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이제 겨우 에스자 흉내내는수준인데요
근데 제가 할때 거의 몸이서잇고요
발목으로 뒷굽 앞굽을들면서하는데
친구가 저보고 무릎굽혀서하는거라
고 저는 몸을돌리면서 하거든요 발목ㅎ쓰면서 근데 비기너턴?할때도그렇게 몸으로하구 카빙? 그건 몸하구 보드같이도는건데 무릎굽히는거상관잇는지 헷갈리네요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요즘 제가 가르치는 친구가 썰렁해님과 똑같은 단계입니다.
그리고 저도 처음 보드를 탈 때 썰렁해님과 비슷한 상황을 격어 보았고요.
친구분이 좋은 좀을 지적해 주셨는데요. 아마 그 친구 분이 조금 더 잘타시는 것 같습니다 ^^ㅋ
우선 제가 설명을 드리면 낙엽을 배우면서 초보들이 데크를 들어 올려서 엣지를 주는 방법이
발목을 이용해서 힐 사이드 슬리핑(산 아래를 바라보면서 내려가는)을 할 때 발등을 들어 올리고
토 사이드 슬리핑(산 위를 바라보면서 내려가는)을 할 때 뒷꿈치를 들어 올리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엣지를 줄 경우 종아리와 정강이 부분 근육을 사용하는데 이 방법은 옳지 않습니다.
당연히 나중에 아픔과 그 피로 때문에 다른 방법을 찾게 되실 거에요.
위에 두 분이 말씀하신 것 처럼 발, 발목, 종아리에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몸을 부츠에 기대면
토 사이드는 바인딩이 힐 사이드는 하이백이 들어줍니다. 이렇게 기울기를 익히시는 거에요.
처음엔 힘을 줘서 엣지를 주지만 친구분 말씀처럼 힘을 빼는 방법을 연습하시면 됩니다.
꼭 성공하세요~ 나중에 종아리나 정강이 아파서 못타세요~
그리고 질문하신 비너기턴 할 때도 무릎을 쓰냐고 물으셨는데.
아마 잘타시는 분들이 무릎을 확 눌러서 엣지를 주는 라이딩을 보신 것 같은데,
그건 엣지를 세우는 방법 인클과 앵귤의 조화라고 할 수 있는데요.
당연히 비기너턴을 할 때 그정도로 무릎을 눌러서 엣지를 주지 않아도 되지만(속도가 나지 않으므로)
무릎을 굽혀서 부츠를 누르고 바인딩을 통해 데크가 들어 올라가는 방법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비기너턴 하고 계셔서 한 말씀 더 드리면 턴을 할 때 뒷발이나 무릎, 팔 등을 흔들거나
힘을 줘서 턴을 하시면 안됩니다. 상체 로테이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그리고 천천히 데크가 돌아가는 것을 느끼면서
힐 사이드와 토 사이드의 베이스와 엣지가 체인징 되는 것을 충분히 느끼셔야 합니다.
자칫하면 뒷발차기 또는 후경 등 안좋은 습관이 들어요.
상체를 돌리고 데크가 돌아가는 것을 꾹 참고 기다리셔야 해요. 보통 데크가 돌아가면서 직활강 상태가 됐을 때
무서워서 데크를 돌리면서 뒷발차기를 하거나 나쁜 습관이 드는데 꼭 이겨내시고 꾹 참고 데크가 돌아가는 것을
느끼시길 바라요~
그럼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