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스를 주고 온몸에 힘을 꽉주나요? 아니면 프레스 주는 엣지에만 힘을주나요?
모든 운동이 그렇지만 인위적으로 힘을 줘서 하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업다운 하면서 엣지를 박긴 하지만 저 스스로는 엣지를 박으려고 일부러 힘줘서 누른다는 느낌은 많이 안들던데요?
그냥 날을 탄다는 느낌만 들지...
오히려 고수가 될 수록 힘을 빼고 타는 듯~~
관절의 굽힙과 펴짐, 기울기 등의 움직임을 통해서 전체적인 모션은 굉장히 부드럽지만 엣지날 부분에는 몸의 탄성이 가해진 프레스가 들어가도록 말이죠
단적으로 알파인 보드 잘 타시는 분들 생각해봐도 우아하게 타시는데 지나간 자리에는 칼로 그은듯한 호가 그려져 있죠 ㅎㅎ
체중계 위에서 점프하면 어떻게 될까요.. 체중계 몸무게가 확 올라갔다가 줄어들겠지요..
덤블링 위에서 점프하면 어떻게 될까요.. 덤블링을 바닥이 쑥 내려갔다가 몸을 튕겨내면서 점프가 되겠지요..
스노보드는 결국 중력을 이용하는 운동입니다. 뻣뻣이 서 있는 상태에서 엣지 조작만 잘 해도 턴이 됩니다. 우리 몸이 중력에 의해 설면을 누르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턴을 하며 엣지를 줄 때 점프하기 전에 지면을 밖차기위해 살짝 앉듯이 프레스를 준다면 더 효과적으로 엣지를 줄 수 있고 턴이 되겠지요..
결국 턴을 할 때 엣지를 준다는 것은 위에서 말한 프레스를 주기 위하여 중력을 이용해 원심력과 구심력을 버텨내기 위한 방법입니다. 턴의 정점에 다가서면서 커지는 원심력과 구심력을 버티기 위해 서서히 앉으며 프레스를 주는 것이죠..
이때 우리 몸에는 불필요한 힘이 들어갈 이유가 없습니다. 어짜피 중력은 우리 몸을 잡아 당기고 있기 때문이니까요..우리는 단지 우리를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기는 중력에 다운이라는 가속도를 줘서 설면을 누르는겁니다.
단지 수많은 다운을 버텨내는 허벅지 정도에 힘이 들어가면 되겠네요..ㅎㅎ뭔가 주저리 주저리 썼지만 평소에 생각하던 것을 한 번 써봤어요..ㅋ
결론은 온몸에 힘을 줄 필요가 없다. 수 많은 기마자세를 버텨낼 허벅지와 무릅관절을 신경쓰고 타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