고 하는 여직원들 꽤 많음.
그렇게 도전안하고 편하게 회사생활 하다가 능력있는 남자 만나서 시집가면 뒤옹박 팔자 완성된다고 믿고 있고
남자들의 억압이 아니라 여자 스스로 그렇게 생각함.
2. 같은상황에 대한 극과극의 이기심과 자기합리화.
표준집단을 놓고 조사를 했는데
예를들면 지하철에서 어느 여자가 성추행을 당했다고 가정. 그 여자를 구해주기위해 어느 남자가 나섰다가 상해를 입음.
단순하게 여자일때 반응은 남자라면 당연히 성추행 당하는 여자를 구해줘야 한다고 생각.
그 남자가 내 아들, 오빠, 동생 이었다면으로 주제가 바뀌면 모르는 여자 구해주는 흑기사 노릇 할 생각 말고 모른척 하라로 바뀜.
남자인 경우에 다르게 나옴. 여자보다 5배정도 내 아들 , 형제 일지라도 여자를 구해주기위해 노력해야 한다라고 대답.
이런 상황에 따라 같은사실이 정반대로 뒤집어지는 이기심과 그것을 합리화 시키는 마음이 자신은 잘못한게 없다는 생각을 만듬.
3. 자신의 모습을 타인을 통해서 실현 시키고 싶어하는 나약함.
즉 자신 스스로는 보여줄수 있는게 없기에 남편이 잘나면 자기가 잘난줄 아는것.
자식이 공부잘하면 자기가 공부잘했던 여자로 생각하는것. 그런데 그 남자들의 잘남이 다 노력이고 실패를 견디고 일어선
오뚜기정신이었슴을 기억하라고. 수재, 천재가 흔하면 우린 수재, 천재라는 호칭을 쓰지 않는다는것.
마지막으로 일상을 페북으로 도배하는 여자는 페북을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보여줘야 할 만큼 약한존재이니
페북에 심취하지 말라고.
난 이 교수님 좋은데 학기초에 갈리는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학생취향에 맞춰서 수업해야 하나요?
그럴라면 수업은 왜들어 지가 강의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