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일단, 하드웨어 이야긴 뺍니다.

 

사진 찍을 때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 적어 볼께요.

 

1. 빛

빛이 좋은 곳에서만 찍는게 가장 좋습니다. 어둠과 빛이 교차하는 곳이 가장 안 좋고요...

빛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스트로브를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스트로브, 플래시는 정말 사용하기 어려운 녀석이죠...

왜냐면 빛이 좋은 환경으로 인위적으로 만드는 것이니.. 빛을 일단 이해해야 좋은 환경을 만들 수 있으니까요.

암튼, 스트로브는 함부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공부하면서...

 

2. 조리개, 셔터속도의 상관관계

보통 조리개 우선, 셔터 우선.. 이렇게 반자동 조작법이 나뉩니다.

두 가지인 이유는.. 좋은 빛의 상태로 사진을 찍기 위해선 저 두 가지의 값이 적정선으로 맞춰져야 하기 때문이죠.

조리개값 8에 셔터속도 1/125가 적정 노출이다... 하면,

조리개 우선인 경우 4.5에 맞추면 자동으로 셔터속도는 더 빠르게 세팅이 되고...

셔터 우선인 경우 1/60으로 맞추면 자동으로 조리개는 더 조여지게 됩니다.

 

3. 조리개 우선

조리개는 심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조리개 값이 적을 수록 실제 렌즈의 조리개는 더 크게 열리게 되고 순간적으로 들어오는 빛이 많아집니다.

조리개 값이 크면 조리개는 작게 열리고 순간적으로 들어오는 빛이 적게되죠.

때문에 적정 노출값은 정해져있으니 일정 수준의 빛을 감광시키려면 조리개를 많이 열었을 때는 적은 시간, 반대인 경우엔 긴 시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심도가 달라는지는데, 짧은 시간 감광된 경우는 렌즈 초점이 맞는 부분만 초점이 맞게 되고.. 긴 시간 감광된 경우는 렌즈 초점이 맞는 지점에서 조금 벗어나도 상대적으로 초점이 맞게 됩니다.

이 초점이 맞는 부분을 놓고 심도가 깊다, 얕다라고 하죠.

하지만 렌즈의 해상력은 보통 F8에서 가장 좋습니다. 때문에 사진을 많이 찍는 분들은 조리개를 열고 찍지 않죠..

배경을 날리는 경우 조리개를 많이 열게 되는데 이건 사실 편법일 뿐입니다. 프레임 안을 정리하기 어려워 날려버리는 경우가 적지 않죠...

물론, 주제를 부각시키기 위해 그러기도 하지만요.

 

4. 셔터 우선

셔터 속도는 화면의 생동감과 관련이 있습니다.

폭포나 계속의 흐르는 물에 활력을 주고 싶다면 셔터속도를 조금 늘려 일정 시간 동안 감광을 시켜 마치 블러가 들어간 것 같은 효과를 주게 됩니다.

스포츠나, 저 처럼 아기 사진을 찍는 경우엔 셔터 속도를 줄여서 순간적인 모습을 담게 됩니다. 아주 빠른 시간 셔터가 열렸다 닫히기 때문에 찰나의 순간이 담기게 되죠.

 

 

요 정도만 알아도 나름 사진을 의미있게 남길 수 있을 것입니다.

구도나 주제 표현력 같은 것이야 계속 찍고, 다른 사진 보고.. 느끼는게 유일하고 좋은 방법이겠죠.

 

뭐, 저 처럼 스냅사진이 유일한 목적이라면 다 필요없고 자동으로 찍으시면 됩니다.

조리개는 아무리 열어도 5~6 정도는 조여줘야... 그나마 사진이 또렷해요...

너무 열면 사진 해상력이 안 좋습니다. 그렇게 찍어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야겠죠. 사진의 해상도까지 손해보면서...

 

참, 여기서 말하는 해상력, 해상도는 모니터의 그것과는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 흠..

 

 

암튼... 사진 촬영에 관심있는 분들 도움이 되시길....

엮인글 :

곽진호

2013.03.07 16:44:20
*.7.52.241

카메라가 없는게 함정... ㅠㅠ

시즌전엔 무척이나 미러리스가 사고팠는데....

chocojun

2013.03.07 16:46:04
*.144.44.242

요..요샌 휴대폰으로.....

쿨러덩쿨렁

2013.03.07 16:45:07
*.54.193.142

이건 누구나 칼럼으로....

윤쟈

2013.03.07 16:46:35
*.239.44.130

허허.. 뭐가 뭔지 ..................흠

chocojun

2013.03.07 16:47:35
*.144.44.242

T-T 죄...죄송합니다. 뚱딴지 같은 글이 되어버렷......

바람켄타

2013.03.07 16:49:37
*.223.8.201

시즌말이 되니...허허허

clous

2013.03.07 16:50:27
*.64.75.85

슬롭에선 노출 맞추기가 정말 힘들어요. 수동모드만 고집하는 1인. ㅜㅜ

chocojun

2013.03.07 16:51:48
*.144.44.242

새하얀 눈 때문에 적정 노출은 의외로 어둡게 잡히죠...... 어쩔 수 없이 더 밝게 세팅해야하는 환경....

메잇카

2013.03.07 17:11:26
*.128.34.229

이것저것 신경쓰면 골치아파지는 스타일이라 무작정 내 보기좋은대로만 찍었는데 글 읽어보니 도움이 되네요 감사요~

chocojun

2013.03.07 17:36:00
*.144.44.242

도..도움이 되신다니 다행이네요..

덴드

2013.03.07 17:15:25
*.222.119.2

1번말고는 무슨말인지 전혀 모르겠다는 ㅜㅜ

chocojun

2013.03.07 17:25:12
*.144.44.242

아... 너무 두서가 없어서... T-T

여니z

2013.03.07 17:21:43
*.216.179.210

네....? ㅠㅠ 글로는 아무리 봐도 잘 모르겠더라구요. 맨날 자동으로만 찍는다는....

chocojun

2013.03.07 17:36:33
*.144.44.242

글로 뭔가 이해하기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설명을 잘 못한 글이라... T-T

LaughMaker

2013.03.07 17:44:04
*.145.80.76

결국엔 빚의 예술...ㅠ_-

엄뿡

2013.03.07 17:53:22
*.217.58.58

물류및 스튜디오 샘플촬영 업종 종사자로써 추가 내용 올립니다..
많이 공부하고 찍으셔야 합니다..

또한 사진은 손으로 찍는게 아닙니다...
발로 찍는거죠..
부지런히 다니면서 열심히 셔터를 누르셔야 합니다..

헬미♡

2013.03.08 08:27:39
*.226.203.253

일단 걍 찍고보는1인 ㅡㅠ 먹눈이라잘 모르겟어용 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61] Rider 2017-03-14 43 227057
70719 안녕하세요 신입입니다^ -^/ [12] MemoriesJYM 2013-03-07 2 248
70718 [용평] 투표율 공약 이행 관련 [25] 모둠치킨 2013-03-07 4 216
70717 와이프 기분 좋은 날 file [13] Gatsby 2013-03-07   251
70716 농구 완전 뒤집어 졌네요...ㄷㄷㄷ [7] 냐옹아어흥해봐 2013-03-07   211
70715 2.5킬로감량했어요ㅋㅋ [12] 신대방불쇼 2013-03-07   297
70714 이번엔 제가 홍보를...ㅋㅋㅋㅋ [13] SoulB 2013-03-07   290
70713 올해 겨울이 별로 춥고 길었던지 잘 모르겠습니다 [5] 파네리스티 2013-03-07 2 269
70712 곤지암 특파원입니다 ㅋㅋ [9] 곤지암박초딩 2013-03-07 2 277
70711 퇴근후 학동다녀왔어요ㅜㅋ [8] 나씽씽 2013-03-07   206
70710 나라가 위태위태 하네요... [18] OB로거 2013-03-07   193
70709 12/13 샵투어링을 마감하였습니다. ^^ file [17] Gatsby 2013-03-07 1 203
70708 과거 lukasnow 사장이고 지금은 snowcity의 팀장인 이성무에 대해. [9] 카릴 2013-03-07 3 345
70707 음.... 게시판 관리..... [36] 소년왕 2013-03-07 16 199
70706 아 ㅜㅜ 망할 핸드폰 [18] 윤쟈 2013-03-07   196
70705 복덕방 아저씨 [18] 복덕방아저씨 2013-03-07   180
» 사진 처음 시작할 때 포인트 [17] chocojun 2013-03-07   137
70703 얼굴의 완성은 머릿결인가 봅니다. file [27] 토끼삼촌 2013-03-07   190
70702 시즌이 곧 끝난다고 생각하는데... [7] 볼매명수 2013-03-07   215
70701 아.... 킥 뛰고 싶다.... [26] 곽진호 2013-03-07   198
70700 웰리힐리파크는 죽지는 않았어요. file [10] 쿨러덩쿨렁 2013-03-07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