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combinant hEGF(재조합인상피세포성장인자)가 수용액형태에서 당연히 이온화될텐데요.이때 (+)극성을 띠는것 ( - )극성을 띠는것이 어떤것인지 ..... 구분이 어려우시다면 ..... 주 유효성분이 수용액상태에서 이온화될때 (+)극성과 ( - )극성중 어느쪽에 해당하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답답한 마음에 이곳에 올려봅니다
전 전공자도 아니고 그저 이웃(쓰고보니 촌스럽네요 ㅋㅋㅋ)에서 검색해서 나름 공부(...)해서 올립니다 ! (댓글 달려고 공부했어요!)
출발~!
수용액 상태라 함은 주 유효성분이 물입니다.
물은 8개의 전자를 가집니다 (가지고 싶어합니다)
산소(-극성) 6개, 수소(+극성) 2개.
하여 수용액 상태에서는 -극성을 띄게됩니다.
질문자의 질문 내용중 이온화할때 주 유효성분에서 입자를 제거시키는지, 혹은 다른입자를 갖다붙이는지가 빠져있네요.
제거시키는놈, 갖다붙이는놈의 특성에 따라서 극성도 달라지겠지요.
결론은 "질문 내용만으론 답을 도출해낼 수 없다" 이지만 바로 윗줄에 해결방안도 포함되어있습니다.
현재 노트북이 없어 구조식으로 계산을 못해봐서 대충 pI값만 계산해보니(정확한값이아닙니다; 그림상의 아미노산구성으로만 계산해본 값{이또한 몇가지 아미노산이 그림상으로 판독불가능해 약간의오차발생될듯합니다}이므로 실제 입체구조(tertiary?)일 경우 충분히 pI값이 바뀔꺼같네요...) 5.322정도가 나오고 rhEGF의 pH는 6.0~8.0사이더군요. 결국 버퍼pH에 의해 결정되긴 하겠으나 pH값보다 pI값이 작으므로 음전하(-)를 띌 것으로 예상됩니다.
어디까지나 이론적 계산일뿐입니다.... 확신이없습니다.. 죄송
죄송합니다만 ....혹시 이것도 극성을 알수 있을까요? ......
무례고.. 염치없는줄 알지만 .... 거래하려고하는 수입판매회사가 본사 이탈리아에 연락했지만 알려줄수 없다고 했다는 말만 해서 ..... 저는 사용자입장에서 극성만 알면되는거라서.........
해당 화합물의 net charge는 다음과 같네요
다음 그래프에 표기된 대로 pI=5.37이고 pH=7.4입니다.
따라서 pH>pI이므로 음전하를 띄지 않을까 예측해봅니다.
쪽지받고 답변으로 쪽지드렸는데 혹시나 해서 댓글로 한 번 더 답니다.
제가 설명한 것중에 아무래도 오해를 하실 수 있는 부분이 있을꺼 같아서요.. 그 용질(유기물질; rhEGF, idebenone hydroxydecyl ubiquinone)의 pI값과 pH값 만으로 비교를 하는것이 아니라 그 물질과 버퍼용액에 넣어 수용액으로 만들었을때, 그 용액(버퍼)의 pH와 유기물질(용질)의 pI값을 비요하여 양전하, 음전하 판단을 하게 됩니다.
그림과 같이 버퍼용액 속에서 위와같은 전하를 띄게 되는데요,
용질(rhEGF, idebenone hydroxydecyl ubiquinone)의 pI값보다 버퍼용액의 pH값이 높은 경우(pI<pH), 그 수용액 속에서 용질은 음전하(anion)가 되어 (+)charge로 끌려가게 되고, 그 반대로 pI>pH이면 cation이 되어 (-)charge로 끌려가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물질의 pI값과 pH값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물질과 함께 혼합시켜주는 버퍼용액의 pH와 비교하여야 합니다. 아물질과 함께 섞을 용액의 pH에 따라 극성의 정도가 달라질듯 합니다.
아...헝글 기묻에 이런 류도 올라오는군요....
나와 다른 필요한 세상이겠지요??
정말 누가 대답해 주셨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