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보드 알파인보드 극단적이게만 비교해보면
프리보든는 트릭용이고
알파인보드는 라이딩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극단적으로 봤을대요..
물론 프리보드가 훨씬많고 프리보드로 트릭보다는 라이딩하시는 분들이 더 많고요
저는 라이딩하는걸 더 좋아합니다 롱턴하면서요 빠른 스피드를 즐기는 편이죠 그리고 저는 스키어입니다 실력을 좋은편은 아니고요ㅎㅎ
개인적인 취향이 라이딩이라 알파인보드에 눈이가는대 알파인보드는 프리보드랑 완전히 다르다고들 하시네요
스탠스도 다르고 어느정도 실력이안되면 컨트를도 힘들다
혹시 알파인타시는분 계시면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알파인보드 전반적으로
라이딩도 바인딩 각도에 따라 상체가 전방으로 많이 향하고 있고 뉴트럴포지션이라는 기본자세에서 상체의 회전과 기울기
골반의 활용등을 통해서 데크를 세우고 그로 인해 카빙이 됩니다. 즉 제일 기본이 되는 뉴트럴포지션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게 정말 어렵습니다. 프리를 타다 알파인으로 전향한 분들이 가장 안되는게 백사이드에서 상체를 열어주지 못해 엉덩이가 빠지는 즉 알파인을 프리자세로 타게 되는데 이게 또 정말 고치는게 힘듭니다. 게다가 알파인 자체가 프리보다 속도가 빠르고 전방을 보고 있기에 체감속도는 더빠른 대다가 장비가 하드하고 전신을 사용해서 턴을 해야하기 때문에 프리보다 턴 자체가 어렵습니다. (부츠가 하드부츠라 발목사용이 안됩니다.)
대신 어느정도 카빙턴이 되면 그때부터는 정말 알파인이라는 마약에 중독되게 될겁니다.ㅎㅎ
한턴한턴 진행될때의 그 짜릿함은 프리를 탈때와는 또 다른 즐거움이 있거든요. 알파인은 혼자서 익히는게 힘들기 때문에
동호회에 가입을 추천해 드리구요 장비도 고가이기에 선택에 신중해야 하기에 고수님들의 조언을 받아서 구하시구요.
처음에는 중고를 구하는걸 추천해 드립니다. 알파인 인구가 정말 적기에 한사람건너 다 아는 사람일 정도이구요 그래서 같은 알파인끼리 잘 뭉치게 되고 도움도 많이 줍니다. 스키장에서 알파인 타는 분들 보면 들이대보세요.ㅎㅎ동호회 가입해서 활동도 하시구요
알파인은 프리하고 근본적으로 완전히 틀립니다. 일단 데크의 유효엣지가 훨씬길고 데크 길이도 프리보다 길고 회전반경도 큽니다. 보통 GS데크의 경우 남자는 185~170 사이의 길이를 많이 사용하고 SL데크는 158~163정도를 많이 사용합니다.
데크 웨스트도 프리보다 좁습니다. 바인딩도 하드한 바인딩으로 부츠와 유격이 거의 없이 꽉 잡아줍니다. 또한 높이를 올려주는 리프트와 다리를 안쪽으로 모아주는 칸트라는 부품이 있어 셋팅이 개개인마다 틀립니다. 부츠 또한 하드부츠이고
부츠 자체에 앞으로 숙여지는 전경각도 조절과 안쪽으로 기울려주는 자체 칸팅이 달려있구요. 바인딩과 부츠의 높이만 해도 상당하기 때문에 프리를 타다가 알파인을 처음 접하시면 공중에 붕 떠있는 느낌에 중심잡는게 조금 힘듭니다. 바인딩도 국민각도로 통하는 앞54 뒤48 혹은 앞55 뒤50 정도의 각도를 많이 사용하지만 개개인에 따라 틀립니다. 처음 알파인을 접하고 많이 어려워하는게 자신에게 맞는 장비의 선택과 셋팅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