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슬라이딩턴과 카빙턴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상체와 하체의 로테이션 차이입니다.
슬라이딩턴은 상체가 먼저 나가고 하체가 따라가는 반면에 카빙턴은 상체와 하체가
동시에 따라 갑니다.
상급 슬로프에서 업다운과 상체로테이션, 하체로테이션을 최대한 빨리 진행하여 턴을
하는데 보통 이를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이라고 합니다.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은
턴 상체와 하체가 거의 동시에 움직이고 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카빙숏턴처럼 보이나
엄밀히 말해서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입니다.
현실에서 턴은 정확하게 카빙과 슬라이딩으로 나누어지지 않습니다.
로테이션이 있다고 해서 카빙이 안이루어지는게 아니고,
로테이션이 없다고 해서 슬라이딩이 안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카빙과 슬라이딩의 중간 느낌의 턴도 존재하므로... 반드시 턴을 구분할 필요는 없습니다.
말씀하시는 하체의 움직임만으로 슬라이딩하는건..... (로테이션이 조금이라도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아마도 "Down-unweighted Sliding-turn" 이지 않을까 합니다.
다른말로 "Dynamic Sliding-turn" 혹은 " Bending-turn" 이라고 부르는 분들도 있습니다.
동영상에서 보이는 턴은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입니다.
턴을 할 때 턴을 하는 폭이 좁고 턴을 빨리 하기 위해 상체와 하체가 거의 동시에 움직이는 것으로
보아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이네요.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은 턴을 할 때 폭이 좁아 동영상처럼
하게 됩니다.
동영상에 보이는 턴을 보면 상체선행을 가져가는듯 보이지만 실제론 이느낌으로 탈려면 상당히 빠른 하체의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무릅 발목을 적극적으로 특히 이런류의 숏턴을 행하려면 상당히 발목과 발바닥(?)을 잘써야 합니다 토턴이 끝나거나 힐턴이 끝날때 발목의 사용각도에 따라 좀더 강한고 빠른 턴을 만들 수 있습니다 턴의 전환박자가 빠르기 때문에 업다운의 양(스트로크) 는 많지 않군요
그리고 영상에서 보면 항상 그렇진 않은데 군데군데 상체선행을 만들기 위해서 턴 후반부 마무리 동작에서 카운터 로테이션으로 턴이 이루어 지네요 뒷팔의 움직임을 보면 확실히 알수 있어요 턴을 확실히 끝내고 다음턴을 하는것이 더 좋을텐데 박자가 꼬이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더라구요 (제경험상)
턴을 끝낼때는 가속도에의한 프레스를 강하게 받아서 턴을 확실히 마무리(?) 해주면 더 좋더라구요 즉 숏턴에서도 관절의 구부림으로 자세를 낮추어 가속되는 보드의 움직임을 받아내는 느낌으로 한턴한턴 잘 끝내는 느낌으로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동영상에서 힐턴에서 밀어주고 토턴에서 앉으란 말은 힐턴시엔 자세를 낮추려면 다리를 뻗어 주는 느낌이어야 자세가 낮아집니다 그렇다고 일부러 다리를펴주는 다운언웨이팅하고는 다르구요 무게중심을 빨리 낮추려면 고관절이 구부러지고 무릎은 많이 구부릴수 없어요 토턴시엔 무게줌심을 낮추는 방법이 무릅을 구부리는 방법 뿐이니 그렇게하는거구요
다운언웨이티드 기반의 턴이 아닐까 사료되옵니다 ~~~~자 고수분들 설명 부탁드리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