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유지
제가 종합주택청약이요 돈 넣은지 24개월이되었는데요
책에서 보니까 그통장의돈은 언제 쓸지도 모르니 그냥 최소 금액만 넣고 유지만 하라고 하고
친구들은 언젠가 쓰니까 꼭 한달에 최고액 10 마넌을 꼬박 꼬박 넣으라는데요
어떤 말이 맞는건가요 ? ㅠㅠ
2013.01.21 17:51:38 *.205.146.2
청약 받으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소금액만 유지시켜 주면 되죠.
10만원씩 넣어두면 나중에 요긴하게 쓰긴 쓰겠네요.
2013.01.21 18:39:14 *.183.35.39
-_-; 남들 넣으니까 그냥 넣으시면 안되고... 본인이 가지고 있는 적금, 예금, 자기 연봉, 결혼 시기 모든 걸 어느정도 선까지는 계산을 해서 집 구입 시기를 먼저 정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거기에 맞춰서 청약부금을 부으셔야죠.
기본적으로 한달에 얼마씩 넣어야 한다는 기준은 없습니다. 적금이나 예금상품 기준으로 보시면 안 돼요.
2013.01.21 19:17:55 *.99.60.95
결론은 한달에 10만원씩 꼬박꼬박넣으십시요.
2013.01.21 21:25:10 *.59.168.43
계속 넣으세요~ 24개월 넣으셨으면 1순위가 맞지만 그래도 청약하실려면 본인이 원하는 지역에 예치금은 되어야합니다.
85제곱미터 기준으로 서울이나 부산일경우 300만원인가 그렇고 기타 광역시가 250인가 200만원 일꺼에요
그래서 청약할때 일시에 목돈을 넣기 부담스러우니깐 본인이 해당되는 지역 예치금에 도달할수 있을만큼 꾸준히 넣는게 좋죠.
글구 굳이 청약안하시더라고 24개월이상이면 청약저축보다 금리좋은 상품 별로없어요~ㅎ
2013.01.22 12:29:33 *.222.206.29
24개월 채우면 1순위가 맞지만 경쟁률 왕창 몰리경우 횟수가 점수에 포함이 되어서 계속 내시는게 유리합니다.
따라서 청약 하시려는 아파트 평형대를 결정 후 그 예치금 금액 내에서 횟수를 많이 내시는게 좋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2만원씩 24개월 채우고 꾸준히 계속 내다가
청약 하려는 아파트가 나오면 청약일(or 분양공고일.. 오래전에 본 내용이라 확인 요망) 전에 그 평형수에 맞게 예치금을 올리면 됩니다.
예치금을 올리는 것은 제약이 없지만, 예치금을 내리면 1년인가 청약 제한이 있습니다.(요것도 확인 요망)
2013.01.22 12:34:30 *.222.206.29
결론: 돈을 계속 내는 것이 청약에 유리하기는 하지만, 청약하시려는 아파트의 예치금을 넘어가면 안되니깐 예치금 확인 후 조절을 잘 하셔야 합니다.
수정이 안되어서 하나 더 써요.
청약 받으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소금액만 유지시켜 주면 되죠.
10만원씩 넣어두면 나중에 요긴하게 쓰긴 쓰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