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웰팍에서 s1에서 내려오면 에코 리프트 전에 평지 구간이 나오잖아요
전 경사면에서 속도좀 붙혀서 여기 지나가볼려고 하다가 엉덩방아 찧은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속도붙었는데 자빠지면 그 고통이 엄청나요 ㅠㅠ
다른분들은 평지에서 베이스로 잘 밀고 나가시는거 같은데
저는 왜 베이스로 타면 엣지에 뭐가 걸릴까요?
원래 평지에서 미끄러져 갈때 베이스로 타는게 아니고 살짝 엣지를 주는건가요?
엉덩방아,, 라면
토사이드로 슬리핑중에 역엣지가 걸린 상황이네요
베이스로 활강중에, 어떤 원인으로건 간에, 노즈쪽에, 힐이나 토중 어느 한 쪽에 하중이 더 가해지면
보드는 뒤틀림이 생겨 회전을 하게됩니다
그렇게 회전하는 중에 컨트롤을 제대로 못하면 역엣지가 걸리게 되죠
대부분은 어깨가 열려서 힐사이드로 슬리핑을 하게되고 소위 말하는 앞쩍을 당하게 되는데,
님은 반대인가 보네요,,
아무튼 비비피 자세로 어깨방향이 돌아가지 않게 하는 게 중요하구요
베이스활강이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가고자 하는 방향의 사이드를 양 발 균등한 힘으로 눌러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평지에서 생기는 역엣지는 예상치못한 엣지쏠림에 의해 생기는경우가 더 큽니다
때문에 완전베이스 활강은 정말 잘타는 사람이 아니면 하기 힘든 고급이기도 합니다
슬로프가 완전한 평면이 아니고 군데군데 모글이나 요철이 있기때문이죠.
살짝올라온 부위에 엣지가 걸리면서 넘어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완전베이스로 활강하자면 엣지가 살짝걸릴때마다 중심을 잡아줘야하죠
특히 S1끝나고 S2까지 가려면 상당한 고속활강을 해야하는데 예상하지 못한 엣지감이 발생하면
무게중심의 이동으로 역엣지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그래서 활강할때는 편한쪽의 엣지를 살짝 주어서 이동하는게 더 안전합니다.
엣지감을 살짝 가져간다고해서 회전운동을 하기시작하지는 않습니다.
양발에 50대50 중경을 유지하고 상체하체 비틀림이 없으면요.
어깨를 열어도 어깨열림과는 무관하게 상체하체가 고정되어있는 상태면 데크는 회전하지 않습니다.
어깨를 여는 의미는 진행방향을 보고있음으로서 좀 더 안정감을 가지고 가기위함입니다.
또한 헝글 강습영상의 그라운드트릭의 활강에 나와있듯이 다운자세를 줄때도 완전 옆으로 서있는것보단
살짝 여는것이 몸을 낮출시에 무게중심을 더 쉽게 가운데로 가져갈수있기때문입니다.
사진에서처럼 스노보드 베이스 직활강이나
스키장 하단 평지에서 저속 베이스 라이딩이나 모두다
사진에 표시한것과 같이 (1번참조) 데크 허리에서 부터
테일까지는 쇄기형태로 주행을 합니다
이때 완전 평지가 아닌 슬롭 바닥에 살짝이라도 튀어나온 문뭉치(단단함)에
사이드 엣지부분과 충돌....일명 역엣쥐 먹는다는 표현으로 넘어지십니다...
(2번참조)발그림으로 표현한 충격먹는 엣쥐를 표현한거임^^
엄청난 고속 직활강일때 팁은 전방에 위치한 발에다 체중을 무식하게 실어서
앞뒤 중심만 잡아주시면 안넘어집니다....
저속 직활강이나...설렁설렁 리프트 대기줄 근처로 진입하실때 팁은
전방에 위치한 발,다리에다 본인 체중을 최소 50%이상 실어주셔야
그나마 역엣쥐 없는 세상이구요...
만약 뒤에다 체중을 더 주고는 못하냐 하신다면...일반적인 콘트롤을 하셔야 합니다...
천천히 평지에서 주행한다고 정신을 다른데 파시면 역엣쥐는 친구처럼 따라 다니실껍니다...
완전 정지 할때까지는 배운데로 콘트롤 하시고 그러세요...
..............................................................................................................이상 오리알 였습니다^^
레귤러 기준 그 구간은 살짝 토엣지 주시고 타는게 편합니다. 경사자체가 점점 왼쪽으로 기울여져있거든요...
그리고 직활강은 살짝 상체오픈하시고 타는게 자세낮추기에도 유리하고 편합니다. 살짝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