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기너턴의 토우와 힐턴 사이에 트래버스다운구간을 집어 넣은거에요, 그래서 연습할때보면 업-턴-다운 동작으로 나뉘는것이고, 폴라인방향 (사실은 조금앞) 구간에서 무릅, 다운과 턴을 하는것은 인터미디어드 슬라이딩턴의 이론입니다. 2년간 보드를 헛타다니요, 누구보다 즐기며 재미있게 타는 사람이 장땡입니다. ^^ 배드민턴치는데 즐겁게 치면되지, 국대선수의 방법을 꼭 따라할 이유는 없는것 처럼요. ㅎ
비기너턴에 업다운을 하면 너비스턴이 되는거 맞습니다 연습하는 이유는 턴중에 하중을 주는 자세를 연습시키기 위한 목적이구요 협회마다 조금씩 다운하는 시점이 다르지만 사활강 구간에서 연습하고 폴라인 구간으로 타이밍을 끌어올리는것도 좋은 연습방법입니다 왜냐하면 나중에는 턴전반부에 다운이 들어가게 되기때문에 ... 2년 헛 연습한거 아니에요~
비기너턴과 너비스턴은 서로 상관관계가 커서 비기너턴도 설명을 해야 하는데
비기너턴시
업상태에서 시선과 상체로테이션을 하면 턴이 되는데
어느 순간이 되면 시선과 상체로테이션이 멈추는 순간이 있습니다
시선과 상체로테이션을 그만 하라는게 아니고 더이상 몸을 비틀수 없고 움직임이 멈추는 구간이 생기죠
제이론으로는 프론트풋의 각도에서 +5도정도...까지라고 생각됩니다...정확하게 재본게 아니라서;;;
어쨋든 시선과 몸을 더이상 비틀수 없을때 즉 움직임이 없을때 최대의 안정성을 위해 다운을 하게 됩니다
이러면 너비스턴이 되죠
즉 비기너턴할때는 원활한 턴을 위해 가만히 서있는게 아니라 업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그후에 업다운이 들어가면 너비스턴....
실력이 늘면 점점 업상태가 적어지고 다운상태가 많아지는데
그러다 어느순간 카빙이 되어버리는거죠... 뭐 이렇게 원활하게 카빙으로 넘어가지 못하는 경우도 많지만...
어쨋든 폴라인으로 다운의 타이밍을 정해버리는건 좀 아닌듯 해요
초보라면 폴라인을 넘어서 다운이 되고
실력이 늘수록 다운이 폴라인 전에서 다운이 될꺼라고 생각되네요
그냥 제 경험일뿐이니까 그냥 이런의견도 있구나 정도만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