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영상 만으로는 제가 구별을 못하는건지... 두개의 턴이 너무 비슷해보이는데...
너비스턴 자체도 사람마다 구사하는게 틀린건지 동영상마다 차이도 있는것 같고...
제가 중점적으로 본 부분은 보드의 엣지 부분이 어떻게 움직이고 업다운과 어깨 시선처리등을 보고 있는데...
너비스턴 동영상들의 경우 어떤분은 엣지를 깊게 박아서 타니까 그려지는 선이 얇고 이쁘게 찍히는분이 있는가 하면 어떤분은 슬립(?) 이라고하나 슬라이딩이라고하나 아무튼 밀림현상이 보이는 분도 잇고... 어떤 연습생분은 그려지는 라인이 거의 없고 면으로 눌리는것처럼 보이는데.... 너비스턴 이라는것 자체가 어느게 맞는건지 모르겠어요...
근데 카빙턴은 엣지를 깊게 박아서 타는거라고 봤는데 맞는건가요.?
그럼 제가 위에서 너비스턴이라고 본 영상중 엣지를 깊게 박고 탄영상은 잘못된곳인가요?
카빙턴의 경우 턴하는 시점에서 면아 안닿고 살짝뜬상태의 엣지 전환이 생기는곤가요?...
아직 카빙과
너비스턴을 시연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라이딩에 능숙한 고수들이다보니
영상에서는 완벽하게 턴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그러나 너비스턴은 단어의 뜻 그대로 초보자 턴입니다.
비기너턴이 상체의 힘을 하체에 전달하여 턴을 하는 기본을 익힌다면
너비스턴은 턴의 과정에 따른 상하체의 이용법을 배우는 과정입니다.
카빙턴처럼 날카롭게 선이 그어지느냐 마느냐는 부차적인 문제입니다.
턴의 과정에서 언제부터 상체를 돌려 턴을 시작하고 언제 끝내며
언제 하체를 굽혀 압력을 주고, 언제 하체를 세워 압력을 해제하느냐 등
기초적인 타이밍&코디네이션을 연습하는 단계입니다.
즉, 번호를 붙여가며 턴의 준비, 시작, 실행, 마무리를 연습하시면서
그 과정을 몸에 숙달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카빙턴은 간단하게 말해서 이러한 과정이 익숙해져
보드가 슬립을 일으키지 않고 날카로운 호를 그려내는 턴입니다.
모바일이랑 글이 끊겻네요.
카빙턴과 너비스턴의 차이점이 무엇으로 구분되나요?
혹시 정확한 너비스턴 동영상 경로좀 아시면 알려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