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직 바인딩 각도에는 신경쓰지 마십시오.
라이딩에 익숙해지면 큰 변화만 아니라면 금방 익숙해집니다.
문제는 라이딩 스킬의 연마 정도겠지요.
처음에는 힐턴이 더 편안합니다.
적어놓으신 것처럼 어깨를 여는 동작만으로도 토턴의 진행이 부드럽게 되는 등
동작이 토턴에 비해 쉬운 점도 있고,(이게 나중에는 그렇지 않습니다만)
힐턴이 진행되면 슬로프 아랫쪽을 보게 되는데 이게 심리적으로 편안합니다.
(처음에 펜쥴럼 할 때 아랫쪽을 보고 하지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서있는 자세이기도 하고요)
토턴은 진행될수록 슬로프 윗쪽을 보게 되는데, 이게 좀 심리적으로 불안한 자세입니다.
(슬로프 윗쪽을 보면서 하는 펜줄럼은 대충 넘어가는 경향이 많습니다.
대부분 이 연습을 싫어하고요. 역엣지의 위험도 크지요.
그래서 제 경험으로는 슬로프 윗쪽을 보고 펜줄럼을 먼저 가르친 경우와 이 자세를 좀 오랫동안
연습시킨 경우에 토턴을 쉽게 배우더군요)
더구나 데크의 각을 만드는데는 쉽지만 그 데크 위에서 중심을 잡는 것은 쉽지 않은 자세입니다.
(나중에는 토턴이 더 쉽습니다. 잘 넘어지지도 않구요.
물론 토턴과 힐턴에 번갈아가며 어려워지는 경험도 하시게 될 것입니다.)
각설하고, 토턴 중반부 이후에 느낌이 오신다는 것으로 보아,
턴 시작부의 동작이 과감하지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익숙하지 못한 동작으로의 전환에 대한 두려움이 있겠지만,
처음부터 과감하게 상체를 끌고 가 보시지요.
만약 후경 상태라 하더라도 상체를 과감하게 끌고 들어가다 보면
후경자세도 교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되면 넘어지기밖에 더하겠어. 이런 심정으로 말이지요.
동영상을 보면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적어주신 말씀만으로
자세한 조언을 드리기는 힘드네요.
저도 첫시즌에 베이직 카빙이라고 생각하고 동영상으로 찍어준걸 봤는데 뻣뻣이 서서 너비스턴 하고 있더군요
타실때 다른분이 동영상으로 자기 찍어준 영상 보신적 있으신지요?
보셨다면 제가 할말은 없지만 힐턴하실때 급하게 들어가지마시고 서서히 들어간다 생각하고 천천히 돌리시면 잘돌아갈껍니다.
천천히 돌아가시면 시선과 스티어링이 비슷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슬립이 덜일어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