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좀 성의 없는듯해서 덧붙입니다
Carved Turn이 되기 위한 조건을 먼저 생각해 보심이 좋겠습니다.
말그대로 가르면서 가기 위해서는 엣지 to 엣지...즉 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진행하기때문에 깔끔한 카빙턴의 조건은
폴라인과 수직이 되는 방향에서 엣지체인지...체인지된 엣지로 반원.... 다시 수직이 되는 시점에서 체인지...반원...입니다.
여기에 프레스를 주어 데크의 휨을 더하면 좀더 작은 반원이 즉 숏카빙턴이 이루어 집니다.
이렇게 반원을 그려나가는 과정에서 좀더 타이트한 호를 그리며 다이내믹한 카빙을 하려면 데크의 진행방향을
예측하고 그 동선? 움직임? 에 방해를 주지않는 몸동작이 필요하게 됩니다.
속도가 빠르고 경사가 심할수도록 더빠르게 합니다. 오랜 반복에 의해 그 동선을 예측하고
미리 진행방향으로 몸이 앞서간다 정도면 카빙턴의 로테이션은 충분합니다.
그 이상이 되면 슬립이 생기고 그 이하여도 역시 슬립이 생기거나 호가 늘어지거나 턴이 터지게 됩니다.
시선처리는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진행방향 입니다
흔히들 진행할 방향으로 미리 시선을 주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과한 로테이션이 될수 있습니다.
특히 토우에서 힐로 엣지 체인지 힐턴진행과정에서 뒤쪽 어깨너머로 시선을 주면 턴이 터지거나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선은 유지하고 데크의 진행방향으로 서서히 움직이시면 좋을듯 합니다.
시선이나 로테이션을 신경 쓰시기 보다는..
과한 프레스나 로테이션을 자제하고 데크의 스피드에 따른 엣지감을 익히시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
윤동혁 프로가 모스 캠프에서 카빙에 대해 이런말씀을 하시더군요.
"카빙은 데크를 타고 가는거지 데크를 조정하는게 아니다. 데크가 가는데로 방해하지 말고 따라가는 기술이면 충분하다."
동감합니다.
슬라이딩턴에서의 로테이션은 카빙턴에서는 슬맆을 유발할 거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로테이션은 보드에까지 전달되어 데크에 비틀림을 만들어서
노즈쪽 엣지각은 커지지만 테일쪽은 작아지게 됩니다
작아진 테일쪽 엣지각으로 인해서 테일슬맆이 일어나기 쉽겠지요
어깨를 열고 토턴에 들어가면 역로테이션 상태이므로 테일쪽 엣지각이 더 커지게 되어서
테일슬맆은 거의 일어나지 않게됩니다
힐턴에서는 역로테이션 상태인, 어깨를 닫고 진입하기에는 시야확보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겠지요
시야확보로 인해 열린 어깨만큼 테일쪽 엣지각도 확보에 손실이 생기므로
전반적으로 토턴에서보다 더 엣지를 세워야 슬맆이 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하드한 데크는 로테이션에 의한 비틀림도 적을 것이므로
(고속의) 카빙턴 특히 힐턴에서 더 유리할 거라 생각합니다
카빙턴에서는 로테이션이 없어도 되지만
더 부드럽고 안정적인 턴을 위해서
분명, 슬라이딩턴에서와는 다른,, 로테이션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어깨가 진행방향(폴라인 방향)을 향해서 고정될 정도의 빠른 숏턴에서는
슬라이딩턴과 거의 비슷할 거 같구요
자전거나 오토바이,,
어느정도 속도가 있으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기울여주면
그쪽으로 진행하게됩니다, 시선은 어디에 있든 상관없이
다만 진행하게 될 방향에 장애물이라든가 노면상태 등을 확인할 수 없으면 심리적으로 불안하겠지요
슬라이딩턴에서는 다음 턴을 위해서, 엣지체인지 이전에 로테이션을 시작합니다
이전 턴에서의 테일슬맆을 차단하여 역엣지를 방지하고 부드럽게 엣지체인지를 할 수 있게 하며
엣지체인지 직후부터, 테일슬맆을 행사하여 설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속도가 붙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슬라이딩턴에서 로테이션을 제대로(적절하게) 못하는 보더가 있는데
이는 엣지를 충분히 세우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엣지를 충분히 세우지 못한 상태에서 로테이션이 들어가 있으면
엣지를 세우지 못했으므로 프레스가 생기지 못하고
로테이션이 들어가 있으므로 노즈보다 작은 엣지각인 테일이,, 노즈보다 설면과의 마찰력이 작아서, 노즈를 추월하려 하게되므로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로테이션을 제거하거나 역로테이션까지 취하게 되지요
슬라이딩턴과 카빙턴에서의 로테이션의 차이는, 그 타이밍에 있는 거 같습니다
슬라이딩턴에서는, 엣지체인지 직후부터 테일을 슬맆시키기 위해서
엣지체인지 이전에 행하지만
카빙턴에서는, 역로테이션상태에서 엣지체인지를 하여
테일슬맆 없이 라인을 잡아나가고,
다음 턴을 위한 역로테이션을 만들기 위해 서서히 로테이션에 들어가는 ,,,
스키에서의 폴체킹과 유사한 거 같단 생각을 해봅니다
폴체킹(역로테이션)으로 엣지체인지를 하고 ,,,
카빙 영상을 보면, 스타일에 따라서
엣지체인지 이전 또는 직후부터 빠르게(강하게?) 로테이션을 하는 경우도 있더군요
이 경우에는 엣지체인지 초반부터 강하게 엣지를 세우면서 박아주어야, 테일슬맆을 방지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좀더 타이트한 호를 만들기위해 프레스와 로테이션을
더합니다만 초급카빙연습에는 오히려 걸림돌입니다
속도와 경사에 맞는 기울기로 엣지감을 익히시다보면 자연스럽게 다음단계로 진도나가시게 될거에요
시선은 언제나 진행방향. . . 진행할 방향아닙니다
진행방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