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162 / 60 신체와 (뚱뚱하지 않음)
예전 ZUMA 데크 151 타다가
작년이월상품으로
10/11 살로몬 릴레이 바인딩 / Forum Contract 2011/2012 snowboard 152 타고 있습니다.
아래는 데크의 대한 조견표 및 한계체중입니다.
| Size, cm | 146 | 148 | 150 | 152 |
| Length, mm | 1460 | 1480 | 1500 | 1520 |
| Running length, mm | 1090 | 1110 | 1130 | 1150 |
| Effective edge, mm | 1130 | 1150 | 1170 | 1190 |
| Nose width, mm | 287 | 290 | 292 | 295 |
| Waist width, mm | 245 | 247 | 249 | 251 |
| Tail width, mm | 287 | 290 | 292 | 295 |
| Sidecut radius, mm | 7063 | 7215 | 7368 | 7533 |
| Stance width, mm | 572 | 584 | 584 | 584 |
| Setback, mm | 0 | 0 | 0 | 0 |
| Rider's weight, kg | 52-82 | 54-86 | 64-91 | 68-95 |
제가 152 타고 있으므로 제몸무게의 무려 8kg이상 미달인데
라이딩시 카빙이나 턴할때 장비를 바꾸고 나서 더 자꾸 넘어지고
카빙시 턴이 터져서 슬라이딩이 되는 현상이 자꾸되는데요
체중 미달이라서 프레스를 줄떄 체중압력이 부족하여 자꾸 이러는걸까요?
아님 데크의 성향이 달라져서 적응 할 시간이 필요하는 걸까요?
설질 좋은데에서는 그럭저럭인데 아이스반에서 예전에 비해 자주 넘어집니다.
샵에서 괜찮다고 하길래 이월삿는데 후회막심입니다.ㅜㅜ
보통 고수님이나 프로보더님 같은 경우 아이스반을 만났을떄 어떻게 대처하는지 궁금합니다.
대명 비발디 레게 슬로프 같은경우 낮에 눈이 좀 녹았다가 새벽에 타면 완젼히 아이스반이라서
10명중 9명은 한번씩 무조건 넘어지는 곳인데 무시하고 카빙으로 내려오시는것인지
아님 천천히 다이나믹 주면서 슬라이딩으로 내려 오시는지 여쭈어 봅니다.
감사합니다.
장비를 바꾸고 나서 더 넘어지는 것은 장비에 원인이 있을 수도 있지만 장비에 적응이 덜 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조금 타시다보면 새로운 장비에 적응이 될 거라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아이스반에 대한 질문이 가끔 올라오더군요.
아이스반에서의 카빙, 완전히 얼음판 비슷한 상태라도 가능합니다.
모든 라이딩 요소를 아이스반에 적합하게 조절하면 되거든요.
문제는 좋은 설면 중간에 갑자기 나타나는 아이스반이 문제일 뿐이지요.
저희 동호회를 보면 10년 이상 경력자도 라이딩 되자마자 바로 트릭으로 가고
라이딩 기술에 신경쓰지 않으면 아이스반이 되면 집으로....
3~4년차라도 온리 라이딩만 파는 사람은 모두가 벌벌 떠는 아이스반에서도 카빙턴이 가능하더군요.
무리하지 마시고 실력에 맞춰서 적응해가다 보변 충분히 타실 수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사람은 압력때문에 슬라이딩 안될까요? 를 생각하시면 되죠.......
한시즌동안 17kg 에 몸무게가 늘어나면서 한데크를 타본결과.......체중과는 별 관계가 없다였습니다.
아이스에서 카빙으로만 내려오는 사람은 없거나 극~~히 일부일듯합니다.
설질에 맞게 타시면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