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답게시판에 글을 올릴까 하다가 새로운 글들에 의해 금방 내려가버리면 많은 분들의 의견을 못듣게 될까봐

 

주제넘게 토론방에 글을 올립니다.

 

독학보더로 6시즌째를 맞이하고 있는데요.

 

2~3 시즌째 인가 부터 토턴에서 프레스가 생각대로 들어가주지 않는걸 느끼고...

 

이를 혼자서 고쳐보려고 동영상, 칼럼, 토론방, 묻답 게시판 등 여기저기 뒤져보면서 혼자 답을 찾아가면서

 

라이딩만 계속 연습해왔습니다. 싸부가 있으면 좋았겠지만...어쩌다 보니 이렇게 홀로 독학을 하게 되었네요 ㅡㅡ;;

 

여튼...프레스를 좀더 강하게, 정확하게 주기 위해서 이리 저리 연습해보니...

 

제가 요즘 느끼는 점은....

 

효율적인 프레스를 주기 위한 인클리네이션, 효율적인 프레스를 주기 위한 앵귤레이션이 필요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심지어 로테이션(특히, 하체 로테이션)도 마지막으로 프레스를 쥐어 짜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저의 짧은 라이딩 경력에서 느끼는 것은 인클, 앵귤, 스티어링 모두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프레스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독학이다 보니 이러한 생각이 정확한지 모르겠네요.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ps. 그리고 어깨를 여는 것이 강하게 프레스를 주기 위한 인클, 앵귤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느껴지네요.

엮인글 :

당일치기리프트탑승기본20회

2012.12.23 01:25:19
*.55.139.39

철조망안에서 피클로 다져진 강설이 프레스에 대한 고민을 던저준것 같아 아쉽내요.

프레스라는게 눈에 상태에 따라 터져버릴수 있다는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저도 올해 스키장에 가면 어깨열고 닫는걸 좀 해 볼려고 합니다.

그런거 신경쓰는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저도 해볼려는 겁니다.

솔직히 저도 그게 뭐할려고 하는짖인지 궁금합니다. 해보면 알겠지요...ㅋㅋ

트릭연습하자

2012.12.24 07:34:56
*.36.222.35

말하신거를 조화와 리듬있게 타시는 게 중요합니다.

lee창민이

2012.12.27 14:43:00
*.83.92.135

어깨 열고 닫고 시선 보고 안보고에 따라서 턴이 감기고 덜감기고 터지고 안터지고에 영향이 있습니다..

카빙롱턴 토우로 감는다고 가정 할때

어깨를 닫아주고 시선 정확히 봐주면 부드러운 호를 그리면서 말려올라가지요

여기서 프레스를 가볍게 풀고 기울기 넘기고 다시 다운 힐 어깨 열고 시선 봐주고 부드럽게 말려가주고

제이턴 많이 연습하세요

주위에 선후배중에 스쿨사람 있으면 배우는게 가장 정확하다고 봅니다..

고풍스런낙엽

2012.12.24 08:12:19
*.255.9.125

인클 앵귤만 올바로 사용해도 프레스는 따라오는거 같은데요.

라이딩 하는거 보고 프레스 정말 잘주는구나 감탄하고 보고 있으면 인클 앵귤을 정말 잘 주고 계신다는...

leeho730

2012.12.24 11:01:36
*.230.222.48

인클

☆우동☆

2012.12.24 15:59:56
*.18.82.124

몸으로 배운 보더라 ㅜㅜ 인클과 앵귤 다음에 오른쪽 무릎을(레귤러 기준) 안쪽으로 굽히면서 오른쪼 발로 데크를 땡기니깐  안정적으로 엣지 각이 살던데....프레스 강도는 잘 모르겟습니다.

이렇게 타도 되는건지?? 그리고 이걸 뭐라고 하는거진?? 용어에 약서서 ....

제레인트

2012.12.24 20:47:55
*.133.120.185

어제 카빙반 배우면서 느낀건데요..

인클리네이션, 엣지세우기(앵귤레이션), 프레스 각각이 다 너무 중요하네요.

급사에서 숏카빙, 미들카빙, 롱카빙 다 하려면...

결국은 각각 연습하고 두개씩 같이 사용하고...나중엔 전부 다 사용해야 할것 같네요.

전 엣지세우기를 사용하면 프레스를 그냥 줄때보다 많이 못줘서...

그런 부분 열심히 연습하고 있습니다. ㅋ

내꿈은 조각가

2012.12.25 10:09:03
*.70.44.66

글쎄요 웃자고하는 얘긴아니고

리듬이 젤 중요한거 같아요

rischa

2012.12.25 11:55:59
*.139.165.210

어떤 한 가지 좀 되었다 싶으면 다른 것이 문제..

결국은 전부다 중요하다는 뻔하고 실속없는 대답....

조조맹덕

2012.12.25 13:58:08
*.32.154.73

2222222222

홍이00

2012.12.25 22:38:11
*.103.66.88

다운언웨이티드, 전경~후경

레몽레인

2012.12.27 01:16:01
*.217.57.188

보드에서 처음 배우는 것은 누르는 힘..그 다음에 토션..그다음에 버티는 힘. 이런 것이 중요하지요..

토부분 다운은 정말 어려워요..레인보우에서 토사이드 슬리핑으로 계속 내려가면 엄청난  발전이 있을 것입니다.

따달이

2012.12.27 07:00:07
*.96.227.61

BBP와 관성, 엣지

뱅뱅™

2012.12.27 12:15:33
*.128.71.12

저는 스탠스 앤 발란스인것 같아요 제일 먼저 배우지만 마지막까지 제일 유지하기 힘든것...

 

 외경, 내경, 전경, 후경 여러가지 요소들이 접목되어도 절대 무너지면 안되는 것이기도 하구요.

NACHO

2013.01.01 16:20:23
*.177.52.3

기술적이라기에는 감각적이고 감각적이기에는 기술적인듯

낙엽미화원

2013.01.21 09:27:15
*.87.61.231

보통 토턴은 잘돼지 않나요? 힐카빙이 어려운건데..

파랭이최고다

2013.02.15 07:42:07
*.189.92.121

어느한가지 안중요한게 없지만 일단 잘타보일라면 bbp가 모든상황에서 깨지지 않는다면 가장 예쁘게 타는거 같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28
975 카빙 진입시 프레스먼저? 기울기먼저? [26] 정적 2013-02-10   4407
974 헝글 모바일 앱 개발에 대하여... [15] RockQ 2013-02-04   1832
973 셔틀버스 취식 관련하여 의견을 묻습니다. [36] 설인28호 2013-01-26 6 3562
972 슬로프내의 충돌 사고 그리고 합의에 대해... [14] 고풍스런낙엽 2013-01-23 2 2330
971 고글은 헬멧 밖에? 속에? 이유는?? [43] SoulB 2013-01-23   6199
970 리프트 담배용자님. [46] 헝그리보더권 2013-01-22 2 2019
969 레귤러나 구피냐에 대한 또다는 생각? [18] 레봉최고 2013-01-21   2859
968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확실히 아는법. [34] 낙엽미화원 2013-01-20 1 3367
967 국내 최고의 보드장은? [65] 멍구930 2013-01-17   2752
966 여러분이 생각하는 롱턴/미들턴/숏턴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13] blackberry 2013-01-16   2063
965 강습자 리프트 프리패스에 대해서 [10] 메이메임 2013-01-15   2078
964 보더여러분들 초보는 언제까지가 초보라고 생각하시나요? [28] jundboar 2013-01-15 1 2300
963 트릭용데크?라이딩용데크? [16] 습설이좋앙~ 2013-01-13   6077
962 레귤러냐 구피냐??? 새로운 방법 제안해봅니다. [17] 이스리슬쩍* 2013-01-12   2794
961 요즘 데크 사이즈가 민망할정도로 작게 타는 것 같지 않나요??? [54] 식방 2013-01-09 3 2757
960 [공정위에 심사 청구 예정] 휘팍(다른 스키장도 포함)의 시즌권 양수양도 금지 등 불공정 약관에 대한 의견, 사례를 모읍니다. [13] 앤쥬우 2013-01-07 38 2156
959 지산 리조트 모글 코스 보드 출입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은? [18] 자르자 2013-01-07 1 2087
958 보드장 의무실 과연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17] 모기보더™ 2012-12-28   2191
957 W캠버와 M캠버 장단점과 차이점??? file [11] 꼬꼬댉 2012-12-24   6379
» 라이딩시 인클리네이션, 앵귤레이션, 로테이션, 프레스 중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7] proflee 2012-12-22 1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