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의사의 오진이라...
일전에 아주 저명한 의대교수가 은퇴식 하는날 은퇴소감을 말하는데
'본인이 봤던 환자의 절반은 오진이었던것 같았다'고 말하는데 사람들이 모두 놀랐다죠...
일반인들은 "아니 저렇게 유명한 의대교수님도 오진을???"
의사들은 "아니 어떻게 그렇게 오진율이 낮을수가..."
의사도 사람인이상 실수가 있고 당연히 오진을 할수 있겠죠.
하지만 의심되는 모든 질환들에 대해 정밀검사를 한다면 진단율이 90%이상에
근접하겠지만 실상은 그렇게 할수도 없는 노릇이지 싶습니다.
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들어가서 감당이 안될테니까요...
질병의 진단이라는 과정이 쉽게 열어볼수 없는 남의 바지 주머니 속에 뭐가 들어있는지 맞추는 과정이라고 한다면
좀 이해가 쉬울까요?
어떤 경우는 주머니의 모양을 보고 알수도 있을것이고
어떤 경우는 주머니근처에서 나는 냄새를 통해 알수도 있을것이고
어떤 경우는 다리가 움직일때 주머니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듣고 알수도 있을것이고
때로는 분명히 뭔가 있을것 같은 주머니였지만 아무것도 없는 빈주머니일수도 있을것이고
적절한 비유인지는 모르겠지만 상당히 복잡한 과정을 거쳐 비로소 알아내는것이 진단이라는 과정일겁니다.
그냥 얼굴보고 몇가지 증상듣고 탁보고 척하고 알아맞춘다면 돗자리 깔아야겠죠.
따라서 경험이 적은 의사는 그만큼 오진율이 높을것이고 경험이 쌓일수록 점점 줄어들것입니다.
응급실 인턴 이민우처럼...
주말이었다면 아마도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가 아닌 일반의사에게 진료를 보셨을 가능성이 높지 싶습니다.
왜냐면 경험이 풍부한 의사라면 절대로 환자에게 100% 그건 아니라는 말을 하지 않거든요.
그것일수도 있지만 현재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그것이 아닐가능성이 높다고 말하겠죠.
또한 경험이 풍부하다고해서 모든걸 다 알지는 못할 것이구요.
적절한 시기에 나타나는 적절한 양상들을 관찰할수 없는 시기에서 환자를 접하게 되는 의사는
의대교수가 아니라 최인혁교수 할애비라도 알아 맞출수는 없는겁니다.
보드 처음타는데 낙엽도 안하고 카빙부터 배울수 있는 사람은 존재할수 없듯이...
주말에 응급실에서 일하는 의사들은 수많은 넘어짐과 수많은 까임(?)을
겪는 과정에 있는 비기너일 뿐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음도 잘 알겠고 무슨말인지도 알겠지만 너무 노여워하지는 마십시오.
그러니 의사를 찾아가서 한대 치고싶었다느니 하는 말은 좀...
진짜 나쁜건 의사가 아니라 환자와 의사들이 같이 싸워야할 병균들과 질병들이 아니겠습니까?
그래도 우리나라처럼 병원가기 쉬운 나라도 없을겁니다.
해외봉사활동 같은거 가보거나 해외에 잠깐이라도 살아보신 분들은
우리나라 의료가 국가가 만들어놓은 많은 제한상황과 많은 제약에도 불구하고
의사, 간호사들을 포함한 수많은 의료진들의 노력과 희생에의해
가격대비 고효율(?)로 유지되고 있는건지 깨닫게 되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