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리쉬코드가 정말 필요하겠다 싶어 구해보고자 정보 수집 중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 점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저는 리쉬코드가 유용한 이유를,

 '어떠한 상황에서도 데크가 몸에서 일정 수준 이상으로 떨어지지 않게 구속해 리프트에서 떨어지거나 유령 보드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로 이해했습니다.

 이를테면, 데크를 들고가다 실수로 넘어지거나 다 들고 가서 별 생각 없이 데크를 뒤집어 놓지도 않아 미끄러지는 상황 등이 리쉬코드로 방지하고자 하는 가장 전형적인 사고 유형이되겠죠.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바인딩을 채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로 사고가 나기 때문에, 리쉬코드는 '바인딩을 모두 푼 상태에서도 데크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1. 리쉬코드가 기본적으로 어느정도는 길어야 하고,

2. 한 쪽은 허리 등에 걸고 다른 쪽은 바인딩에 걸 수 있어,

  바인딩을 체결했든 안했든, 설사 바인딩을 다 풀고 들고가는 중에도 리쉬코드는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임의의 자세로 데크를 핸들링하는 데 있어서도 불편이 없고 이격 방지 기능을 할 수 있어야만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리쉬코드들 예로 나온 것들을 보면 대부분 아래와 같이 매우 짧은 것들을 바인딩과 부츠간, 혹은 바인딩과 무릎간에 연결해두는 정도인데, 이런 형태를 실제 사용하게 될 때의 모습을 생각해 보면 아무리 생각해봐도 채울 때는 한 쪽 바인딩 체결하고 나서, 리쉬코드를 추가체결하게 될거고, 정작 주로 사고가 나는 경우인 바인딩을 풀어 들고가게 될 때는 리쉬코드도 같이 풀어야만할 것 같습니다. 즉, 한쪽 바인딩 채우고 있을 때만 리쉬코드가 부가적으로 채워지게 된다는 겁니다.리쉬코드.jpg

 

1. 우선,  '이미 한쪽 바인딩을 체결한 상태'라면 구지 리쉬코드를 추가적으로 채우는 게 과연 큰 의미가 있을지 의문입니다. 이 형태로 방지할 수 있는 경우란 바인딩을 너무 헐겁게 해둔 상태일 때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경우 정도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2. 정작 한 쪽 바인딩을 푸는 상황에서는 리쉬코드도 같이 풀 수 밖에 없어 원 목적인 '바인딩을 푼 상황에서도 이격을 방지'해줄 수 없는 리쉬코드라면 근본적으로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요컨데, 이런 형태의 리쉬 코드는 괜히 불편하기만 할 뿐 의도한 기능은 못하는 '사족'으로 보입니다.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인가요?

그리고, 리쉬코드 원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제대로된 형태의 것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빠삐뽀뿌

2012.12.16 00:12:06
*.201.18.133

그러게요...생각해보니 그렇네요..그간 아무 의심없이 리쉬코드구나~했는데..


스노우보드 초기 바인딩 스트랩의 내구성이 기술적으로나 소재 상 한계가 있어서 사용하지 않았을까....


그래서 툭 풀리는 스트랩에 의해 보드가 달아나는 현상을 막기위했던 것이 아닌지 급소설 써 봅니다.


그 안전장치가 필요없어진 지금까지 관례처럼 바인딩에 포함되어 나오는 것 일지도...

언젠가는날겠죠

2012.12.16 00:16:56
*.239.175.50

제가 가지고 있는 리쉬코드들은 길이가 많이 깁니다 한 50~1미터 정도 되는듯 해요

Jr.MamaDo

2012.12.16 01:14:18
*.231.122.80

생각하신건 다른모델이에요
두가지타입입니다

무림맹주

2012.12.16 02:06:26
*.143.25.100

말씀하신 다른 타입의 예는 혹시 없을까요?

클리기

2012.12.16 01:24:26
*.135.75.37

(바인딩+데크) 와 (부츠) 를 결합해주는 역할이죠.

바인딩의 결함이나 실수로 바인딩을 잘못 채웠을경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는것이고요..

부츠는 상식적으로 벗겨질일이 없으니까..

 

특히, 리프트 이동중에 한쪽발만 체결해놓고 올라가다 보면..

데크의 무게가 만만치 않다는걸 느끼실겁니다.

그럴때.. 혹시나...하는 마음에 불안하기도 하구요..

 

*손으로 들고 갈때..의 사고를 막는 용도로 제작된게 아니고요.

-리프트 이동중

-한발로 이동할때 (용어가 잘...)

-라이딩중 사고로 바인딩이 분리될 경우( 극히, 드물겠지만)

 

*전  항상 착용하는 편이지만.. 심리적인 위안이 큰편이지..실용성은 솔직히 별로 없긴 해요..

하지만.. 만에 하나라도.. 내실수로 다른사람이 다치는 일은 없어야 하기에.. 걍 쓰고 있슴다.

무림맹주

2012.12.16 01:44:44
*.143.25.100

 음.. 뭔가 다른 형태도 있긴 있는 모양이군요?

 생각해 보면 줄을 약간 길게 해서 허리춤에 다는 형태로만 해도 바인딩 모두 푼 상태에서도 리쉬코드는 풀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말이죠.

 즉, 데크를 아예 몸에서 멀리 떨어뜨릴 상황이 아닐 때는 리쉬코드는 항상 채워두는 개념으로해야 위 사진과 같은 type에서 예방코자 하는 상황은 기본이고 대부분의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두서없이 질문을 올려보았습니다.

프레디오버

2012.12.16 02:15:20
*.33.153.7

당연히 여러종류들이 있습니다
제가가진 리쉬코드는 에어블라스터이고
종아리에 찍찍이로 차고 바인딩에 체결후
스프링형태의 줄이 탄력적으로 당기면 늘어납니다

무림맹주

2012.12.16 11:41:41
*.143.25.100

에블 리쉬 역시 늘어나는 길이에 한계가 있어 내내 바인딩 풀 때는 리쉬코드도 풀어야만 하게 생겼던데...... 맞나요?

그렇담 길이에 융통성이 좀더 있을 뿐, 제가 생각하는 근본적으로 다른 형태(리쉬코드 채운 상태에서 들고 이동도 가능한)는 아닌 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9418
65829 11/12 롬 에이전트 재고 있는데 없나요? 단팥의앙금술사 2012-12-16 338
65828 여러가지 질문 입니다 ㅜㅜ [2] ㅇㅡ잉 2012-12-16 356
65827 나이키 줌포스 1 문의요 [1] 박순현_934880 2012-12-16 519
65826 스탠스 폭 질문 [5] 개복치 2012-12-16 509
65825 f.i mafia 데크어떤가요?? [3] 포카리스웨트♥ 2012-12-16 358
65824 부츠에 의한 정강이 전방/사이드 통증... [4] 승구사마 2012-12-16 507
65823 헬멧 추천 부탁드려요 [4] 크앙 2012-12-16 500
65822 남자꺼 데크나인데크써보신분들?? [2] 포카리스웨트♥ 2012-12-16 412
65821 보드패딩 좀 추천해주세요.. !!! file [7] 궁금 2012-12-15 421
65820 부츠만 렌탈하면 비용이 얼마나 할까요? [2] Half& 2012-12-15 387
» 리쉬코드..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건가요? file [8] 무림맹주 2012-12-15 1525
65818 선거날지산새벽? [2] 무알콜_927220 2012-12-15 469
65817 급합니다. 휘닉스파크 버스이용.. [3] ktw55 2012-12-15 392
65816 여자데크사이즈질문좀용 [1] 원할머니똥쌈 2012-12-15 420
65815 플랫지 부츠 쓰시는 분 있나요? [2] 보더~~ 2012-12-15 415
65814 데크 하자인가요? [6] XXX 2012-12-15 407
65813 하이원셔틀 (영통)타는곳 여기 맞나요? 사진첨부 ! file [1] mmm911 2012-12-15 462
65812 175 68 데크길이 질문드립니다 [12] 실물작살 2012-12-15 401
65811 장비 최종 선택!! 많이 투표해 주세요. 굽실굽실.... [6] 배고푼천둥번개 2012-12-15 473
65810 보드 장갑 좀 추천해주세요 짐승보더K 2012-12-15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