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운동을 하다보면 부상은 필연적으로 빌생하게 되죠.
그 부상을 사전에 막아주거나 피해를 최소화하는게 보호구의 역할이죠.
특히 스놉은 정말 보호대 종류가 많은듯해요 헬멧 손목 팔꿈치 무릎 척추 엉덩이...
물론 필요로 하긴 하지만 헝글을 보다보면 글쎄요...
일부 좀 과도하게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지않나 싶네요(물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킥이나 하프하시는분들은 필수라고 생각이들지만 제가 말하고자 하는건 사고예방의 1순위가 보호구가 아니란거죠.
상대적으로 스키보다 보드가 정식으로 교육받는 환경이 적다보니 저또한 독학으로 탔고 그냥 지인분들에게 배운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슬롭에서 보더라도 대부분 그런경우죠. 그렇다보니 체계적인 커리큘럼이 없는 경우가 많고 대략적인 수순으로만 가르치더군요( 일어서기 > 사이드슬립 > 낙엽...... 등등)
그런데 가장중요한 안전문제가 보통은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단지 보호구를 착용했으므로 패스~ 이런경우죠. 보호구는 어디까지나 사고시 충격의 피해를 최소화해주는 부수적인 물건일 뿐이죠.
가장중요한건 본인의 순간 대처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스놉을 탄지는 얼마안되지만 스캡을 오래탔었구요(만 11년) 제가 스켑을 배울 당시 파크에서 탈때 넘어지는 법부터 배웠습니다. 합기도나 유도등을 배울때 가장먼저 배우는것이 낙법이죠. 스놉이나 스캡이나 결국 몸을 크게 다치는건 넘어지거나 떨어져서인데 보호구만 찼다고 해서 안다칠까요? 보호구 착용이전에 본인이 스스로 충격을 줄이는 방법을 깨우쳐야합니다. 무조건 적으로 보호구만 찬다고 해서 본인 몸이 지켜지는 아니죠~ 오히려 몸이 둔해지고 보호구의 돌출부( 대부분 플라스틱류의 재질)에 2차적 피해를 입을수도 있습니다. 보호대 너무 과신하시다간 오히려 독이될수도 있습니다. 올시즌 안다치시려면 일단 넘어지고 구르는 법부터 배우세요^^
글제주가 없어서 걍 두서없이 적었네요 ㅎ
엮인글 :

GARTIE

2013.11.14 01:47:32
*.111.5.124

신기하게도 어릴때 누구나한번씩은 한 태권도에서 배운 후방낙법덕분에 역엣지자빠링할때도 머리에 심하게충격받은적..없고.. 쇼트트랙선수할때에도 넘어질때 충격최소화방법이라던가 등등이 몸에익어서.. 아직까지 큰부상없이탑니다.. 넘어질때 잘넘어지는건 정말잘할수있다능!!

파쓰

2013.11.14 02:11:37
*.7.52.251

결국 자기몸을 지키는건 자기죠~ ㅎ

쥬시아

2013.11.14 03:48:13
*.79.90.133

저도.. MTB타면서 구르는건 자신이 있었지만..
뭣하면 자전거 버리고 날으면 되는데
요놈의 보드는 체결되있기때문에 옆으로 구를때.. 답이 없더군요.
아직 3번밖에 못타본 초심자인데.. 빠른속도에서 옆으로 구를때는 어떻게 해야되나요
몸은 옆으로 구르는데 데크는 일자라 데크는 멈추려고 하고. 몸은 계속 구르려고 하기때문에
척추에 그냥 데미지가 들어오더군요.. 정말 극심한 고통으로 그자리에서 5분정도 OTL 자세로 있었는데..
고수분들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파쓰

2013.11.14 05:36:56
*.223.28.48

옆으로 구른다는건 옆구리쪽으로 구른다는건가요?
자신이 속도를 제어를 못한다 싶으면 앞으로 엎어지시면 됩니다. OTL자세로 엎어지시되 손목에 충격이 안가도록 순간작으로 쭉 밀어주세요~
아놔...; 글로 적을라니깐 표현력이 딸리네요 ㅠㅠ

Solopain

2013.11.14 09:23:31
*.58.112.171

PT8번자세를 유지하세요.

등으로 미끄러집니당

네버러부

2013.11.14 07:04:55
*.246.85.166

저는 과도한 보호구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ㅠㅠ...ㅎ
엉덩이 보호대 같은 경우 보호 기능 외 보온이라는 장점도 있죠^^
그리고 킥커나 하프외에 라이딩 시에는 소프트 보호대를 많이 씁니다. 2차 피해랑은 좀 거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스피드가 빠르기 때문에 순간적인 대처가 힘든경우도 많습니다. 실력에 자신이 붙을수록 넘어지는 속도도 빨라요 ㅎ
오히려 눈밭이라 해서 안전할꺼라 생각하고 초보분들이 보호장구를 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초보때 손목부상이 많죠..ㅠ
보호대를 과신하는 것은 파쓰님 말대로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과해서 나쁠것도 없지 않을까요?....
저는 스캡은 2,3년 밖에 타지 않았고 스놉을 13년 정도 타고 있습니다. ㅎ 딱 반대 상황이네요^^;;

빨간양모

2013.11.14 07:16:51
*.231.149.46

저는 올해 헬멧부터 상체보호대까지 다 구매했구요 작년에 다치고 나서 생각하니 돈이 중요한게 아니라 몸이 정말 중요하더군요 지인중에 치과의사가 있는데 손목보호대안하고 타다가 골절사고 당한거 보면 타격이 얼마나 큰지아실겁니다.
일반 직장인들도 한번 골절사고나면 정말 학생이 아닌담에사 사회생활 힘들어질수있습니다.

내꿈은 조각가

2013.11.14 07:38:38
*.70.53.152

시속 오십이상에서 낙법이 무슨소용이 있나요?
역엣지는 연습에 의해 충격최소화가가능하지만, 무조건 과도한보호대가 답입니다

칠형

2013.11.14 07:52:09
*.111.14.3

계속 착용하다보면 불편함도 사라져요..

우럭아왜우럭슬퍼서우럭

2013.11.14 08:14:03
*.34.172.36

저도.. 이글에 조금 공감 하는 부분이 있는대... 보드 배운지 좀 됬을때.. 상체 하체 손복 발목 테이핑 까지 하면서 타봤는대..

오히려 불편하고 몸이 둔해 지고.. 보호대에 의지 해서 인지 좀 크게 넘어 져서.. 갈비에 금이 간적이 있습니다.. 뿌러졌다고 해야 되나..; 상체 보호대가 있는대도 금이 간거면 없으면 내장 다 털렸겠죠?


그런대 지금 생각해 보면 또.. 보호대 때문만이 아닌거 같기도 하구요.. 이것도 헬멧논란의 되나요..?

유령™

2013.11.14 08:44:21
*.195.244.168

휀스나 기물에 쳐박으면 진짜 아프더라구요.. 어디 하나 뽑혀 나가는 느낌 ㄷㄷㄷㄷ

Solopain

2013.11.14 09:24:47
*.58.112.171

어그레시브로 지하철 손잡이 타다가 떨어져서 헬멧을 깨먹어본적이 있는 저로서는

공감이 힘든....

-274℃

2013.11.14 09:29:35
*.137.58.72

보드에서 크게 넘어지는 건 역엣지가 걸릴때인데 문제는 역엣지는 가만히 있을때는 걸리지 않죠..
어느 정도 라이딩이 될때는 컨트롤 미숙 혹은 엣지 체인징의 타이밍 실패로 자신도 모르게 역엣지에 걸립니다..
이때는 정말 답이 없습니다... 왜 넘어지는 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갑자기 웅크리고 신음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죠..
언급하신 과도한 보호구가 어느 정도까지인지는 모르겠지만..보호구는 과도해서 나쁠건 하나도 없을것 같아요..

올시즌카빙정벅

2013.11.14 09:58:00
*.214.168.130

인라인 타면서 보호장구는
헬멧뿐...
시속 30키로 이상으로 달리다 자빠지면
그냥 아스팔트에 쭉 갈리던가 어디 부러지던가 ...
개인적으로 가장 큰 부상은 어깨뼈 늘어난거

근데 보드타다가 다친건 어깨인대 찢어짐 수술 ..
그리고 대부분 초보떄 그냥 쿵 하면서 넘어지면서
손을 짚어서 손목,쇄골 발목을 가장 많이 다칠겁니다
오히려 빠른 속도에서 넘어지면 그냥 쭉 내려가면 되는데
느린속도,가만히 서 있다 넘어지면 부상이 따라 다니죠

夢[몽냥]

2013.11.14 11:06:21
*.111.6.224

보호장구를 착용함으로써 죽을 사고가 어디하나 마비되거나... 부러질게 타박상으로 끝나거나....

과도한 착용은 올바르다고 봅니다.

미리 예방해서 나쁠건 없다고 생각해요
늘 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현장에서 일하기에 평상시에도 산업안전 보호구를 착용하고 다니는 저도 헬멧이나 안전화 덕분에 크게 다칠뻔한걸 막아봐서....

보호장구에 의한 2차사고는 올바르지 못한 착용 방법에의해 발생합니다.
몸에 밀착해서 써야할건 밀착시켜야 하는거죠.
특히 엉보나 무릎, 헬멧이 그렇습니다.
무릎보호대 대충 했다가 인대 작살나서 5개월을 쪼그려 앉지도 못하고 화장실도 불편하게 사용했었죠. 어디가서 바닥에 앉기도 힘들고...

요지는 보호대는 필수로하되 올바르게 착용하자입니다. 가끔 헬멧이 간지가 안난다고 머리위쪽으로 올려 쓰시는 분들보면... 넘어지면 목 뒤 척수부분에 충격올텐데....하고 걱정되기도 합니다. 턱끈 느슨하게 매시면 충격흡수 못하고 벗겨져서 머리로 부딪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구요.

올바르게 착용한 과도한 보호구는 찬성입니다.

엔제리너스

2013.11.14 12:39:11
*.137.41.140

음........... 저는 글쎄요....... 과도한 착용이 올바르다고 생각되네요..

예를 들자면.. 좀 적정하지 않을지도 몰라도...

운전하는대 불편하다고 안전밸트도 안매고.. 다니는거랑 비슷한 상황이라고 생각되네요

사고났을경우 안다치려고 안전밸트 매지 말고.. 사고가 안나도록 운전연습을 하라는것 정도?

사고는 개인의 능력외에 타인에 의해 사고가 날수도 있죠.

제가 아무리 잘탄다 하더라도 타인에 의해 타칠수 있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정말 보호대는 한번 다쳐본사람은 알수 있는 필수 장비라고 생각합니다...

불꽃싸닥션

2013.11.14 15:25:17
*.42.99.225

날으는 데크에 고글 찍혀본 1인으로써 이글은 반대합니다
내가 자빠져서 다치는걸 보호해주기도 하지만 남이 와서 박는것도 보호해주는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61] Rider 2017-03-14 43 232032
80753 일요일날 하이원가려고 계획다짜놨는데 [4] 히스비 2013-11-14   204
80752 일년만에 소장데크가 완전 바뀌었네요... file [12] 파네라이000 2013-11-14   305
80751 휘팍 가는길인데.. [9] 미자오빠 2013-11-14   294
80750 예약완료.ㅋ [13] 89HungryBoa... 2013-11-14   179
80749 보내고 맞이하고 재탕하고~자랑글임 ㅋㅋㅋ/ file [12] RoseDew™ 2013-11-14   162
80748 헝그리사진첩을 보는게 아니였어.. [11] 희룡 2013-11-14   244
80747 락카가 꼭 필요하신분들 필독 [10] 01030431438 2013-11-14   262
80746 휘팍가는중~~~ [18] 깜찍초야 2013-11-14   220
80745 출첵하세요~~~~~~ [22] 세르게이♡ 2013-11-14   265
80744 안전보딩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 [15] 엘케이 2013-11-14 5 225
80743 날도 추운데 서로 따뜻한 글들 남기자구요. [3] 저기요 2013-11-14 2 197
80742 플럭스 12/13 RK-30 바인딩 (아래쪽 짧은 줄?) 수리?교체? [19] 뉘취팔라마 2013-11-14   225
» 과도한 보호구 착용 과연 득일까..??(탑승아님.) [17] 파쓰 2013-11-14 3 542
80740 울어라너혼자울것이다 [2] 용평헝그리알바 2013-11-14   241
80739 보드복살가 겨울패딩살가 [13] 펩시@ 2013-11-14   225
80738 출격을 이틀앞두고 지난시즌 이야기보따리 [5] GARTIE 2013-11-14   199
80737 하이원버스 [2] 김파카 2013-11-14   232
80736 홈쇼핑에서 장비를 판다면.....?ㅋ [2] 곰탱부리 2013-11-14   221
80735 이번시즌준비 끝!! [3] SideBack 2013-11-14   202
80734 비발디 좋던데... [11] 89HungryBoa... 2013-11-13   190