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드장 소식에 보면 어젯밤 곤지암이 그런대로 탈만했다는 소식이 많은데요...
저는 영 아니었다는...
왜냐면 낮동안 녹았던 눈이 다 얼어서 밤에는 완전 강설이었는데요...
이런 눈에서는 제가 카빙이 잘 안되더라구요.
자꾸 굵은 슬립 라인이 발생...
고수님들의 강설시 카빙진입 방법이나 엣지를 강설에 콱 박아서
나아가는 요령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눈밥이나 마일리지가 답변이라면 좌절....
속도에 앵글각과 프레스가 관건인데... 이건... 다양한 슬롭에서 여러먼 앵글을 세워보고 프레스도 눌러주고 수십 수백번 까여야
나오는 노하우인데... 약간의 팁을 드리자면 토우의 경우 프레스를 줄때 발가락을 말아서 눌러주는 방법(까치발 들듯이.. ) 힐의 경우 하이백을 살짝 높여주는 방법과 인사이드 하이백을 한칸 밀어서 트위스트르 주는경우(이경우 하이백이 말랑말랑 할 경우 크랙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혹은 힐 들어갈때 앞발 아웃사이더부터 뒤꿈치까지 같이 눌러준다는 느낌으로 누르고 들어가는 방법..
하지만 제일 중요한건.. 앵글각(슬롭과 데크의 각)과 가상의 중심축과 데크 사이의 각을 얼마만큰 잘 유지를 하느냐 입니다.
슬롭 경사도가 크거나 기울기+프레스가 크면클수록 앵글각은 커지게 됩니다. 이때 제일 중요한 것은 가상의 중심축과 데크와의
각은 앵글각과 반비례 해야 합니다. 앵글각이 커지면 커질수록 중심축과 데크의 각은 작아지고 앵글각이 작아질수록 중심축과 데크의 각은 커져야 합니다. 당연 속도와도 비례해야 겠죠.
쓰고 보니 말이 너무 어려워 졌네요... 쉽게 말하자면 실 한쪽 끝에 추를 달아 놓구 반대쪽 끝을 잡은 후 추를 데크로 보고 실 반대쪽 끝을 머리(가상의 중심축)이라고 볼때 회전속도가 느리면 중심축과 데크의 각이 크지만 속도가 점점 빨라 지면 중심축과 데크의 각은 작아지게 됩니다. 즉 속도에 따라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작용점의 위치는 달라지게 되는거죠
턴 진입시에 전경을 많이 줘서 엣지가 박히겟끔 라인을 만들어내는 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