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을 충분한 준비없이 결정하여 실행한 문제점도 크지만, 국민의식의 문제도 없다 말할수 없지요. 맞벌이 가정이 아닌 보편적 외벌이 가정에서 자신만 손해본다는 입장에서 너도나도 모두 어린이집에 아이를 넘기는 현상이 벌어져서 어린이집 수요가 부족한 현상이 발생되고 정말 필요한 맞벌이 가정이 혜택을 보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니...
정부에서 주장하는 2세이하의 아이는 가정에서 케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개인적으로 동의하지만 사회적으로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이 좋은 편이 아니라는 것이 문제
잼있군요. 맞벌이는 돈을 번다... 그럼 아이둘을 낳은 것 역시 선택이지요 아이를 부양할 능력없이 아이만 만드는 것도 문제아닌가요?
보편적보육의 본질을 이해해야지요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아이를 돌볼수 없어 출산률이 저하되는 이유중의 하나이고 이혼등으로 한부모 가정의 수가 증가하면서 사회적인 비용이 증가하게 되니 정부차원에서 지원을 하는 것이고 이것을 보편적 복지로 확대하여 적용한 정책이라는 것
정책을 충분한 준비없이 결정하여 실행한 문제점도 크지만, 국민의식의 문제도 없다 말할수 없지요.
맞벌이 가정이 아닌 보편적 외벌이 가정에서 자신만 손해본다는 입장에서 너도나도 모두 어린이집에
아이를 넘기는 현상이 벌어져서 어린이집 수요가 부족한 현상이 발생되고 정말 필요한 맞벌이 가정이
혜택을 보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니...
정부에서 주장하는 2세이하의 아이는 가정에서 케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개인적으로 동의하지만
사회적으로 육아휴직에 대한 인식이 좋은 편이 아니라는 것이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